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신체활동설문지(IPAQ)와 액티그래프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신체활동량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 의도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by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Actigraph Accelerometer, and Participation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of Breast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2, 2015년, pp.104 - 113  

박지연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김나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강선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hysical activity as measured by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an actigraph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 well as to identify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hysical activity program. Methods: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는 현재의 신체활동량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나 신체활동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여건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생존자들의 신체활동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와 여건에 대한 선호도 등을 포함하는 신체활동 참여의도를 규명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일상생활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IPAQ과 액티그래프를 활용한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활동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의도를 탐색해 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체활동이 암의 발생 및 예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활동량을 주관적 및 객관적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권고수준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또한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들의 총 신체활동량은 중년기 성인 혹은 다른 암환자들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신체활동의 대부분이 낮은 강도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활동량을 조사하고,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유방암 진단 후 급성기 치료가 완료된 135명을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2년 6월 1일부터 2013년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활동량을 주관적인 자가보고식 설문지와 객관적 도구인 액티그래프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포함하여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활동 참여의도를 파악해 보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IPAQ를 이용한 신체활동 측정 시 신체활동량이 실제보다 과다하게 측정될 수 있는 단점이 있어[14]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측정법과 객관적인 측정법을 병행하여 비교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15]. 이에 본 연구에서도 IPAQ을 이용한 주관적인 신체활동량을 주요 방법으로 채택하되, 부가적으로 액티그래프 가속도계를 이용한 객관적인 신체활동량을 병행하여 측정한 후 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활동이란 무엇인가? 신체활동은 골격근이 수축하면서 휴식할 때 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의미하며, 신체활동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운동은 계획적이고 조직적이며 반복적인 신체의 움직임을 의미한다[4]. 따라서 신체활동은 이러한 운동의 개념까지를 포함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모든 신체 움직임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신체활동이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과 같이 에스트로겐과 관련된 암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한 것인 이유는? 이러한 추세로 인해 암 환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체활동은 금연, 체중 조절, 식이와 더불어 암환자의 건강증진과 재발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2]. 이중 신체활동은 생식기계 호르몬의 수준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과 같이 에스트로겐과 관련된 암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국내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이 지난 5년간 급격히 증가하여 무엇이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가? 3%로 급격한 증가율을 보였다[1]. 이러한 추세로 인해 암 환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체활동은 금연, 체중 조절, 식이와 더불어 암환자의 건강증진과 재발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2]. 이중 신체활동은 생식기계 호르몬의 수준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과 같이 에스트로겐과 관련된 암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and statistics [internet]. Seoul: Korea; 2012 cited 2012 Dec27.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 page1&CONT_SEQ280286 

  2. Kushi LH, Doyle C, McCullough M, Rock CL, Demark-Wahnefried W, Bandera EV, et al.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o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for cancer prevention: reducing the risk of cancer with healthy food choices and physical activity.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012;62(1):30-67. http://dx.doi.org/10.3322/caac.20140 

  3. Ingram C, Visovsky C. Exercise intervention to modify physiologic risk factors in cancer survivor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007;23(4):275-284. http://dx.doi.org/10.1016/j.soncn.2007.08.005 

  4. Caspersen CJ, Powell KE, Christenson GM.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orts. 1985;100(2):126-131. 

  5. Herman DR, Ganz PA, Petersen L, Greendale GA.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The Cancer and Menopause Study (CAM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05;93(1):13-23. http://dx.doi.org/10.1007/s10549-005-2418-9 

  6. Colditz GA, Hankinson SE. The nurses' health study: lifestyle and health among women. Nature Reviews Cancer. 2005;5(5):388-396. http://dx.doi.org/10.1038/nrc1608 

  7. Baumann FT, Bloch W, Weissen A, Brockhaus M, Beulertz J, Zimmer P, et al. Physical activ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medical treatment and in the aftercare-a review. Breast Care. 2013;8(5):330-334. http://dx.doi.org/10.1159/ 000356172 

  8. Goodwin PJ, Ennis M, Pritchard KI, Trudeau ME, Koo J, Madarnas Y, et al. Fasting insulin and outcome in early-stage breast cancer: 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2002;20(1):42-51. http://dx.doi.org/10.1200/JCO.20.1.42 

  9. Hennessy EM, Stevinson C, Fox KR. Preliminary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exercise for cancer survivor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5;9(2):155-166. http://dx.doi.org/10.1016/j.ejon.2004.08.003 

  10. Im SJ.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4. p. 1-81. 

  11. Elder JP, Ayala GX, Harris S. Theories and intervention approaches to health-behavior change in primary car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9;17(4):275-284. http://dx.doi.org/10.1016/S0749-3797(99)00094-X 

  12. Craig CL, Marshall AL, Sjostrom M, Bauman AE, Booth ML, Ainsworth BE, et al.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3;35(8):1381-1395. http://dx.doi.org/10.1249/01.mss.0000078924.61453.fb 

  13. Cho HS, Kim NH.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in patients wit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0;10(1):30-37. 

  14. Johnson-Kozlow M, Sallis JF, Gilpin EA, Rock CL, Pierce JP. Comparative validation of the IPAQ and the 7-day PAR among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006;3:7-16. http://dx.doi.org/10.1249/01.mss.0000078924.61453.fb 10.1186/1479-5868-3-7 

  15. Dyrstad SM, Hansen BH, Holme IM, Anderssen SA. Comparison of self-reported versus accelerometer- measured physical activ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14;46(1):99-106. http://dx.doi.org/10.1249/01.mss.0000078924.61453.fb 10.1249/MSS.0b013e3182a0595f 

  16. Manrow RE, Beckwith M, Johnson LE. NCI's physician data query (PDQ $^{(R)}$ )cancer information summaries: history, editorial processes, influence, and reach. Journal of Cancer Education. 2014;29(1):198-205. http://dx.doi.org/10.1007/s13187-013-0536-3 

  17. Jeong SM, Kim TH, Park CH, Kim HG, Jekal YS. Review and introduction of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actigraph. Journal of Exercise and Sport Science. 2013;19:31-41. 

  18. Kim DY, Hwang IH, Jeon SH, Bae YH, Kim NH. Estimating algorithm of physical activity expenditure and physical activity intensity using a tri-axial. Journal of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2011;5(1):27-33. 

  19. Lee EJ, Kim MA. Review on wake-sleep studies using actigraph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6;10(1):157-166. 

  20. Lee MH, Kim DY, Nam DH. Validation of the GT1M and GT3X accelerometers for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2012;14(2): 61-71. 

  21. Hendelman D, Miller K, Baggett C, Debold E, Freedson P. Validity of accelerometry for the assessment of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in the field.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0;32(9 Suppl):S442-449. http://dx.doi.org/10.1097/00005768-200009001-00002 

  22. Lee MH. Development of estimated equation of exercise intensity for children using triaxial accelerometry [dissertation]. Yongin: Youngin University; 2012 p. 1-82. 

  23. Freedson PS, Melanson E, Sirard J. Calibration of the computer science and applications,inc. accelerometer.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998;30(5): 777-781. 

  24. Chung JY, Ann KY, Lee DH, Naruse M, Son YN, Lee JW, et al.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tention and attitude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1;18(1):120-128. 

  25. Park JY. Kim N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3):245-252. 

  26. Park YH.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a community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s. 2007;37(5):5-13. 

  27. Haskell WL, Lee IM, Pate RR, Powell KE, Blair SN, Franklin BA,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7;39(8):1423-34.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0616b27 

  28. Touillaud M, Foucaut AM, Berthouze SE, Reynes E, Kempf-Lepine AS, Carretier J, et al. Design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uring adjuvant treatment for localised breast cancer: the PASAPAS feasibility study. BMJ open. 2013;3(10):e003855. http://dx.doi.org/ 10.1136/bmjopen-2013-003855 

  29. Sung KW. Relationship of daily activity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 182-190. 

  30. Rogers LQ, Markwell S, Hopkins-Price P, Vicari S, Courneya KS, Hoelzer K, et al. Reduced barriers mediated physical activity maintenanc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011;33(2):235-2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