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원성취 프로그램이 소아암 및 난치병 환아들의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Granting Wish to Children with Life-threatening Conditions on Adjustment to Disease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Stress Caused by Disease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2, 2015년, pp.148 - 155  

이광재 (한국메이크어위시재단,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경일 (한라대학교 경영사회대학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등의 난치병 환자들의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가 갖는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메이크어위시재단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소원을 이루었던 1,597명의 환아 중 문장해독과 기억유지가 가능한 666명의 10대 이상에 해당하는 환아들에게 2015년 1월 2일에 모바일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그 결과 357명이 응답을 하였으나 성실하게 응답한 29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소아 난치병 환아들이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해서 갖는 만족도는 레질리언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질리언스는 질병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질병 적응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질병 스트레스는 질병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소아 난치병 환자를 위한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레질리언스의 향상과 질병 스트레스의 감소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이들의 질병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아 난치병 환자들의 욕구와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소원성취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만족도를 높이면 이들이 질병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동시에 현재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ish granting influences children with life-threatening medical conditions when it comes to their adaptation to disease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tress caused by disease. Methods: From January 2, 2015 through Janua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이루어진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Schilling와 Sarigiani(5)이 소원을 이룬 환아들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신뢰도와 타당성 등이 확보되지 않은 자체 연구 결과가 대부분이며 국내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실증적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소원을 이룬 난치병 환아들을 대상으로 소원성취 프로그램이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동시에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향후 소원 성취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될 난치병 환아들과 가족들에게 더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등의 난치병 환아들이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해서 갖는 만족도가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난치병 환아들을 대상으로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가 갖는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소원성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환아의 레질리언스(0.
  • 이에 본 연구는 지난 35년간 전 세계 38개국에서 34만 명 이상의 소아암 등의 난치병 환아들과 국내에서는 2003년부터 최근까지 약 2,900 여 명의 환아들에게 제공된 소원성취 프로그램이 환아들의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 및 질병 적응에 미치는 다각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17,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암으로 진료를 받은 환아의 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국내에서 2012년 한 해 동안 새롭게 ‘암’ 진단을 받은 사람은 224,177명(남 112,385명, 여 111,792명)으로 2011년에 비하여 1.8%가 증가하였으며, 소아암으로 진료를 받은 환아는 2010년 약 1만 2,000명에서 2014년 1만 4,000명으로 연평균 약 3.1%씩 증가하고 있다(1,2). 비록 소아암 환아들은 수술요법,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및 조혈모세포 이식 등 치료법의 발전으로 평균 생존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암은 아직도 우리나라 10세 미만의 아동의 경우에는 운수사고에 이은 두 번째 사망 원인이고, 10대 청소년들에게는 자살과 운수사고에 이은 세번째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3,4).
소아암 진단을 받은 환아들이 겪는 증상은 무엇인가? 소아암 진단은 즉각적인 사형선고이자 불치병이라는 인식과 그에 관련된 치료 현실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소아암 환아들은 심리적 충격과 치료과정에 대한 신체적, 경제적 부담은 물론 치료 부작용과 재발에 대한 우려 및 치료의 장기화 등으로 많은 문제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5). 이러한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아들은 질병 치료 과정에서 성장, 발달, 지적 기능 장애, 심폐 기능 장애, 근골격계 후유증, 이차적 암 발생, 신장 장애 등의 신체적 문제부터 학교생활 적응의 어려움, 우울, 불안, 위축 등 심리ㆍ사회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6,7). 또한 소아암 치료가 종료된 생존자라도 2/3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기적, 만성적인 치료 후유증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치료가 종료된 생존아는 학업성취도와 대학입학률이 낮고 성인이 되어서도 취업 및 대인관계 등에 있어서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8,9).
레질리언스란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심리ㆍ사회적으로 건강한 적응 양상을 보이고 정상적인 성장 발달 과정을 거치는 아동들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역경과 스트레스가 아닌 대상자의 강점과 능력을 인정하고 강화시켜 주는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개념이 대두되었다(11-14). 레질리언스의 사전적 의미는 ‘다시 돌아오는 경향, 회복력, 탄성’이며 사람에게 쓰일 때에는 질병, 충격, 우울, 역경으로부터 빨리 회복하는 힘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15). Beardslee(16)는 소아암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가치에 대한 확신이 높아질수록 자신감과 안정감이 생기며 병을 진취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보면 소아암 환아들에게 심리ㆍ사회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이들이 질병에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강화시키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CIC: cancer incidence rates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c2015. [cited 2015 Feb 22].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 

  2. KACLC: childhood cancer in Korea [Internet]. Seoul: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Leukemia and Cancer; c2013. [cited 2015 Feb 23]. Available from: http://www.soaam.or.kr. 

  3. Hockenberry-Eaton M, Hinds PS. Fatigu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evolution of a program of study. Semin Oncol Nurs 2000;16:261-72. 

  4. ST: Death rates for the 10 leading causes of death by ag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0. [cited 2015 Feb 22]. Available from : http://kostat.go.kr. 

  5. Schilling ML, Sarigiani P. The impact of a wish : caregiver perceptions of the benefits of granted wishes for children with life-threatening illnesses and their families. Children's Health Care 2014;43:16-38. 

  6. Cho HH.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cancer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 2006. Korean. 

  7. Landier W, Bhatia S. Cancer survivorship: a pediatric perspective. Oncologist 2008;13:1181-92. 

  8. Bhatia S, Landier W. Evaluating survivors of pediatric cancer. Cancer J 2005;11:340-54. 

  9. Gurney JG, Krull KR, Kadan-Lottick N, Nicholson HS, Nathan PC, Zebrack B, et al. Social outcomes in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cohort. J Clin Oncol 2009;27:2390-5. 

  10. Lee EH, Choi S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by self-selected music listening on terminal cancer patients' affect and stress by pain level.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77-87. 

  11. Woodgate R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in the adolescent with cancer: Part 1. J Pediatr Oncol Nurs 1999; 16:34-43. 

  12. Haase JE, Heiney SP, Roccione KS, Stutzer C. Research triangulation to derive meaning-based quality-of-life theory: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nd instrument development. Int J Cancer Suppl 1999;12:125-31. 

  13. Sim MK, Shin YH, Kim TI. Resilience, coping, and adjustment to ill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6;12:151-9. 

  14. White PH. Resilience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trasition to adulthood. J Rheumatol 1996;23:960-2. 

  15. Kim HS.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 J Korean Acad Nurs 1998;28:403-13. 

  16. Beardslee WR. The role of self-understanding in resilient individuals: the development of perspective. Am J Orthopsycharity 1989;59:266-78. 

  17. MAWA: wish impact & facts [Internet]. Phoenix (AZ): Make-A-Wish Foundation of America; c2006-2015. [cited 2015 Feb 22]. Available from: http://wish.org. 

  18. MAWK: history [Internet]. Seoul: Make-A-Wish Foundation of Korea; c2015. [cited 2015 Feb 22]. Available from: http://www. wish.or.kr. 

  19. Hockenberry-Eaton M, Manteuffel B, Bottomley S. Development of two instruments examining stress and adjustment in children with cancer. J Pediatr Oncol Nurs 1997;14:178-85. 

  20. Jeon NY. Adjustment of teenagers with cancer: a path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2001. Korean. 

  21. Kim DH.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2003. Korean. 

  22. Jong Y. An inquiry on stress and coping in child with cancer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 1998. Korean. 

  23. Kim CJ. Treatment effect of hope, proved by medical survey. Health Chosun [Internet]. 2006. Feb 14 [cited 2015 Mar 03]. Available from: http://health.chosun.com. 

  24. Choi KS, Choi SY, Ryu EJ. Hope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6;12:28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