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자 없는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 비교
Comparison of Patient-Sitter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2, 2015년, pp.169 - 178  

방미란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심선숙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이동숙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of nurses working in patient-sitter wards and general wards. Methods: The study surveyed 240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orking in both patient-sitter war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 완화와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간호업무환경 개선에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동과 일반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호자 없는 병동의 간호사들과 일반 병동 간호사들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비교 분석을 통해 보호자 없는 병원의 출범 초기인 현 시점에서 간호사들을 위해 제도적으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한지를 점검하고자 하며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보호자 없는 병동과 일반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호자 없는 병동의 간호사들과 일반 병동 간호사들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비교 분석을 통해 보호자 없는 병원의 출범 초기인 현 시점에서 간호사들을 위해 제도적으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한지를 점검하고자 하며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ou SJ. Increasing the use of nursing staff in hospitals instead of relying on family members' assistan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09;6(1):77-83. 

  2. Kwon J, Yang MS. A job analysis of acute care hospitals' formal caregiver.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10):639-651. 

  3. Choi JS, Kim JS. Nurses' perception, knowledge, and it's affect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nursing practice in hospital with no guardia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0):403-411.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0.403 

  4. You SJ, Choi YK. Institutionalization of a patient-sitter program in acute care hospital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6):370-379.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6.370 

  5. Rizzo JR, House RJ, Lirtzman SI.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70;15(2):150-163. http://dx.doi.org/10.2307/2391486 

  6. Lee MK.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with no guardia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4. p. 1-89. 

  7. Park JY, Kwon IS, Cho YC.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 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5):2163-2171. http://dx.doi.org/10.5762/KAIS.2011.12.5.2163 

  8. Kim YS, Park JY, Park SY.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09;16(1):13-25. 

  9. Woo NH, Kim SY.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9;18(2):270-280. 

  10. Kim YH, Hong MH. Effects of clinical nurse work-related hospital environments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3;20(3):271-279. 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217059 

  11. Ko YK, Park BH. The relationship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outcome among it's nurses and content analysis of nurses' workload.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4;19(1):54-67. 

  12. McCaughey D, McGhan G, Walsh EM, Rathert C, Belue R. The relationship of positive work environments and workplace injury: evidence from the national nursing assistant survey.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14;39(1):75-88. http://dx.doi.org/10.1097/HMR.0b013e3182860919 

  13. Ko YK. Relationship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o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3;19(2):207-216. http://dx.doi.org/10. 11111/jkana.2013.19.2.207 

  14. Kim KS, Han YH.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 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121-129. http://dx.doi.org/10.5807/kjohn. 2013. 22.2.121 

  15. Lee MH, Kim JK.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70-479.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470 

  16. Kim JK, Kim MJ, Kim SY, Yu M, Lee KA.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4;20(1):69-8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69 

  17. Xie Z, Wang A, Chen B. Nurse burnout and its associ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in a cross-sectional study in shanghai.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7):1537-154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576.x 

  18. Herin F, Paris C, Levant A, Vignaud MC, Sobaszek A, Soulat JM; ORSOSA group. Links between nurses' organisational work environment and upper limb musculoskeletal symptoms: Independently of effort-reward imbalance! The ORSOSA study. Pain. 2011; 152(9):2006-2015. http://dx.doi.org/10.1016/j.pain.2011.04.018 

  19. Sveinsdottir H, Biering P, Ramel A. Occupati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among Icelandic nurse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7):875-889.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5.11.002 

  20.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GUIDE(H-9-2012) "Musculoskeletal symptom questionnaire". 2012. 

  21. Kee DH, Seo SR.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nursing personnel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07;37(3):207-212. http://dx.doi.org/10.1016/j.ergon.2006.10.020 

  22.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23. Park JK.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 factors and 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4;24(3):371-382. http://dx.doi.org/10.15269/JKSOEH. 2014.24.3.371 

  24. Lee NS.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linical nurse'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a general ward,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anshim unit [master's thesis]. Seoul: Sahmyook University; 2014.p. 1-58. 

  25. Park SK, Kim JO, Cho YC.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9):3887-3896.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3887 

  26.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1-9. http://dx.doi.org/2027.42/94159 

  27. Reivich K, Shatte A.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2003. 

  28. Tusaie K, Dayer J.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4;18(3):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