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74세 여자 환자가 심정지 후 일반인과 119구급대원들에게 시행된 심폐소생술의 합병증인 기복증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임상양상과 병태생리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평소 건강했던 74세 여자가 식당에서 일하던 중 갑자기 발생한 의식저하로 쓰러졌다. 증상발생 후 즉시 119에 신고를 하였고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으며, 현장에 도착한 119구급대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시행된 결과 자발순환을 회복하였다. 자발순환 회복 후 환자는 인근 2차병원으로 이송되어 시행한 심전도 검사에서 급성심근경색이 의심되어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를 위해 3차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이후 시행한 X-ray 검사와 복부전산화 단층촬영 검사결과 위문접합부의 파열과 다량의 기복증을 보여 수술치료를 결정하였으나 수술실에서 다시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였으나 환자는 결국 사망하였다. 따라서 병원 전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 할 때 흉부압박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필요하며 양압 환기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또한 심폐소생술 후 발생한 기복증의 치료는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athophysiology of 74-year-old female who developed pneumoperitoneum as complications of chest compression from sudden cardiac arrest. Such chest compression is the same one excercised to by-stander and paramedic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두통 및 가슴통증 등을 호소하며, 의식이 저하된 병원 전 심정지 환자에게 일반인과 119 구급대원이 시행한 심폐소생술 후 자발순환 회복(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되었으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에서 위식도 접합부위의 위벽 결손과 함께 기복증이 발견된 환자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인과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 후 발생한 기복증에 대한 임상 양상과 병태생리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폐소생술의 합병증인 기복증에 대한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74세 여자 환자가 심정지 후 일반인과 119구급대원들에게 시행된 심폐소생술의 합병증인 기복증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임상양상과 병태생리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평소 건강했던 74세 여자가 식당에서 일하던 중 갑자기 발생한 의식저하로 쓰러졌다. 증상발생 후 즉시 119에 신고를 하였고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으며, 현장에 도착한 119구급대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시행된 결과 자발순환을 회복하였다. 자발순환 회복 후 환자는 인근 2차병원으로 이송되어 시행한 심전도 검사에서 급성심근경색이 의심되어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를 위해 3차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이후 시행한 X-ray 검사와 복부전산화 단층촬영 검사결과 위문접합부의 파열과 다량의 기복증을 보여 수술치료를 결정하였으나 수술실에서 다시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였으나 환자는 결국 사망하였다. 따라서 병원 전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 할 때 흉부압박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필요하며 양압 환기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부적절한 흉부압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미국 심장협회의 2010년 심폐소생술 지침에서는 목격자에 의한 적절한 흉부압박의 시행이 양질의 심폐소생 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1]. 구조 자에 의한 적절한 가슴압박의 위치 선정은 심박출량 및 관상동맥 관류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부적절한 흉부압박은 심정지 환자에게 근골 격계 및 내부 장기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4]. 이러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으로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흔한 합병증은 늑골 골절, 흉골 골절, 흉벽 혈종, 기흉, 심좌상, 심장파열, 위파열과 기복증 등이 심폐소생술의 합병증으로 보고되었다[5,6,7].
미국 심장협회은 양질의 심폐소생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를 무엇으로 강조하고 있는가? 미국 심장협회의 2010년 심폐소생술 지침에서는 목격자에 의한 적절한 흉부압박의 시행이 양질의 심폐소생 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1]. 구조 자에 의한 적절한 가슴압박의 위치 선정은 심박출량 및 관상동맥 관류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부적절한 흉부압박은 심정지 환자에게 근골 격계 및 내부 장기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ravers AH, Rea TD, Bobrow BJ, Edelson DP, Berg RA, Sayre MR, et al. "Part 4: CPR overview: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pp. S676-684, 2010.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10.970913 

  2. Moss AJ, Kouwenhoven WB, Jude JR, Knickerbocker GG. "Closed-chest cardiac massage". JAMA. Vol 173, No.10, pp 1064-1067, 1960. DOI: http://dx.doi.org/10.1001/jama.1960.03020280004002 

  3. Thaler MM, Stobie GH. "An improved technique of external cardiac compressio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 Heart J. Vol. 67, No. 6 :pp. 844-848. 1964. DOI: http://dx.doi.org/10.1016/0002-8703(64)90187-5 

  4. Orlowski JP. "Optimum position for external cardiac compressio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n Emerg Med. Vol. 15, No. 6, pp. 667-673, 1986. DOI: http://dx.doi.org/10.1016/S0196-0644(86)80423-1 

  5. Krischer JP, Fine EG, Davis JH, Nagel EL. "Complications of cardiac resuscitation." Chest. Vol. 92, No. 2, pp. 287-291. 1987. DOI: http://dx.doi.org/10.1378/chest.92.2.287 

  6. Sommers MS. "Potential for injury: trauma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eart Lung. Vol. 20, No. 3, pp. 287-293, 1991. 

  7. Hoke RS, Chamberlain D. "Skeletal chest injuries secondary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Vol. 63, No. 3, pp. 327-338, 2004.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4.05.019 

  8. YI Kim, SK Han, SW Park. "Unexplained massive pneumoperitoneum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ong Kong j.emerg.med. Vol. 18, No. 1, pp. 31-33, 2011. 

  9. Low LL, Ripple GR, Bruderer BP, Harrington GR. "Nonoperative management of gastric perforation secondary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tensive Care Med. Vol. 20, No. 6, pp. 442-443, 1994. DOI: http://dx.doi.org/10.1007/BF01710656 

  10. Cho YB, Choi JW, Song CS, Ryu SK, Hwang DY. "A case of gastric rupture and pneumoperitoneum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 Korean Soc Emerg Med. Vol. 14, No. 5, pp. 694-696, 2003. 

  11. Offerman SR, Holmes JF, Wisner DH. "Gastric rupture and massive pneumoperitoneum after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Emerg Med. Vol. 21, No. 2, pp. 137-139,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736-4679(01)00357-2 

  12. Bowman FP, Menegazzi JJ, Check BD, Duckett TM. "Lower esophageal sphincter pressure during prolonged cardiac arrest and resuscitation." Ann Emerg Med. Vol. 26, No. 2, pp. 216-219, 1995. DOI: http://dx.doi.org/10.1016/S0196-0644(95)70154-0 

  13. Koster RW, Baubin MA, Bossaert LL.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0 Section 2. Adult basic life support and us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Resuscitation. Vol. 81, No. 10, pp. 1277-1291, 2010.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0.08.009 

  14. Yeung J, Butler T, Digby JW, Hughes J, Higgie D, Minshall M, et al. "Basic life support providers' assessment of centre of the chest and inter-nipple line for hand position and their underlying anatomical structures." Resuscitation. Vol. 82, No. 2, pp. 190-194, 2011.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0.10.008 

  15. Strear CM, Jarnagin WR, Schecter W, Mackersie RC, Hickey MS. "Gastric rupture and tension pneumoperitoneum compli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se report." J Trauma. Vol. 44, No. 5, pp.930-932, 1998. DOI: http://dx.doi.org/10.1097/00005373-199805000-00036 

  16. Cameron PA, Rosengarten PL, Johnson WR, Dziukas L. "Tension pneumoperitoneum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d J Aust. Vol. 155, No. 1, pp. 44-47, 1991. 

  17. Kyung Won Lee, "A Case Report of Non-operative Management of Pneumoperitoneum after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Korean Soc Emerg Med. Vol. 23, No. 5, pp. 757-76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