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on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344 - 3352  

한승협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협동과정) ,  조은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노동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융합의과학협동과정) ,  감경윤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2014년 3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내원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 10명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게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대조군에는 자가인지훈련을 1일 1회,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시계 그리기 검사(Executive Clock Drawing Test; ECDT), 선로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TMT), Rey-도형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RCF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은 K-MoCA, TMT, RCFT-delayed recall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p<.05), 대조군은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K-MoCA, TMT, RCFT-delayed recall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변화량이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5).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 임상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중재 도구임을 지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on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This study was performed at C hospital in Changwon, Gyeongsangnam-do, Korea from August 2013 to M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집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BCR)프로그램 중 이미 여러 차례 검증된 외국에서 개발되어 번역해서 사용하고 있는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아닌, 국내 환자들의 상황에 맞게 언어적, 정서적, 문화적 등의 괴리감이 없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고위 인지기능인 집행 기능에서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성 뇌손상은 무엇을 일으키는가? 중등도 및 중증의 손상을 입은 경우 인지기능이 신체적 기능이나 심리사회적 기능에 비해 회복률이 현저히 떨어져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능력에 큰 문제가 나타난다[7]. 외상성 뇌손상은 다른 뇌손상과 달리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므로 물리적, 역학적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특히, 사고 시 발생하는 전단력(shearing force)과 신장력(stretching force)은 외상성 축삭손상(traumatic axonal injury)을 일으켜 점상 출혈과 백색질 병변을 일으킨다[8].
인지적 변화은 무슨 기준에 따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의 회복은 복잡한 과정으로서 기능적, 인지적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4]. 그 중 인지적 변화는 Glasgow Coma Scale(GCS)의 기준에 따라 손상 수준을 경미, 중등도, 중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5], 나이를 고려하지 않고 손상의 경중을 따지면, 외상성 뇌손상환자의 70~90%가 경미한 손상을, 5~20%가 중증도 및 중증의 손상을 입게 된다[6].
외상 후 백색질의 손상되면 백색질의 병변은 전두엽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무슨 문제를 초래하는가? 외상 후 백색질의 손상 정도에 따라 예후가 결정되는데, 백색질의 병변이 작게 일어나 보존이 잘 되어 있을수록 예후가 좋은 반면 손상이 심각 할수록 집중력, 기억력, 집행기능에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8, 9]. 특히 백색질의 병변은 전두엽에서 많이 나타나는데[10], 전두엽은 언어, 운동기능 및 행동조절 뿐 아니라 인지처리의 여러 과정에 관여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손상은 집행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Neurological disorders : public health challenges. WHO press, 2006, Available From : http://www.who.int/mental_health/neurology/neurological _disorders_report_web.pdf?ua1,(accessed Jan., 18, 2015) 

  2. A. A. Hyder, C. A. Wunderlich, P. Puvanachandra, G. Gururaj, and O. C. Kobusingye, "The impact of traumatic brain injuries: a global perspective", NeuroRehabilitation, Vol.22, No.5, pp.341-353, 2007. 

  3. J. Ghajar, "Traumatic brain injury", The Lancet, Vol.356, No.9233, pp.923-929,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0)02689-1 

  4. E. Bagiella, T. A. Novack, B. Ansel, R. Diaz-Arrastia, S. Dikmen, T. Hart, and N. Temkin, "Measuring outcome in traumatic brain injury treatment trials: recommendations from the traumatic brain injury clinical trials network", The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25, No.5, pp.375-382, 2010. DOI: http://dx.doi.org/10.1097/HTR.0b013e3181d27fe3 

  5. L. J. Carroll, J. D. Cassidy, L. Holm, J. Kraus, V. G. Coronado, and WHO Collaborating Centre Task Force o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Methodological issues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for mild traumatic brain injury: the WHO Collaborating Centre Task Force o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Suppl 43, pp.113-125, 2004. DOI: http://dx.doi.org/10.1080/16501960410023877 

  6. V. L. Feigin, & D. A. Bennett, "Handbook of clinical neuroepidemiology.", p.201-202, Nova Science Publishers, 2007. 

  7. S. Sinha, P. Gunawat, A. Nehra, and B. S. Sharma, "Cognitive, functional, and psychosocial outcome afte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a cross-sectional study at a tertiary care trauma center", Neurology India, Vol.61, No.5, pp.501-506, 2013. DOI: http://dx.doi.org/10.4103/0028-3886.121920 

  8. G. Zappala, M. Thiebaut de Schotten, and P. J. Eslinger, "Traumatic brain injury and the frontal lobes: What can we gain with diffusion tensor imaging?", Cortex, Vol.48, No.2, pp.156-165, 2012. DOI: http://dx.doi.org/10.1016/j.cortex.2011.06.020 

  9. M. F. Kraus, T. Susmaras, B. P. Caughlin, C. J. Walker, J. A. Sweeney, and D. M. Little, "White matter integrity and cognition in chronic traumatic brain injury: a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Brain : A Journal of Neurology, Vol.130, No.10, pp.2508-2519, 2007. DOI: http://dx.doi.org/10.1093/brain/awm216 

  10. C. D. Marquez de la Plata, J. Garces, E. Shokri Kojori, J. Grinnan, K. Krishnan, R. Pidikiti, J. Spence, S. Devous MD, C. Moore, R. McColl, C. Madden, and R. Diaz-Arrastia, "Deficits in functional connectivity of hippocampal and frontal lobe circuits after traumatic axonal injury", Archives of Neurology, Vol.68, No.1, pp.74-84, 2011. DOI: http://dx.doi.org/10.1001/archneurol.2010.342 

  11. C. Chayer and M. Freedman, "Frontal lobe functions", Current Neurology and Neuroscience Reports, Vol.1, No.6, pp.547-552, 2001. DOI: http://dx.doi.org/10.1007/s11910-001-0060-4 

  12. M. J. Kane and R. W. Engle, "Working-memory capacity and the control of attention: the contributions of goal neglect, response competition, and task set to Stroop interferenc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132, No.1, pp.47-70,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96-3445.132.1.47 

  13. L. Godbout and J. Doyon, "Mental representation of knowledge following frontal-lobe or postrolandic lesions", Neuropsychologia, Vol.33, No.12, pp.1671-1696, 1995. DOI: http://dx.doi.org/10.1016/0028-3932(95)00047-X 

  14. G. A. Marshall, D. M. Rentz, M. T. Frey, J. J. Locascio, K. A. Johnson, and R. A. Sperling, "Execu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 Dementia, Vol.7, No.3, pp.300-308,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alz.2010.04.005 

  15. T. Okura, B. L. Plassman, and K. M. Langa, "The association of executive function with limitations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aging, demographics, and memory study", Alzheimer's & Dementia, Vol.6, No.4, Supplement, pp.S483-S484,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alz.2010.05.1611 

  16. M. M. Sohlberg and C. A. Mateer, Introduction to cognitive rehabilitation: Theory and practice., p.414, Guilford Press, 1989. 

  17. K. D. Cicerone, D. M. Langenbahn, C. Braden, J. F. Malec, K. Kalmar, M. Fraas, T. Felicetti, L. Laatsch, J. P. Harley, T. Bergquist, J. Azulay, J. Cantor, and T. Ashman,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Upd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2003 Through 2008",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2, No.4, pp.519-530,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10.11.015 

  18. H. R. Lee, J. Y. Kim, and D. S. Han, "A Survey 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20, No.2, pp.73-84, 2012. 

  19. J. I. Kwon, H. G. Moon, M. J. Park, S. H. Park, A. R. Jeong, H. J. Jin, and C. Jang, "The effect of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REHACOM) and Natural Sound on improving Attention & Concentr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ciences, Vol.5, No.1, pp.75-88, 2008. 

  20. D. H. Kim, Y. N. Cho, and H. C. Kwon, "The Effect of Rehacom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52, No.1, pp.197-216, 2013. 

  21. S. H. Kim and J. M. Lee,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social cognition for patients with TBI",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52, No.2, pp.77-91, 2013. 

  22. S. G. Ahn, B. H. Oh, M. H. Hyun and K. J. Yu, " The Effect of Attention Training Using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REHACOM) in Chronic Schizophrenic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36, No.1, pp.72-79, 1997. 

  23. W. J. Bae, Y. K. Park, Y. W. Choi, S. H. Han, K. Y. Kam,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in Patients After a Chronic Stroke According to 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21, No.2, pp.75-89, 2013. 

  24. Y. G. Kim, "Development of a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patient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and the validation of its effects", 2011. 

  25. Y. G. Kim,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the Cognition and ADL in Stro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19, No.3, pp.75-88, 2011. 

  26. Y. G. Kim, "The Effect o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the Visual Perception in Brain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6, No.3, pp.401-419, 2012. 

  27. Y. W. Kang, J. S. Park, K. H. Yu, and B. C. Lee, "A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 as an Instrument for Screening of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VCI)",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2, pp.549-562, 2009. DOI: http://dx.doi.org/10.15842/kjcp.2009.28.2.013 

  28. K. S. Lee, H. K. Cheong, B. H. Oh, C. H. Hong, and D. W. Le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our Scoring Methods of Clock Drawing Test for Screening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8, No.1, pp.53-60, 2009. 

  29. K. I. Shulman, D. Pushkar Gold, C. A. Cohen, and C. A. Zucchero, "Clock-drawing and dementia in the community: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8, No.6, pp.487-496, 1993. DOI: http://dx.doi.org/10.1002/gps.930080606 

  30. M. D. Lezak,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p.371-537, 2004. 

  31. U. Mayr and S. W. Keele, "Changing internal constraints on action: the role of backward inhib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129, No.1, pp.4-26,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96-3445.129.1.4 

  32. L. M. Binder, "Constructional strategies on complex figure drawings after unilateral brain damag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Vol.4, No.1, pp.51-58, 1982. DOI: http://dx.doi.org/10.1080/01688638208401116 

  33. S. W. park, I. H. Park, and S. J. You,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the Cognition and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Brain Injury",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7, No.2, pp.47-57, 2013. 

  34. L. Grant,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Neuropsychiatric and Neuromedical Disorders, p.42-65,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5. E. L. Glisky, D. L. Schacter, and E. Tulving, "Computer learning by memory-impaired patient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omplex knowledge", Neuropsychologia, Vol.24, No.3, pp.313-328,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28-3932(86)90017-5 

  36. H. K. Kim, "Clinical Evaluation of the Frontal Lobe Syndrome Using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8, No.2, pp.173-190, 2001. 

  37. G. A. Kim and M. J. Lee, "according to severity of brain injury Memory disturbance and Executive dysfunction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4, No.4, pp.849-867, 2005. 

  38. U. Bivona, P. Ciurli, C. Barba, G. Onder, E. Azicnuda, D. Silvestro, R. Mangano, J. Rigon, and R. Formisano, "Executive function and metacognitive self-awareness afte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14, No.05, pp.862-868, 2008. DOI: http://dx.doi.org/10.1017/S1355617708081125 

  39. S. S. Lee, B. K. Yoo, Y. T. Kim, and H. S. Kim, "Functions of Orbitofrontal Cort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13, No.1, pp.36-44, 2007. 

  40. M. C. Welsh and B. F. Pennington,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Vol.4, No.3, pp.199-230, 1988. DOI: http://dx.doi.org/10.1080/87565648809540405 

  41. K. K. Kim, Y. Joo, J. S. Kim, J. B. Lee, O. L. Kim, W. S. Seo, D. S. Bae, and B. H. Koo, "The Subjective Psycholopathology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ccording to their Severity with and without Frontal Lobe Inj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16, No.1, pp.63-71, 2010. 

  42. Y. N. Cho, H. K. Kim, and H. C. Kwon,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Science, Vol.51, No.4, pp.261-278, 2012. 

  43. J. H. Jeong, J. M. Lee, and S. I. Song,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Rehacom) on Execu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53, No.1, pp.357-371, 2014. DOI: http://dx.doi.org/10.15870/jsers.2014.03.53.1.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