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건설·건축용어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표준화 제안
Analysis on Research Trends and Proposal for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 Architectural Term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5, 2015년, pp.620 - 629  

박은하 (대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전진우 (더블유공간정보기술)

초록

건설 건축 사업의 대형화와 업무의 복잡화로 인해 정보 기술을 축적하고 공유하기 위한 필수 선결 작업은 바로 용어의 통일화 및 표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건설 건축용어 관련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2014년 8월까지의 건설 건축용어 관련 연구들을 검색하고 시기별, 유형별, 내용별로 어떠한지를 분류하고 분석한다. 조사 결과, 총 130편의 연구 결과물이 조사되었고 조사대상의 문헌 유형은 단행본이 절반을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학술지 논문, 학위 논문, 보고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봤을 때, 건설, 건축 용어 관련 연구는 1939년 이른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졌다. 내용별로는 용어의 정리 및 정립에 관한 것이 많았고 표준화, 분석, 순화어, 변화, 사전과 어휘집, 검색시스템,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노력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용어 사전이 편찬되고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나오고 있는 것은 아직 학계 및 현장에서는 용어의 통일화 및 표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향후 표준화를 위한 제언으로 여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건설 건축용어 관련 연구가 건설 건축 분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는 실질적인 계기가 되며 향후 심화 연구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되리라 짐작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bigger and more complicated, standardization of terms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academic and industrial fields in order to accumulate and share information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actual usag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 · 건축 분야에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기존 연구를 잘 찾아 볼 수 없었는데 이 연구를 통해 건설 · 건축 분야의 연구 현황을 한 번 점검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건설 · 건축 분야에서 이를 자각하고 합심하여 건설 · 건축용어의 통일화 및 표준화를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그러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 으로 어떤 것이 가장 문제인지를 지적하고 향후 이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내의 건설 · 건축용어 관련 선행연구 전부를 조사 대상으로 삼아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현재 국내의 건설 · 건축용어의 현황 및 실태에 대해 알아본다.
  • 또한 건설 · 건축용어 관련 연구가 건설 · 건축 분야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고 그 실태는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실질적인 연구가 되고자 한다.
  • 또한 건설 · 건축용어의 문제점을 해결할 제언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 · 건축 분야에서 이루어진 건설 · 건축용어 관련 연구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그동안 건설 · 건축용어에 대해 어떠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는지 그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오류 지적은 과거의 건축 용어를 분석하면서 잘못 되었음을 지적하는 연구이다. 용어의 선정 및 표현은 앞으로 용어를 선정하고 표현함에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것으로 과거의 어원을 분석한 사례를 보이며 향후 용어의 선정과 표현에 대해 다룬 글이다.
  • 이런 사회 상황의 변화로 인해 건설 · 건축 업계의 복잡다단한 용어의 사용으로 그 혼란을 야기하여 왔고 공유를 위한 시도나 노력이 결실을 맺지 못한채 현시점까지 이어져 왔기 때문에 통일된 용어의 사용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상을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 및 주제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고 그 결과가 어디까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면 알 수 있다.
  • 이를 위해 건설 · 건축용어와 관련된 연구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져 있으며 건설 · 건축 사업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 제시한 사례들은 용어의 정의가 통일되지 않고 영역마다 그 기관 및 단체에서 내리는 정의를 내리고 있는 현황을 보여준 것이다. 실제 건설 · 건축 현장에서의 사용하는 용어는 예전부터 사용되어 오는 일본어투, 고유어와 한자어의 혼용 및 오용,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 등 다양한 용어들이 뒤섞여 영역, 분야, 현장 등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큰 문제일 수도 있다.
  • 한 예로 건설 · 건축용어 사전에 나타난 건설과 건축의 용어의 뜻풀이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시기별로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에 출판된 건설 · 건축 분야의 세 사전을 먼저 비교하고 서적의 형태가 아닌 인터넷상에서 용어 사전을 다시 살펴본다. 한국어의 사전적 의미와 비교하고자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도 함께 조사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사전은 사전편찬위원회 즉 단체에서 집필하고 출판사에서 발행한 것이고 2000년대의 것은 개인이 쓰고 출판사에서 출간한 사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에서 건설․건축용어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른 학문도 마찬가지로 용어의 개념 및 정의에서부터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BIM에서 컴퓨터의 사용은 불가피한 일인데 컴퓨터는 지정된 용어만을 인식하므로 지정되지 않은 것을 사용할 경우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건설․건축용어와 관련된 연구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져 있으며 건설․건축 사업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BIM는 어떤 기술인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건설정보모델링)은 건설의 프로세스를 통합, 협업 등을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1]. 최근 이 BIM으로 컴퓨터를 통한 정보 교환 및 공유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인 인간은 물론이고 매개체인 컴퓨터도 건설․건축 관련 용어 간의 통일이 이루어져야 업무의 활성화 및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건설정보 교환의 표준화를 위해 무엇을 개발하였는가? 강병철 외는 건설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건설 분야 용어의 표준화 방향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국제표준화 기구(ISO)에서 건설정보 교환의 표준화를 위해 개발한 ISO12006과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IFD에 대해 먼저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는 해외의 용어 표준화 사례를 조사하였다. 건설 용어 표준화 방향 제안을 건설용어계획 수립, 용어 표준화 원칙 수립, 객체기반 분류체계와의 호환성 확보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전진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직무중심의 BIM 훈련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 김태성, 건축 외래서 표기동일화에 관한 연구: 건축재료 용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3. 정상규, 박우장, 박준영, "KS 건축 용어의 혼용 사례 및 표준화 방안", 대한건축학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12호, pp.141-148, 2008. 

  4. 강병철, 오명준, "건설 용어의 국제 표준화 동향 조사 및 국내 용어 표준화 방향 제안", 한국CAD/CAM 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pp.143-151, 2009. 

  5. http://www.riss.kr 

  6. 이상기, "건축용어(1)", 한글, 제7권, 제10호, pp.199-200, 1939. 

  7. 김재웅, 조선시대 영건의궤의 목조건축용어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8. 허철구, "건설 미술 분야의 일본어와 대응 양상", 새국어생활, 제5권, 제2호, pp.148-175, 1995. 

  9. http://cmcost.or.kr/gun_dic 

  10. 이희봉, "한국건축 용어 정립을 위한 시도1", 건축역사연구, 제20권, 제4호, pp.197-204, 2011. 

  11. 윤진혁, 유상봉, 김인한, "건축 용어의 온톨로지 구축과 활용",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8권, 제2호, pp.49-62, 2003. 

  12. 강대호, "건축 용어와 생각의 틀", 건축, 제50권 제12호, pp.117-118, 2006. 

  13. http://www.law.go.kr 

  14. 김한샘, "전문 용어 정비의 현황과 과제", 한말연구, 제23권, pp.93-120, 2008. 

  15. 노수만, 건설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본어에대한 연구: 충청남도 천안시를 중심으로,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