$\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차량 도입시기 의사결정을 위한 인버터제어 전동차의 잔여수명에 따른 비용분석
Cost Analysis of VVVF Inverter Train Based on Life-cycle to Determine the Introduction Timing of New Trains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9 no.1 = no.92, 2016년, pp.77 - 86  

이광섭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이찬우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양근율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민재홍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신종진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전동차의 설계수명이 도래하기 전에 신규차량 도입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최근 널리 활용되고 있는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 연구는 현재 운행 중인 분석대상 전동차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만을 고려하며 신규차량 도입으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의 절감효과, 사회적비용 등을 고려하지 않아 신규차량 구매 시기에 따른 비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LCC에서 활용되는 비용과 노후화에 따른 고장 및 안전사고로 인한 운영기관의 부대비용, 피해승객의 사회적 비용을 포함하고, 신규차량의 구매 시기에 따른 대안별 비용분석, 할인율 변화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차량 도입 시기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부대비용과 사회적비용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 이러한 비용의 포함여부 및 할인율에 따라 대안의 경제적 우선순위가 변동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향후 차량수급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큰 시사점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fore urban railway vehicles reach their design life-span, operating agencies should determine when to buy new vehicles. Previous LCC (Life Cycle Cost) studies were limited because they independently focused on existing vehicles based on costs that directly impacted only the operating agency with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93년, 1996년 및 1999년에 도입된 인버터제어 전동차 중 표본 5량에 대해 외관검사, 차체 치수검사, 주행장치 결함검사, 부식검사, 전선열화검사, 전동차 노후에 따른 고장 및 유지보수 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 대상 표본조사와 동일한 인버터제어 차량에 대한 최근 3년간(2012년~2014년)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균 고장 및 유지보수 관련 비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CC 기법에서 활용되는 유지보수 관련 비용을 분석하고 신규차량의 구매 시기에 따른 시나리오별 비용분석, 경제적 할인율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 뿐만 아니라 고장 및 안전사고에 따른 운영기관의 부대비용과 사회적비용을 포함하여 비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인버터제어 전동차 표본조사 사례분석을 통해 수명 주기비용을 고려한 예방 및 보수 정비 비용 등을 산정하고, 차량의 안전성 및 건전성을 유지하고 노후화된 주요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비용, 고장 및 사고로 인한 부대비용(정기적으로 소요되는 예방정비비용을 제외한 고장으로 인한 정비비용, 고장수리로 인한 운행손실)과 사회적비용(고장, 사고 및 지연으로 인한 승객의 손실, 인적 및 물적 피해비용) 등을 포함하였다.
  •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전동차의 설계수명이 도래하기 전에 잔여수명을 합리적으로 산정하여 신규차량의 구매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동차 수명주기분석 기법인 LCC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고장 및 안전사고로 인해 운영기관이 추가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부대비용과 승객의 시간가치 기회비용 등을 함께 고려하여 전동차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비용분석을 위해 인버터제어 전동차 표본 5량을 조사 분석하고 최근 3년간 비용관련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분석대상 구간에서는 편도방향 기준으로 첨두시에는 약 24~26편성, 비첨두시에는 약 14편성이 동시에 운행하고 있으므로, 노선의 중간지점에서 지연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평균 약 10편성의 열차가 피해를 입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1회 지연운행당 소요시간은 지연의 원인에 따라 큰 편차(몇 분에서 몇 시간까지)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 객관적인 통계자료가 없으므로, 『철도사고 등의 보고에 관한 지침』[12]의 전동열차 지연운행 정의(10분 이상 지연 운행)과 여러 지연사례를 참조하여 1회 운행 지연당 평균 20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편성당 평균 승객수는 분석 대상구간 각 역별 통과인원(철도통계연보[13])과 역별 운행횟수를 활용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령 16년 이후부터 고장 발생이 연간 5%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고장횟수를 산정하였다. 고장 정비비용은 일반적으로 예방정비비용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본 연구에서는 인버터제어 전동차 표본 5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영기관의 기본검수 비용의 월 평균 비용(약 722만원)을 참조하여 800만원으로 가정하였다.
  • 하지만, 차량 노후화로 인한 인적, 물적피해를 일으키는 도시철도 교통사고에 대한 객관적인 통계자료가 부족하다. 다만 인적, 물적 피해는 식(1)에서 설명한 연간 고장횟수(차령 16년 이후부터 연간 5% 고장발생 증가)보다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적, 물적 피해 발생을 일으키는 도시철도 교통사고 건수가 차령 25년 이후부터 연간 3%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 수집된 인버터제어 전동차의 운행 장애 데이터를 차령별로 분석한 결과, 차령 16년 이후부터 운행 장애 발생 건수가 증가했으며 증가율이 연간 최소 5%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령 16년 이후부터 고장 발생이 연간 5%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고장횟수를 산정하였다. 고장 정비비용은 일반적으로 예방정비비용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본 연구에서는 인버터제어 전동차 표본 5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영기관의 기본검수 비용의 월 평균 비용(약 722만원)을 참조하여 800만원으로 가정하였다.
  • 연간 가동률은 연간 평균고장간거리(MKBF)와 연관되어 있다. 목표 가동률(99%)을 기준으로 가동률 1% 감소에 따른 운영기관의 평균 운행손실은 객관적 통계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산정하기 어려우며 Han 등 [6]을 참고하여 1,000만원으로 가정하였다. MKBF는 19,000km이며, 고장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MKBF 및 가동률은 감소하게 된다[6].
  • 편성당 평균 승객수는 분석 대상구간 각 역별 통과인원(철도통계연보[13])과 역별 운행횟수를 활용 하였다. 분석 대상구간의 평균 1회 운행당 역별 통과인원은 약 560명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편성당 평균 승객수를 550명으로 가정하였다. 승객 1인당 시간가치는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11]의 수도권 철도 평균 시간가치를 참조하여 4,867원/인·시간(2014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 피해 편성수는 지연이 운행노선의 어느 지점에서 발생하느냐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편도방향 중간 지점에서 지연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분석대상 구간에서는 편도방향 기준으로 첨두시에는 약 24~26편성, 비첨두시에는 약 14편성이 동시에 운행하고 있으므로, 노선의 중간지점에서 지연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평균 약 10편성의 열차가 피해를 입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1회 지연운행당 소요시간은 지연의 원인에 따라 큰 편차(몇 분에서 몇 시간까지)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 객관적인 통계자료가 없으므로, 『철도사고 등의 보고에 관한 지침』[12]의 전동열차 지연운행 정의(10분 이상 지연 운행)과 여러 지연사례를 참조하여 1회 운행 지연당 평균 20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정밀안전진단은 차령이 23년이 되는 해에 실시하고 대수선은 정밀진단 직후에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신규차량 구매비용은 신규차량 투입 해당년도에 일시불로 지불한다고 가정하였다. 사용연한 25년을 초과한 구차량의 잔존가치는 폐차에 따른 수익과 동일하며, 신규 차량의 잔존가치는 식(6)과 같이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를 산정하여 잔존가치를 산정하였다.
  • MKBF는 19,000km이며, 고장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MKBF 및 가동률은 감소하게 된다[6]. 연간 누적주행거리는 약 130,000km, 표정속도는 37.57km/h, MTTR(Meantime to Repair, 평균수리시간)은 4시간으로 가정하였다.
  • 분석대상 차량의 도입시기가 서로 상이하므로 차령을 구분하고 정기검수에 필요한 주행거리를 바탕으로 유지보수 비용을 산정하였다. 정밀안전진단은 차령이 23년이 되는 해에 실시하고 대수선은 정밀진단 직후에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신규차량 구매비용은 신규차량 투입 해당년도에 일시불로 지불한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5)와 같이 사회적 비용을 산정했으며, 연간 고장횟수는 MKBF(19,000km)를 바탕으로 누적 운행거리에 따른 연간 고장횟수를 활용하였다. 피해 편성수는 지연이 운행노선의 어느 지점에서 발생하느냐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편도방향 중간 지점에서 지연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분석대상 구간에서는 편도방향 기준으로 첨두시에는 약 24~26편성, 비첨두시에는 약 14편성이 동시에 운행하고 있으므로, 노선의 중간지점에서 지연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평균 약 10편성의 열차가 피해를 입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CC는 무엇인가? LCC는 전동차 구매에서부터 폐차까지 이르는 차량의 총 생애주기에서 소요되는 비용의 총합을 말하며, 초기 투자비용(전동차 구입가격 및 감가상각비 등), 유지보수비용(예방 및 보수정비 비용 등) 및 운영비용(에너지소비, 선로사용 비용 등)을 포함한다.
기존 철도차량 수명연장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 분석연구의 한계점은? 그 동안의 철도차량 수명연장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 분석연구는 차량 운영자 또는 제작자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만을 고려하였거나, 분석 대상 차량을 현재 운행중인 차량으로 제한하여 신규차량 도입시기 및 이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의 변화(절감효과) 등을 고려하지 못해 신규차량 구매 시기에 따른 비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웠다. 특히, 2014년 4월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상당히 높아져 있는 반면, 기존 연구에서는 고장(운행장애) 및 안전사고 등으로 인해 운영기관이 추가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부대비용과 피해 승객에게 미치는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도시철도차량 사용내구연한을 규정하고 있는가? 외국의 도시철도차량 사용내구연한을 살펴보면, 국내 철도차량과 유사한 일본의 경우, 과거 철도차량 폐차기준을 운영한 사례가 있지만 현재는 폐지되어 법적인 사용내구연한에 대한 제한이 없다. 영국과 미국에서도 철도차량의 사용내구연한/폐차기준 및 정밀진단에 대해 국가적으로 법규를 만들어 규제하고 있지 않고 각 운영기관마다 철도차량 도입 시 정기검수 및 전반검수 계획을 수립하여 차량을 관리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Y. Chung, W.Y. Lee (2012) Estimation of the life-span for urban rolling stock through LCC analysis (focused on Seoul Metr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5(5), pp. 508-516. 

  2. S.M. Park, S.T. Kim (2009) A research on the economical life-span setting of rolling stock based on the LCC(Life Cycle Cost) analysis,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pp. 1-14. 

  3. S.M. Park (2009) Analysis to be used for the life cycle costs calculation of rolling stocks for EMU,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GyeongJu, pp. 1-7. 

  4. J.H. Kim, H.K. Jun, J.S. Park, H.Y. Jeong (2009) A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calculation of the railroad vehicle based o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2(1), pp. 88-94. 

  5. Y.S. Lee, J.O. Kim, H.C. Kim, D.U. Jang (2009) A study on modeling of life cycle cost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2(6), pp. 1076-1080. 

  6. S.Y. Han, S.K. Hong, C.S. Ha (2005) Analysis of life-cycle cost for urban transit system using RAM, IE Interfaces, 18(4), pp. 477-484. 

  7. K.W. Chung, Y.S. Jeon, J.Y. An, C.S. Kim, J.D. Chung (2009) Verification of life-cycle cost for the urban railway vehicl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GyeongJu, pp. 1-7. 

  8. J.W. Kim, K.W. Chung, J.S. Park, J.D. Chung (2010) A life cycle cost model and procedure for the acquisition of rolling stoc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3(3), pp. 257-263. 

  9. MOLIT (2010) A study of service life and precise diagnosis of railway vehicl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1-172. 

  10. ARAIB (2013) Railroad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Subway Line 1, Aviation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ARAIB R13-07. 

  11. KDI (2008) General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Road and Railroad), Public &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Cente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2. MOLIT (2010) A guideline for the report on railway accident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3. Achieved at www.korail.com (Accessed 14 November,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