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8 no.3, 2015년, pp.15 - 24
수업시간의 적절한 분배와 활용은 효과적인 수업의 필수 조건이며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UCR(User Created Robot)활용수업 관련 연구 중에서는 수업시간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UCR활용수업 수행을 위하여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과 소실된 수업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 학생 3인을 대상으로 집중 관찰을 실시하였고 UCR활용수업 전 후에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UCR활용 수업은 일반수업에 비해 실제학습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또한 UCR활용수업에서 소실된 수업시간의 대부분은 로봇매체를 준비하거나 정리하는 시간으로 활용되었고, 일부는 학생들의 수업무관 행동 및 비집중 하거나 외부의 영향으로 수업시간이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Appropriat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learning time in class are regarded as essential and basic conditions for successful education. Nonetheless, among studies about UCR(User Created Robot) based instruction so far is difficult to find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lass. For these reasons, we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UCR활용수업의 장점은 무엇인가? | 최근 들어서는 즐겁게 배우면서도 학생들이 학습시간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UCR(User Creative Robot)활용수업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UCR활용수업은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로봇을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수업[ 8 ]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로봇을 구상하여 제작할 수 있어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자연스럽게 몰입하고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9 ][10][11][12]. 또한 UCR활용수업이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수준이 낮은 학생들도 수준이 높은 학생의 도움을 받아 수업 시간에 충실히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13]. | |
수업시간의 적절한 분배와 활용이 효과적인 수업의 필수 조건이며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그 중에서도 수업시간의 적절한 분배와 활용은 효과적인 수업의 필수 조건이며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교사가 제한시간 안에 가르쳐야할 것을 가르치지 못하거나 학생들이 주어진 시간 안에 학습과제를 완료하지 못하였다면 아무리 좋은 수업이더라도 효과적인 수업 이라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가 아무리 최상의 수업을 제공하였더라도 학생들이 그 시간에 집중하지 않았다면 그 수업은 무의미해지기 때문이다. | |
UCR활용수업이란? | 최근 들어서는 즐겁게 배우면서도 학생들이 학습시간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UCR(User Creative Robot)활용수업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UCR활용수업은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로봇을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수업[ 8 ]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로봇을 구상하여 제작할 수 있어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자연스럽게 몰입하고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9 ][10][11][12]. 또한 UCR활용수업이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수준이 낮은 학생들도 수준이 높은 학생의 도움을 받아 수업 시간에 충실히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13]. |
김정주.정구인 (2014). 0교시 체육활동에 따른 수업시간대별 집중력의 차이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4), 153-163.
성기선 (2006). 우리나라 중학교의 학교효과에 관한 연구: Creemers의 학교효과 이론모델의 검증. 교육사회학연구, 16(4), 94-114.
Carroll, J. (1963). A model of school learning. The Teachers College Record 64(8), 723-723.
Harnischfeger, A. and D. E. Wiley (1976).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s: A synoptic view. Curriculum inquiry, 6(1), 5-43.
곽형기.박기호 (2006). 협동학습에서의 체육실제학습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2(2), 15-27.
장은식 (1996). 학습 소집단의 규모에 따른 실제학습시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2), 51-62.
정성무, 김영애, 김소연, 임가람, 정광훈(2010). 디지털교과서에 미니말리즘기반의 UCR 적용 방안(1차년도)(연구보고 CR-2010-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박영숙.서혜전 (2012).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3(4), 121-140.
남동수.이태욱 (2010). 컴퓨터활용교육 2, 4: 피코크리켓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2), 117-121.
유평준 (2010). 로봇 활용 수업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4), 631-653.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McGraw-Hill.
Harnischfeger, A. (1985). Active Learning Time.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1, 42-46.
Smyth, W. J. (1981). Research on classroom management: studies of pupil engaged learning time as a special but instructive case. Britis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7(2), 127-148.
Berliner, D. C. (1979). Tempus educare. Research on teaching: Concepts, findings, and implications, 120-135.
이용숙 (2007). 수업구조분석법과 실제학습시간분석법 재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15(2), 21-49.
이용숙.이재분.소경희.전경미 (1990). 국민학교 교육현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