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박과 작물에서 과실썩음병을 일으키는 Acidovorax citrulli 집단의 유전적 특성
Genetic Characteristics of Acidovorax citrulli Population Causing Bacterial Fruit Blotch against Cucurbits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1 no.2, 2015년, pp.82 - 88  

송정영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박수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서문원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남명현 (충남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  임현섭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이성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이윤수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  김홍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idovorax citrulli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박과 작물 재배포장에서 과실썩음병(bacterial fruit blotch)을 일으키며,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효과적인 병 방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전국의 주요 박과 작물 재배지역으로부터 얻은 A. citrulli 33균주들을 대상으로 5개 유전자(16S rRNA, adk, gltA, glyA, pilT)를 이용한 multi-locus 유연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A. citrulli 집단은 종 특이적이며, 그룹 특이적인 유전적 특성들을 기반으로 KCC1과 KCC2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은 수박과 오이와 멜론분리균들을 모두 포함했고 이들 중 KCC2 그룹 균주들의 발생이 우세했다. KCC1 그룹 균주들은 수박이외 기주에서의 발생비율이 64%였으나, KCC2 그룹에서는 수박분리균의 비율이 72%로 우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A. citrulli 집단에 유전적인 변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효과적인 박과 작물 과실썩음병 방제체계 수립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idovorax citrulli,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has caused an economically destructive damage in cucurbits cultivation fields worldwide. To consider more effective disease management, 33 A. citrulli isolates collected from various cucurbits in Korea were analysed by multi-locus phy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과 작물에서 과실썩음병을 일으키는 국내 A. citrulli 집단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multi-locus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리기주 별 종내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cidovorax citrulli는 국내 어디서 처음 보고되었는가? citrulli)는 1980년대 미국의 수박 재배포장에서 그 발생이 최초로 보고된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박과 작물에서 과실썩음병(bacterial fruit blotch, BFB)을 일으키며,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ssis 등, 1999; Burdman과 Walcott, 2012; Cheng 등, 2000; Gemir, 1996; Hopkins, 1989, 2003; Isakeit 등, 1997; Martin과 Horlock, 2002; Schaad 등, 2008; Shirakawa 등, 2000). 국내에서는 Song 등(1991)에 의해 전북 고창 수박 재배지역에서의 발생이 최초 보고된 이래 현재까지 전국의 주요 수박, 멜론재배지에서 지속적으로 병발생과 그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Seo 등, 2006).
Acidovorax citrulli는 언제 어디서 처음 발생이 보고되었는가? avenae subsp. citrulli)는 1980년대 미국의 수박 재배포장에서 그 발생이 최초로 보고된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박과 작물에서 과실썩음병(bacterial fruit blotch, BFB)을 일으키며,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ssis 등, 1999; Burdman과 Walcott, 2012; Cheng 등, 2000; Gemir, 1996; Hopkins, 1989, 2003; Isakeit 등, 1997; Martin과 Horlock, 2002; Schaad 등, 2008; Shirakawa 등, 2000). 국내에서는 Song 등(1991)에 의해 전북 고창 수박 재배지역에서의 발생이 최초 보고된 이래 현재까지 전국의 주요 수박, 멜론재배지에서 지속적으로 병발생과 그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Seo 등, 2006).
A. citrulli의 특징은 무엇인가? A. citrulli는 주로 종자전염에 의해 1차적인 BFB를 발생시키는데, 극소수가 종자에 감염이 되었을 경우라도 밀식재배 상태의 육묘 상에서 일단 발병 시 단시간에 급속히 확산되며 유묘에 특별한 병징없이 잠재적인 감염상태로 재배포장에 이식되어 접목 및 관수 시 매우 폭발적인 전염을 일으켜 종자와 유묘 및 과실 생산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Dutta 등, 2012; Hopkins와 Thompson, 2002b; Rane과 Latin, 1992; Walcott 등, 2003). 하지만 다른 많은 세균성 병해처럼 적절한 화학적 방제수단이 없으며, 가장 효과적인 병관리 방법으로 알려진 병저항성 품종의 포장 적용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어 병관리 대책 수립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Hopkins, 1991; Hopkins와 Thompson, 2002a; Walcott,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ssis, S. M. P., Mariano, R. L. R., Silva-Hanlin, D. M. W. and Duarte, V. 1999. Bacterial fruit blotch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melon, in the state of Rio Grande Do Norte, Brazil. Fitopatol. Bras. 24: 191. 

  2. Burdman, S., Kots, N., Kritzman, G. and Kopelowitz, J. 2005. Molecular, physiological, and host-range characterizat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solates from watermelon and melon in Israel. Plant Dis. 89: 1339-1347. 

  3. Burdman, S. and Walcott, R. R. 2012. Acidovorax citrulli: generating basic and applied knowledge to tackle a global threat to the cucurbit industry. Mol. Plant Pathol. 13: 805-815. 

  4. Cheng, A. H., Hsu, Y. L., Huang, T. C. and Wang, H. L. 2000. Susceptibility of cucurbits to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nd control of fruit blotch on melon. Plant Pathol. Bull. 9: 151-156. 

  5. Dutta, B., Scherm, H., Gitaitis, R. D. and Walcott, R. R. 2012. Acidovorax citrulli seed inoculum load affects seedling transmission and spread of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Plant Dis. 96: 705-711. 

  6. Feng, J. J., Schuenzel, E. L., Li, J. and Schaad, N. W. 2009. Multilocus sequence typing reveals two evolutionary lineages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hytopathology 99: 913-920. 

  7. Gemir, G. 1996. A new bacterial disease of watermelon in Turkey: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Acidovorax avene subsp. citrulli (Schaad et al. ) Willems et al.]. J. Turk. Phytopathol. 25: 43-49. 

  8. Hopkins, D. L. 1991. Control of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with cupric hydroxide. Phytopathology 81: 1228. 

  9. Hopkins, D. L. 1989.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a new disease in the eastern USA. Proc. Cucurbitaceae 89: 74-75. 

  10. Hopkins, D. L. and Thompson, C. M. 2002a: Evaluation of Citrullus sp. germplasm for resistance to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lant Dis. 86: 61-64. 

  11. Hopkins, D. L. and Thompson, C. M. 2002b: Seed transmiss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cucurbits. Hortscience 37: 924-926. 

  12. Isakeit, T., Black, M. C., Barnes, L. W. and Jones, J. B. 1997. First report of infection of honeydew with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lant Dis. 81: 694. 

  13. Martin, H. L. and Horloc, C. M. 2002: First report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s a pathogen of Gramma in Australia. Plant Dis. 86: 1406. 

  14. Makizumi, Y., Igarashi, M., Gotoh, K., Murao, K., Yamamoto, M., Udonsri, N., Ochiai, H., Thummabenjapone, P. and Kaku, H. 2011. Genetic diversity and pathogenicity of cucurbit-associated Acidovorax. J. Gen. Plant Pathol. 77: 24-32. 

  15. Rane, K. K. and Latin, R. X. 1992.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Association of the pathogen with seed. Plant Dis. 76: 509-512. 

  16. Schaad, N. W., Postnikova, E. and Randhawa, P. 2003. Emergence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s a crop threatening disease of watermelon and melon. In: Pseudomonas syringae and Related Pathogens, ed. by N. S. Lacobellis, pp. 573-581.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17. Schaad, N. W., Postnikova, E., Sechler, A., Claflin, L. E., Vidaver, A. K., Jones, J. B., Agarkova, I., Ignatov, A., Dickstein, E. and Ramundo, B. A. 2008. Reclassification of subspecies of Acidovorax avenae as A. avenae (Manns, 1905) emend., A. cattleyae (Pavarino, 1911) comb. nov., A. citrulli (Schaad et al., 1978) comb. nov., and proposal of A. oryzae sp. nov. Syst. Appl. Microbiol. 31: 434-446. 

  18. Seo, S. T., Park, J. H., Lee, J. S., Han, K. S. and Cheong, S. R. 2006. Bacterial fruit blotch of melo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Res. Plant Dis. 12: 185-188. (In Korean) 

  19. Song, W. Y., Kim, H. M., So, I. Y. and Kang, Y. K. 1991.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subsp. citrulli: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rot on watermelon. Korean J. Plant Pathol. 7: 177-182. (In Korean) 

  20. Shirakawa, T., Kikuchi, S., Kato, T., Abiko, A. and Kaiwa, A. 2000. Occurrence of watermelon bacterial fruit blotch in Japan. Jpn. J. Plant Pathol. 66: 223-231. 

  21. Walcott, R. R., Langston, D, B., Sanders, F. H. and Gitaitis, R. D. 2000. Investigating intraspecific variat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using DNA fingerprinting and whole cell fatty acid analysis. Phytopathology 90: 191-196. 

  22. Walcott, R. R., Gitaitis, R. D. and Castro, A. C. 2003. Role of blossoms in watermelon seed infestation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hytopathology 93: 528-534. 

  23. Walcott, R. R., Fessehaie, A. and Castro, A. C. 2004. Differences in pathogenicity between two genetically distinct groups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on cucurbit hosts. J. Phytopathol. 152: 277-285. 

  24. Walcott, R. R. 2008.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of cucurbits. In: Integrated Management of Diseases Caused by Fungi, Phytoplasma and Bacteria, eds. by A. Ciancio and K. G. Mukerji, pp. 191-209. Springer Netherlands. 

  25. Wechter, W. P., Levi, A., Ling, K.-S., Kousik, C. and Block, C. C. 2011. Identification of resistance to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mong melon (Cucumis spp.) plant introductions. HortScience 46: 207-212. 

  26. Yan, S., Yang, Y., Wang, T., Zhao, T. and Schaad, N. W. 2013.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Acidovorax citrulli in China. Eur. J. Plant Pathol. 136: 171-1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