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폼알데하이드 흡착능에 대한 커피부산물의 열처리 조건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of Coffee Waste on The Adsorptivity of Formaldehyde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15년, pp.390 - 399  

안세희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커피부산물(이하 CW)의 재자원화 방안으로 여러 조건에서 열처리한 CW를 폼알데하이드(이하 HCHO)와 함께 데시케이터에 방치한 후, CW에 흡착된 HCHO 양을 아세틸아세톤법과 dinitrophenylhydrazine (이하 DNPH)법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섬유판 제조에 있어 흡착제로서 CW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데시케이터 내의 증류수에 흡착된 HCHO 양을 아세틸아세톤법으로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CW에서 가장 낮았고 $100^{\circ}C$의 열처리 온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1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CW에 직접 흡착된 HCHO양은 $100^{\circ}C$에서 열처리한 CW에서 가장 높았으며, $50^{\circ}C$, $150^{\circ}C$, $0^{\circ}C$, $250^{\circ}C$ 그리고 $200^{\circ}C$ 순으로 측정되었다. DNPH법으로 측정한 CW의 HCHO 흡착능 결과는 데시케이터 내에 HCHO와 함께 방치시킨 무열처리 CW의 증류수에 교반시킨 용액에서는 HCHO가 검출되지 않은 반면, 열처리 CW 교반액에서는 일정량의 HCHO가 검출되었다. 그 검출량은 $10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시킨 CW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HCHO가 흡착된 CW 자체의 HCHO 양은 열처리 시간과 상관없이 $100^{\circ}C$의 열처리 온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는 HCHO 검출량의 증가폭이 줄거나 검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최대 HCHO 흡착을 위한 CW의 열처리 조건으로 기술적 그리고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100{\sim}1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10분으로 판단되며, 이 열처리 CW를 섬유판 제조에 있어 흡착제로 일정량 첨가한다면 기존 섬유판의 HCHO 방산량을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tential use of coffee waste (CW) as an adsorbent of HCHO by adding into fiberboard. For the purpose, CW treated with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s was placed in desiccator with a HCHO solution and then the HCHO adsorptivity of the CW was measured by acety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건에서 열처리한 커피부산물의 폼알데하이드 흡착능을 여러 방법으로 조사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섬유판용 폼알데하이드 흡착제로써 커피부산물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결과를 종합하면, 최대 HCHO 흡착을 위한 CW의 열처리 조건은 기술적 그리고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100∼150℃의 온도 범위에서 10분으로 판단되며, 이 열처리 CW를 섬유판 제조에 있어 흡착제로 일정량 첨가한다면 기존 섬유판의 HCHO 방산량을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따라서 현재 상기 최적 조건에서 열처리한 CW를 흡착제로 첨가한 섬유판의 현장 제조 및 이 섬유판에 대한 물성과 HCHO 방산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CW 첨가량 및 방법 그리고 흡착제 투입 공정 순 등과 같은 현장 적용 가능성과 최적 실용화 조건을 제시할 예정이다.
  • 본 연구는 인스턴트 또는 원두 커피 제조시 폐기물로 발생하는 CW의 재자원 방안으로 여러 조건에서 열처리한 CW의 HCHO 흡착능을 아세틸아세톤법과 DNPH법으로 측정한 후, 섬유판 제조에 있어 HCHO 흡착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CW의 HCHO 흡착능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규정한 데시케이터법을 토대로 다수의 예비 실험을 통하여 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이 방법에 따라 여러 조건에서 열처리한 CW를 HCHO와 함께 데시케이터에 60분간 방치한 후 흡착된 HCHO량을 아세틸아세톤법과 DNPH법으로 측정하여 CW의 최대 HCHO 흡착을 위한 열처리 조건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미노계 접착제를 적용시켜 제조한 목질보드 제품에서 발생하는 폼알데하이드 방산량을 저감시키는 기술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아미노계 접착제를 적용시켜 제조한 목질보드 제품에서 발생하는 폼알데하이드 방산량을 저감시키는 기술에는 천연계 대체 접착제의 사용(Yang et al. 2006; Yang et al. 2009; Yang et al. 2012), 접착제 제조시 포르알데히드 몰비 저감(Que et al. 2007), 다단 합성에 의한 접착제 제조(Lee et al. 2010), 포착제 첨가(Kim et al. 2008) 등과 같은 화학적인 방법과 도장 및 overlay와 같은 물리적인 방법(Park et al. 2004) 등이 개발 또는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목질보드 제품은 강도의 저하 및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판단 되며,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폼알데하이드 방산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커피부산물은 무엇인가? 상기의 모든 목적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인스턴트 및 원두 커피 제조시에 발생하는 커피부산물의 이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부산물(coffee waste)은 인스턴트 및 원두 커피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써, 커피 진액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이다. 따라서 그 발생량은 1톤의 원두에서 약 480 kg 정도에 달하는데 2009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730만톤의 생두가 수확되었으므로(ICO 2013), 연간 약 350만 톤의 커피부산물의 확보가 산술적으로 가능 하다.
인스턴트 및 원두 커피 제조시 발생하는 커피부산물은 1톤의 원두에서 어느 정도를 얻을 수있는가? 먼저 커피부산물(coffee waste)은 인스턴트 및 원두 커피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써, 커피 진액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이다. 따라서 그 발생량은 1톤의 원두에서 약 480 kg 정도에 달하는데 2009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730만톤의 생두가 수확되었으므로(ICO 2013), 연간 약 350만 톤의 커피부산물의 확보가 산술적으로 가능 하다. 국내의 경우, 2009년 기준으로 생두 및 원두 수입량은 각각 96,000톤과 3,500톤으로 매년 10% 내외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원료의 용이한 수급이 가능하다(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B.J., Chang, H.S., Lee, S.M., Choi, D.H., Cho, S.T., Han, G.S., Yang, I. 2014. Effect of binders on the durability of wood pellets fabricated from Larix kaemferi C. and Liriodendron tulipifera L. sawdust. Renewable Energy 62: 18-23. 

  2. Baquero, M.C., Giraldo, L., Moreno, J.C., Suarez-Garcia, F., Martinez-Alonso, A., Tascon, J.M.D. 2003. Activated carbons by pyrolysis of coffee bean husks in presence of phosphoric acid.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70(2): 779-784. 

  3. Boonamnuayvitaya, V., Sae-ung S., Tanthapanichakoon, W. 2004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s from coffee residues for the adsorption of formaldehyd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42(2): 159-168. 

  4.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2011. Act 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crowd facilities. Act No.10789. 

  5.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2013. Annual coffee production. 

  6. Khan, M.A., Ashraf, S.M. 2005.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lignin-phenol-formaldehyde wood adhesive using coffee bean shell.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19(6): 493-509. 

  7. Kim, J.H. 2011. Exploratory studt on the strategic advantage of strong medium enterprise in Korean take-out coffee market Caffebene story. Korean Academy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2(1): 37-58. 

  8. Kim, K.W., Lee, S.N., Baek, B.S., Lee, B.H., Kim, H.J., Choi, Y.M., Jang, S.W. 2008. The formaldehyde, VOCs emission of particleboard with cross linked vinyl resin. Adhesion and interface 9(1): 28-34.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A desiccator method for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from wood based panels. Notification No. 2010-09. KFRI. 

  10. Lee, H.S., Kang, J.W., Yang, W.H., Zong, M.S. 1998. A study on preparation of adsorbent from coffee grounds and removal of trichloroethylene in water treat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4(2): 20-31. 

  11. Lee, S.M., Park, J.Y., Park, S.B., Park, B.D. 2010.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yntheses of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adhesives. Research report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0-20. 

  12. Park, B.D., Kang, E.C., Park, J.Y. 2004. Formaldehyde emission of wood panel products with different surface finishing material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Journal of Forest Science 67: 112-116. 

  13. Pickrell, J.A., Griffis, L.C., Mokler, B.V., Hobbs, C.H., Kanapilly, G.M., Bathija, A., 1986. Formaldehyde release rate coefficients from selected consumer products. In: Meyer, B., Andrews, B. and Reinhardt, R. M. (eds) Symposium Series, Formaldehyde Release from Wood Products,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385, p. 40. 

  14. Pouwels, A.D., Anneke, T., Eijkel, B.G.B., Boon, J.J. 1987. Characterization of beech wood and its holocellulose and xylan fraction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11: 417-436. 

  15. Que, Z., Furuno, T., Katoh, S., Nishino, Y. 2007. Evaluation of three test methods in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emission from particleboard bonded with different mole ratio in the urea-formaldehyde resin. Building and Environment 42(3): 1242-1249. 

  16. Yang, I., Ahn, S.H., Choi, I.G., Kim, H.Y., Oh, S.C. 2009. Adhesives formulated with chemically modified okara and phenol-resorcinol-formaldehyde for bonding fancy veneer onto high-density fiberboard.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5: 398-402. 

  17. Yang, I., Kuo, M.L., Myers, D.J., Pu, A.B. 2006. Comparison of protein-based adhesive resins for wood composites. Journal of Wood Science 52: 503-508. 

  18. Yang, I., Han, G.S., Choi, I.G., Kim, Y.H., Ahn, S.H., Oh, S.C. 2012. Properties of plywood bonded with adhesive resins formulated with enzymatically-hydrolyzed rapeseed flour.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0(3): 177-185. 

  19. Yi, G.H., Yun, I.C., Kim, Y.K., Kim, C.C., Choi, G.J., Lee, T.S. 2013. Comparison of ACFAS method and DNPH-LC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formaldehyde in drinking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7(6): 827-8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