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의한 멜론 과실썩음병
Bacterial Fruit Blotch of Melo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2 no.3, 2006년, pp.185 - 188  

서상태 (원예연구소 원예환경과) ,  박종한 (원예연구소 원예환경과) ,  이중섭 (원예연구소 원예환경과) ,  한경숙 (원예연구소 원예환경과) ,  정승룡 (원예연구소 원예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전남 나주와 광주의 멜론 재배포장에서 잎맥을 따라 갈색으로 변색되면서 시드는 증상이 관찰되었고, 과실 표면에는 점무늬의 수침상이 형성되며 과실 내부는 갈색으로 썩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잎과 과실의 병반부로부터 2개의 세균을 분리하여 생리생화학적 실험, 유전적 실험 및 병원성 실험 결과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로 동정되었다. 이 보고는 국내에서 최초이며, 이 병을 멜론 과실썩음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eptember and October 2005, melons(Cucumis melo L.) from the commercial greenhouses in Naju and Gwangju exhibited severe foliar necrosis and fruit rot. Leaf symptoms initially appeared as V-shaped, necrotic lesions and extending to the midrib. Symptoms on the fruit were occurred randomly as nec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itmlli에 의한 식물병 발생 보고는 송 등(1991)에 의해 전북 고창의 수박 재배지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나, 다른 박과 작물에서의 발생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광주와 나주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멜론으로부터 과실썩음병균을 분리하여 생리 생화학적 방법, 분자유전학적 방법 및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 citrulli로 동정되었다. 이 보고는 국내에서 최초이며, 이 병을 멜론 과실썩음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sakeit, T., Black, M. C., Barnes, L. W. and Jones, J. B. 1997. First report of infection of honeydew with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lant Dis. 81: 694 

  2. Latin, R. X. and Rane, K. K. 1990.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in Indiana. Plant Dis. 74: 331 

  3. Langston, D. B., Jr., Walcott, R. D., Gitaitis, R. D. and Sanders, F. H., Jr. 1999. First report of a fruit rot of pumpki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pv. citrulli in Georgia. Plant Dis. 83: 199 

  4. Lee, S. D., Lee, J. H., Kim, Y. K., Heu, S. G. and Ra, D. S. 2005. Bacterial blight of sesam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 Res. Plant Dis. 11: 146-151 

  5. Martin, H. L., O'Brien, R. G. and Abbott, D. V. 1999. First report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s a pathogen of cucumber. Plant Dis. 83: 965 

  6. Schaad, N. W., Jones, J. B. and Chun, W. 2001. Plant pathogenic bacteria. 3rd ed. APS Press, Minnesota, USA 

  7. Song, W. Y., Kim, H. M., So, I. Y. and Kang, Y. K. 1991.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subsp. citrulli: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rot on watermelon. Korean J. Plant Pathol. 7: 177-182 

  8. Sowel, G., Jr. and Schaad, N. W. 1979.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subsp. citrulli on watermelon: Seed transmission and resistance of plant introductions. Plant Dis. Rep. 63: 437- 441 

  9. Walcott, R. R., Fessehaie, A. and Castro, A. C. 2004. Differences in pahtogenicity between two genetically distinct groups of Acidovoarax avenae subsp. citrulli on cucurbit hosts. J. Phytopathol. 152: 277-285 

  10. Walcott, R. R. and Gitaitis, R. D. 2000. Detect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watermelon seed using immunomagnetic separattion and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lant Dis. 84: 470-474 

  11. William, G. W., Susan, M. B., Date, A. P. and David, J. L. 1991.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173: 697-7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