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교사의 방과후 돌봄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협력에 대한 의미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 of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After-school Teach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2, 2015년, pp.95 - 110  

우진경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s of cooperation was conducted. This was done from the assumption that it is essential for goo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o exist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fter-school care t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는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돌봄 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면담조사를 통해 협력에 대한 그들의 이해와 경험, 협력의 어려움과 협력 증진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방과후 돌봄 프로그램의 질적 내실화를 위한 초등 교사와 방과후 돌봄 교사 간 공동체적 협력관계 형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저는 매일 둘러보려고 해요. 별다른 일이 없는지 살펴보는데 일반 선생님과 달리 쉬는 시간, 하교 시간에 가보고 교구나 관리 생활지도도 살펴보려고 해요. 우리 같은 경력자와 달리 돌봄 교실 도입 시부터 계속하는 사람이 드물어서 경력이 짧은 분들이 많아요.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안정적이고 질적인 방과후 돌봄 활동을 위해 초등 교사와 돌봄 교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이를 기반으로 한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보고 선행연구가 부족했던 초등 교사들의 돌봄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의사소통과 협력의 의미와 어려움, 그리고 증진 방안을 찾아보려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이란? Santamaria와 Thousand(2004)는 협력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 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으로 의사소통, 정보공유, 조정, 협동, 문제 해결, 협상 등을 포괄한다고 정의하였다. Hong(2005)은 학교 조직에서의 협력을 교사들이 교육활동 관련 자료를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공유하거나 수업개선 또는 학급 문제 해결을 위하여 도움을 주고받는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Yang(2008)은 돌봄 교사의 직무만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무엇을 지적하였나? Yang(2008)은 교직원 관계를 통한 소속감, 상사의 긍정적 태도와 배려, 운영 전반에 관한 관계 및 관여 정도가 직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밝혔다. 또한, 돌봄 교사가 교직원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않고 혼자서 모든 업무를 감당하며 다른 교사 집단에 동료애나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초등 방과후 돌봄 교사가 학교 조직에 대해 낮은 소속감을 보이는 것은 제고해 볼 필요가 있으며 상호간의 유대관계 형성의 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초등학교의 돌봄 교실은 어떤 의의가 있는가? 3%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의 돌봄 교실은 학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과후 보육기관이자(Rho, 2012; Shin, 2009) 지역아동센터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방과후 보육정책의 중추적인 기관으로 방과후 보육의 질적 수준과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초등학생이 정규 교육과정 이후 귀가하기 전까지 매일 3시간 이상을 방과후 보육기관에서 보낸다고 보면 방과후 돌봄 프로그램의 질적 내실화는 더욱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lue-Banning, M. J., Summers, J. A., Frankland, H. C., Nelson, L. L., & Beegle, G. (2004). Dimensions of family and professional partnerships: Constructive guidelines for collaboration. Exceptional Children, 70, 167-184. 

  2. Bruner, C. (1991). Thinking collaborative: Ten questions and answers to help policy makes improve children's service. Washington D. C.; Education and Human Service Consortium. 

  3. Bulach, C., Lunenburg, F. C., & Mccallon, R. (1994). The influence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on school climate and student achievem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4. Choi, H. K. (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Care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i, K. I. (2011). The Effect of Principle's Leadership on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Culture and Needs to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Teacher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7(1), 29-46. 

  6. Cook, L., & Friend, M. (1993). Educational leadership for teacher collaboration. In S. Bonnie(Ed.), Program Leadership for Serv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421-444. 

  7. Eo, S. M., & Lim S. T. (2013). The Relations of the Communication Ways among Teachers to Their Job Involvement with Teacher Efficacy as a Mediator.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3), 77-106. 

  8. Hatch, J. A. (2002). Doing Qualitative Reserch in Education Setting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9. Hong, C. N. (200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haracteristics and teacher commi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Korea. 

  10. Jeon, H. G., & H, D. D. (2007). A Study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for Learning Based on Teacher Meetings for Classroom Instruc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4(3), 197-219. 

  11. Jeong, S. S. (2011).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4), 351-374. 

  12. Jin, H. K. (2006). A Case Study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Welfare Workers and Teachers. Korea Youth Research, 13(4), 225-258. 

  13. Jung, W. Y. (2005). The Effect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on Their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2), 73-90. 

  14. Kim, B. Y. (2008).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Level of Communication with Organizational Members on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15. Kim, H. J., & Kim, M. J.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hool-based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s Pracice in Implementing School Refor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ion, 29(3), 77-99. 

  16. Kim, J. H & Choi, S. W. (2012). A Case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ion with Inclusive Class Teacher.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3), 488-506. 

  17. Kim, K. J.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Care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8. Kim, M. J. (2012). Analysis on Communication Network in "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4), 65-87. 

  19. Kim, T. Y. (20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ollaboration with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Other Professional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3(4), 1-26. 

  20. Kougioumtzis, K., & Patriksson, G. (2009). School-based teacher collaboration in Sweden and Greece. Teacher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5(1), 131-154. 

  21. Lee, H. J. (2011).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after-school elementary school's daycare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2. Moon, H. N. (2010). A Study on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Korea. 

  23. Rho, S. H. (2012).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Mother's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Age Child Care: A Focus on the Working Mother. 19(3), 21-40. 

  24. Santamaria & Thousand.(2004). Collaboration, co-teaching,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 process-oriented approach to whole schoo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hole Schooling, 1(1), 13-27. 

  25. Shin, N. Y. (2009).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After-school Educare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Suh, Y. S., Suh, H. J., Park, J. O., & Rho, S. H. (2012).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After-School Educare Teachers' Qualification and Guarantee of their Statu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7. Suh, Y. S., Park, J. O., & Rho, S. H.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Educare Teacher's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A Korean Journal of After-School Child Education, 11(1), 71-92. 

  28. Yang, Y. Y. (2008). Th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after-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Korea. 

  29. Yang, Y. Y., & Song, D. Y. (2009). Th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After School Teachers. A Korean Journal of After-School Child Education. 6(1), 17-40. 

  30. Wayne, K. H., & Cecil, G. M. (2007). Educational Administration. Oh, Y., Shin, H., Yang, S., & Park, J.(translation). Seoul: Academi press. (Original published in 2009). 

  31. Woo, S. J. (2011). A Study on Activation Methods for Operation of Elementary After-School Student Care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Chung Buk,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