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조물질과 황토를 이용한 적조생물 제어에 따른광합성 효율 및 전자전달율의 차이
The difference of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electron transport rate by control of the red tide organism using algicidal substance and yellow cla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4, 2015년, pp.2951 - 2957  

손문호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해 유독 적조생물의 대발생은 해양생물 건강성과 수산어족자원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대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된 Thiazolidione 유도체(TD49)와 현장에서 적조생물을 제어하기 위하여 살포되는 황토에 대한 살조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적조생물 생사판별과 관련된 자가영양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성엽록소(activity Chl. a), 광합성효율($F_v/F_m$), 전자 전달율(electron transport rate, ETR)등을 평가하였다. 대상적조생물은 유해조류 3종과 비유해 조류 1종을 선택하였으며, 유해조류는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 Chattonella marina와 더불어 와편모조류 Heterocapsa circularisquama를 비교하였고, 비유해조류는 은편모조류 Rhodomonas salina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유해조류 3종은 살조물질(TD49)에 의하여 빠른 시간에 세포가 파괴되어 우수한 살조 효과(>80%)를 보인 반면, 황토에 관해서는 살조효율이 30%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TD49에 대한 유해조류 3종의 살조효율은 H. circularisquama> C. marina> H. akashiwo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광합성 효율 및 전자전달율 또한 극히 낮게 나타나, 광합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면, 유해조류 3종에 관해서 황토에 대한 광합성 효율과 전자전달율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1). 비유해종 R. salina 은 대조군에 비하여 TD49와 황토의 살조 효과, 광합성효율 및 전자전달율의 차이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TD49물질에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TD49물질은 유해적조 생물을 선택적으로 제어 할 수 있으며, 현장 적용시 우수한 살조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반면, 황토는 적조생물 제어에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worldwide harmful algal blooms(HAB) is a serious problem for public health and fisheries industries. To evaluate the algicidal impact on the HAB species, algicid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and yellow clay were examined, which is focus on assess the algicidal effect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조 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살포되는 황토에 대한 살조효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함과 더불어 새롭게 개발된 살조물질 TD49에 대한 선택적 살조효능 및 살조기작에 관여할 수 있는 광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적조생물(유해종 3종과 비유해종 1종)을 대상으로 황토와 TD49물질 첨가 후 종별 살조효율 비교분석, 광합성 효율, 전자 전달율과 관련된 생물활성을 각각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해 유독 적조생물의 대발생은 무엇을 초래하는가? 유해 유독 적조생물의 대발생은 해양생물 건강성과 수산어족자원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대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된 Thiazolidione 유도체(TD49)와 현장에서 적조생물을 제어하기 위하여 살포되는 황토에 대한 살조능을 조사하였다.
황토살포의 부정적인 영향 등으로 적조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새롭게 무엇을 연구해야하는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황토살포에 의한 적조구제 효율은 낮은 반면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고, 실제 피해를 본 어민들 사이에서도 황토의 구제효율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황토에 대한 구제효율에 관한 명확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 주는 것과 아울러 적조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2차 문제를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제어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하겠다.
황토살포가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유해 적조생물을 제어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화학적 방법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4]. 그 중 황토살포는 자연에서 얻은 친환경 소재로서 국민 정서적 반감을 가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1990년 이후 적극 활용되어 왔다. 일부 과학자들 사이에서 황토살포는 저서생물 및 굴 양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으나[5], 황토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대량의 물질이 발굴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라 우리나라에서는 황토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T. Park, W. J. Lee, "Change of bacterial population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the marine sediment addition of yellow loess". J, Korean fish, Soc., 31, 920-926, 1998. 

  2. W. J. Lee, Y. T. Park. "Isolation of marine bateria killingred tide microalgae II.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Pseudomonas sp. LG-2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J. Korean Fish Soc., 31, 852-858, 1998. 

  3. I. Imai, Y. Ishida, S. Sawayama, Y. Hata, "Isolation of a marine gliding bacterium that kills Chattonella antiqua(Raphidophyceae)". Nippon suisan Gakk., 57, 1409, 1991. 

  4. I. Imai, T. Sunahara, T. Nishikawa, Y, Hori, R. Kondo, S. Hiroshi, "Fluctuations of the red tide flagellates Chattonella spp. (Raphidophyceae) and the algicidal bacterium Cytophaga sp.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Mar, Biol., 138, 1043-1049, 2001. DOI: http://dx.doi.org/10.1007/s002270000513 

  5. C. H. Park., "Effects of loess application in coastal benthic ecosystem". J. Environment Soc., 15, 1035-1043, 2006. 

  6. E. P. Morris. J. C. Kromkamp,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xygen and fluorescence based estimates of photosynthetic parameters in a marine benthic diatom (Cylindrotheca closterium)". Eur. J. Phycol., 38, 133-142, 2003. DOI: http://dx.doi.org/10.1080/0967026031000085832 

  7. H. H. Lichenthaler, "Applica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Kluwer Academic Press, Dordrecht., 1988. 

  8. P. Eullaffroy, G. Vernet, "The F684/F735 chlorophyll fluorescence ratio; a potential tool for rapid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herbicide phytotoxicity in algae", Water Res., 37, 1983-1990,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43-1354(02)00621-8 

  9. S. H. Baek, M. H. Son, S. W. Jung, D. H. Na, H. Cho, M. Yamagucho, S. W. Kim, Y. O. Kim, "Enhanced species specific chemical control of harmful and non-harmful algal bloom species by th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J. Appl. Phycol., 26, 311-321, 2014. DOI: http://dx.doi.org/10.1007/s10811-013-0046-z 

  10. I. J. Song, "The phytoplankton biomass, primary productivity and photosynhesis characteristics at surf zone of a protected sandy beach", Department of oceanography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2. 

  11. Y. Wu, Y. Lee, S. G. Jung, M. J. Kim, C. Y. Eom, S. W. Kim, H. Cho, E. S. Jin, "A novel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118 showing slective algicidal effects for red tide control",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30, 1603-1614, 2014. DOI: http://dx.doi.org/10.1007/s11274-013-1584-x 

  12. K. Suresh Kumar, H. U. Dahms, J. S. Lee, H. C. Kim, W. C. Lee, K. H. Shin, "Algal phtosynthetic responses to toxic metals and herbicides assessed by chlorophyll a fluorescence", Ecotoxicol. Environ. Saf., 72, 1063-107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