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의 신체활동량 및 좌식행동패턴 : 가속도계와 신체활동일기를 이용하여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patterns in older adults: using an accelerometer and a physical activity diar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1, 2019년, pp.36 - 46  

고나영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경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49명을 대상으로 가속도계와 신체활동일기를 함께 사용하여 신체활동량과 좌식행동패턴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고 WHO 신체활동지침의 실천율을 평가하였다. 1. CPM과 METs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AEE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활동 강도별 1일 평균 소요시간을 살펴보면, 본 연구대상자들은 좌식행동에 소요되는 시간 (남녀 각각 60.6%, 57.6%)이 가장 많았으며 좌식행동 및 중 고강도 활동의 소요시간에서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강도 활동의 소요시간은 여자가 $364.2{\pm}74.5$분으로 남자 ($313.7{\pm}70.8$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2. 남녀 모두 수면시간을 제외한 좌식행동 (2 ~ 5단계) 중 2단계의 '휴식, 담화 및 TV보기' 활동으로 가장 많은 시간 (남자 26.9%, 여자 22.0%)을 보내고 있었으며, 남자가 $388.0{\pm}134.3$분으로 여자 ($316.1{\pm}65.2$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저강도 활동에 포함되는 활동 중에서는 7단계의 '미용 및 옷 갈아입기' 활동과 9단계의 '음식 준비 및 정리하기' 활동의 소요시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중 고강도 활동에서는 15단계의 '체조, 탁구 및 자전거타기' 활동의 소요시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많게 나타났다. 3. 좌식행동패턴을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좌식행동을 30분과 40분 이상 지속한 횟수에서 남자가 각각 $3.10{\pm}1.34$회, $1.78{\pm}1.09$회로 여자 ($2.34{\pm}1.22$회, $1.32{\pm}1.07$회)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나 시간당 좌식행동의 지속을 끊어주는 횟수는 남자 ($5.74{\pm}0.89$회)가 여자 ($6.44{\pm}0.71$회) 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좌식행동을 30분 이상 지속한 횟수 및 시간 당 좌식행동을 끊어주는 횟수는 2단계의 '휴식, 담화 및 TV보기' 활동의 소요시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주로 저강도 활동을 통해서 좌식행동의 지속이 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주일 동안 중 고강도 활동을 각각 2분과 5분 이상 지속한 시간에서는 남자가 $319.8{\pm}255.2$분과 $247.3{\pm}228.2$분으로 여자 ($193.3{\pm}130.6$분, $137.2{\pm}101.9$분)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의 경우 중 고강도 활동의 짧은 지속시간 (10분 미만)으로 인하여 WHO 신체활동지침의 실천율이 22.4% (남자 30.8%, 여자 13.0%)으로 매우 낮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의 경우 장시간 지속되는 좌식행동 패턴을 줄이기 위하여 노력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앉아서 TV를 시청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함이 지적되었다. 앞으로 노인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하여, 노인의 신체활동량 및 좌식행동 패턴과 건강 관련 지표와의 관련성 분석 평가 연구가 필요하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노인만을 위한 별도의 신체활동지침 마련의 필요성이 제시된 바, 노인에게 적합한 신체활동의 적정 강도 및 적정 유지 시간 등이 반영된 새로운 지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patterns in older adults using an accelerometer and physical activity diary. Methods: Forty-nine older adults (male 26, female 23)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ore a triaxial accelerometer (ActiGraph wGT3X-BT)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3차원 중력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7일간의 신체활동을 측정 평가한 보기 드문 국내 연구로 그 가치가 크다. 또한 가속도계와 신체활동일기를 함께 사용하여 두 도구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면서 단점을 상호 보완하였으며, 좌식행동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유 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남녀 노인의 신체활동량 및 좌식행동패턴과 함께 에너지필요추정량(energy expenditure requirement, EER) 산출 시 적용되는 신체활동별 계수(physical activity coefficient, PA)를 결정하는 신체활동 수준[29]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지침 개발 및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 0%)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좌식행동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유 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좌식행동에 해당되는 2 ~ 5단계의 활동 소요시간과 가속도계로 측정한 좌식행동패턴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able 6). 그 결과 주로 2단계 활동의 소요시간에 대해서만 가속도계로 측정한 좌식행동패턴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2단계 활동의 소요시간이 많을수록 좌식행동을 장시간 지속하는 횟수가 많아지며(양의 상관관계) 좌식행동을 끊어주는 횟수는 감소(음의 상관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가속도계와 신체활동일기를 함께 사용하여 두 도구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면서 단점을 상호 보완하였으며, 좌식행동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유 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남녀 노인의 신체활동량 및 좌식행동패턴과 함께 에너지필요추정량(energy expenditure requirement, EER) 산출 시 적용되는 신체활동별 계수(physical activity coefficient, PA)를 결정하는 신체활동 수준[29]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지침 개발 및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7일간의 가속도계 착용과 함께 3일간 작성한 신체활동일기를 사용하여 신체 활동량과 좌식행동 패턴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신체활동과 좌식행동 패턴 간의 연관성과 좌식행동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기록법의 장점?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신체활동일기 또는 국제신체활동설문지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IPAQ)와 같은 자가기록법 (self reporting method)과 가속도계 (accelerometer) 등이 있다. 자가기록법의 경우 하루 동안 수행된 활동 유형을 조사함으로써 대상자의 활동 패턴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작성한 내용이 대상자의 기억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가속도계는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가속도를 측정하는 특징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신체활동량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하지만 [10] 수행된 활동의 유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11].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무엇을 권장하는가? 한편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중·고강도 활동을 10분 이상 지속하여 일주일 동안 총 150분 이상 소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8]. 그러나 이러한 WHO 신체활동지침은 노인과 성인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중·고강도 활동만을 기준으로 하는 등 좌식행동과 저강도 활동의 소요시간 등에 대해서는 간과해온 바 있다.
좌식행동 (sedentary behavior) 시간과 관련이 있는 것 2시간으로 수면 이외의 활동 시간 중 절반 이상에 해당되었다 [4]. 이는 노화로 인하여 지구력, 민첩성 및 유연성 등의 체력 저하로 신체활동량이 감소함 [5]과 관련이 있다 [6]. 이러한 노인의 신체활동 감소와 좌식생활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및 암 등의 만성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tatistics Korea.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Nov 20].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8. 

  2. Oh YM. Life expectancy of 90.8 years: political implications and responses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cited 2019 Jan 4]. Available from: https://www.khealth.or.kr/search?menuIdMENU0095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Non-communicable diseases country profiles 2018.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4. Kim YJ. Health promotion statistics year book.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5. Brill PA. Functional fitness for older adult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2004. 

  6. van der Ploeg HP, Hillsdon M. Is sedentary behaviour just physical inactivity by another name?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7; 14(1): 142. 

  7. Gonzalez K, Fuentes J, Marquez JL. Physical in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chronic diseases. Korean J Fam Med 2017; 38(3): 111-115. 

  8.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9. Biswas A, Oh PI, Faulkner GE, Bajaj RR, Silver MA, Mitchell MS, et al. Sedentary time and its association with risk for disease incidence, mortality, and hospitalization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 Intern Med 2015; 162(2): 123-132. 

  10. Ndahimana D, Kim EK. Measurement methods for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expenditure: a review. Clin Nutr Res 2017; 6(2): 68-80. 

  11. Bonomi AG, Goris AH, Yin B, Westerterp KR. Detection of type, duration,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using an accelerometer. Med Sci Sports Exerc 2009; 41(9): 1770-1777. 

  12. Amagasa S, Fukushima N, Kikuchi H, Takamiya T, Oka K, Inoue S. Light and sporadic physical activity overlooked by current guidelines makes older women more active than older men.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7; 14(1): 59. 

  13. Chen T, Kishimoto H, Honda T, Hata J, Yoshida D, Mukai N, et al. Patterns and levels of seden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in a general Japanese population: the Hisayama study. J Epidemiol 2018; 28(5): 260-265. 

  14. Davis MG, Fox KR, Hillsdon M, Sharp DJ, Coulson JC, Thompson JL.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in a diverse sample of older urban UK adults. Med Sci Sports Exerc 2011; 43(4): 647-654. 

  15. Tucker JM, Welk GJ, Beyler NK. Physical activity in U.S.: adults compliance with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Am J Prev Med 2011; 40(4): 454-461. 

  16. Bellettiere J, Carlson JA, Rosenberg D, Singhania A, Natarajan L, Berardi V, et al.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hourly and daily patterns of sedentary time in older adults living in retirement communities. PLoS One 2015; 10(8): e0136161. 

  17. Luzak A, Heier M, Thorand B, Laxy M, Nowak D, Peters A, et al. Physical activity levels, duration pattern and adherence to WHO recommendations in German adults. PLoS One 2017; 12(2): e0172503. 

  18. Davis MG, Fox KR. Physical activity patterns assessed by accelerometry in older people. Eur J Appl Physiol 2007; 100(5): 581-589. 

  19. Kim EK, Park WB, Oh MK, Kang EK, Lim JY, Yang EJ, et al. The effect of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activity on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J Korean Geriatr Soc 2010; 14(4): 212-220. 

  20. Seo JS, Koh SH, Lee YH, Back JH, Noh JS, Kim CH, et 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J Korean Geriatr Soc 2011; 15(2): 90-98. 

  21. Yim MJ. The study of daily physical activity in old women using pedometer with accelerometer. J Korean Soc Study Obes 2004; 13(3): 195-203. 

  22. Troiano RP, Berrigan D, Dodd KW, Masse LC, Tilert T, McDowell M. Physical activity in the United States measured by accelerometer. Med Sci Sports Exerc 2008; 40(1): 181-188. 

  23. Trost SG, McIver KL, Pate RR. Conducting accelerometer-based activity assessments in field-based research. Med Sci Sports Exerc 2005; 37(11 Suppl): S531-S543. 

  24. Freedson PS, Melanson E, Sirard J. Calibration of the computer science and applications, Inc. accelerometer. Med Sci Sports Exerc 1998; 30(5): 777-781. 

  25. Williams R. Kcal estimates from activity counts using the potential energy method [Internet]. Pensacola (FL): CSA, Inc.; 1998 [cited 2019 Jan 24]. Available from: https://actigraphcorp.com/research-database/kcal-estimates-from-activity-counts-using-the-potential-energy-method. 

  26. Peddie MC, Bone JL, Rehrer NJ, Skeaff CM, Gray AR, Perry TL. Breaking prolonged sitting reduces postprandial glycemia in healthy, normal-weight adult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Am J Clin Nutr 2013; 98(2): 358-366. 

  27.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ese dietary allowance. 5th revision.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1985. 

  28. Yoon JS, Kim GJ, Kim JH, Park YS, Gu JO. A study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of energy and to develop practical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adult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 

  3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2019 Jan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31. Ainsworth BE, Haskell WL, Leon AS, Jacobs DR Jr, Montoye HJ, Sallis JF, et al.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classification of energy costs of human physical activities. Med Sci Sports Exerc 1993; 25(1): 71-80. 

  32. Hills AP, Mokhtar N, Byrne NM.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expenditure: an overview of objective measures. Front Nutr 2014; 1: 5. 

  33. Diaz KM, Howard VJ, Hutto B, Colabianchi N, Vena JE, Blair SN, et al. Patterns of sedentary behavior in US middle-age and older adults: the REGARDS study. Med Sci Sports Exerc 2016; 48(3): 430-438. 

  34. Kikuchi H, Inoue S, Sugiyama T, Owen N, Oka K, Nakaya T, et al. Distinct associations of different sedentary behaviors with health-related attributes among older adults. Prev Med 2014; 67: 335-339. 

  35. Gianoudis J, Bailey CA, Daly RM. Associations between sedentary behaviour and body composition, muscle function and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Osteoporos Int 2015; 26(2): 571-579. 

  36. Hamer M, Smith L, Stamatakis E. Prospective association of TV viewing with acute phase reactants and coagulation markers: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therosclerosis 2015; 239(2): 322-327. 

  37. Statistics Korea. Life time survey academic research service final report: analysis of time allocation change between leisure, society, and human capital using life time surve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Nov 23].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origin/retrieveOriginDetail.do;jsessionidA97C37695DA1E7F0A4AF33529708DD66.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cond_organ_id1240000&research_id1240000-201600027&pageIndex1&leftMenuLevel120. 

  38. Kim EK, Lee SH, Ko SY, Yeon SE, Choe JS.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level of Korean farmers to establish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during busy farming seas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51-761. 

  39. Lee SH, Yeon SE, Son HR, Choi JS, Kim EK. Assessment of energ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for Korean farmers to establish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during the off-season for farm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52-663. 

  40. Park JA, Kim KJ, Yoon JS. A comparison of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in normal-weight and over-weight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3): 285-291. 

  41. Chastin SF, Egerton T, Leask C, Stamatakis E.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s in sedentary behavior and cardiometabolic health. Obesity (Silver Spring) 2015; 23(9): 1800-1810. 

  42. Glazer NL, Lyass A, Esliger DW, Blease SJ, Freedson PS, Massaro JM, et al. Sustained and shorter bouts of physical activity are related to cardiovascular health. Med Sci Sports Exerc 2013; 45(1): 109-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