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박 과실썩음병 병원균(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한 식물유래 항균 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Plant-originated Antibacterial Compounds Against Pathogen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of Watermelon Bacterial Fruit Blotch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1, 2015년, pp.77 - 89  

노진택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식물생명과학과) ,  최용화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약용식물 133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133종 약용식물의 MeOH 추출물에 대한 bioassay를 통해 항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 추출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hexane fraction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Hexane 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chromatogram상의 각각의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 한 결과, essential oil인 d-limonene, ${\gamma}$-terpinene, ${\beta}$-linalool, terpineol과 지방산인 palmitic acid, 9,12-octadecadienoic acid, linolenic acid 그리고 steroid 화합물인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화합물 중에서 항균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d-limonene, ${\gamma}$-terpinene, ${\beta}$-linalool, terpineol의 항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두 화합물 d-limonene, ${\gamma}$-terpinene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청피로부터 분리한 d-limonene과 ${\gamma}$-terpinene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항균력이 강한 청피 추출물 또는 d-limonene과 ${\gamma}$-terpin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추출물을 수박 과실썩음병에 대한 친환경 방제용 자제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33 Species of medicinal plants wer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agrichemical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 pathogen of bacterial fruit blotch in watermelon. The MeOH-extracts of these medicinal plants were examin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by ...

주제어

참고문헌 (17)

  1. Hopkins, D. L., J. D. Cucuzza, and J. C. Watterson. 1996. Wet seed treatment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Plant Dis. 30: 529-532. 

  2. Hopkins, D. L. and N. C. Schenck. 1971. Bacterial leaf spot of watermelon caused by Pseudomonas lachrymans. Phytopathol. 62: 542-545. 

  3. Hopkins, D. L. and C. M. Thomson. 2002. Seed transmiss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cucurbits. HortSci. 37: 924-926. 

  4. Isakeit, T, M. C. Black, L. W. Barnes, and J. B. Jones. 1997. First report of infection of honeydew with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lant Dis. 81: 694. 

  5. Kubo, Z., M. Yano, and H. Matsuda. 1989. Pharmacological study on citrus fruits. I. Antiallergic effect of fruit of Citrus unshiu Markovich. Yakugaku Zasshi 109: 835-842. 

  6. Kuroyanagi, M., H. Ishii, N. Kawahara, H. Sugimoto, H. Yamada, K. Okihara, and O. Shirota. 2008. Flavonoid glycosides and limonoids from Citrus molasses. J. Nat. Med. 62: 107-111. 

  7. Langston, D. B. Jr., R. D. Walcott, R. D. Gitaitis, and F. H. Sanders Jr. 1999. First report of a fruit rot of pumpki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pv. citrulli in Georgia. Plant Dis. 83: 199. 

  8. Latin, R. X. and D. L. Hopkins. 1995.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the hypothetical exam question becomes reality. Plant Dis. 79: 761-765. 

  9. Latin, R. X. and K. K. Rane. 1990.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in Indiana. Plant Dis. 74: 331. 

  10. Lessl, J. T., A. Fessehaie, and R. R. Walcott. 2007. Colonization of female watermelon blossoms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lossom inoculum dosage and seed infestation. J. Phytopathol. 155: 114-121. 

  11. Martin, H. L., R. G. O'Brien, and D. V. Abbott. 1999. First report of Acidvorax avenae subsp. cirulli as a pathogen of cucumber. Plant Dis. 83: 965. 

  12. Matsuda, H., M. Yano, M. Kubo, M. Iinuma, M. Oyama, and M. Mizuno. 1991. Pharmocological study on citrus fruit. II. Anti-allergic effect of fruit of Citrus unshiu Markovich. on flovonoid components. Yakugaku Zasshi 111: 193-198. 

  13. Rane, K. K. and R. X. Latin. 1992.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association of the pathogen with seed. Plant Dis. 76: 509-512. 

  14. Seo, S. T., J. H. Park, J. S. Lee, K. S. Han, and S. R. Jung. 2006. Bacterial fruit blotch of melo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Res. Plant Dis. 12: 185-188. 

  15. Somodi, G. C., J. B. Jones, D. L. Hopkins, R. E. Stall, T. A. Kucharek, N. C. Hodge, and J. C. Watterson. 1991. Occurrence of a bacterial watermelon fruit blotch in Florida. Plant Dis. 75: 1053-1056. 

  16. Song, W. Y., H. M. Kim, I. Y. So, and Y. K. Kang. 1991.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subsp. citrulli: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rot on watermelon. Kor. J. Plant Pathol. 7: 177-182. 

  17. Sowel, G. Jr. and N. Schaad. 1979.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subsp. citrulli on watermelon: Seed transmission and resistance of plant introductions. Plant Dis. Rep. 63: 437-4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