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 focused o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484 - 3490  

신기남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주선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양상현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재해율이 높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사망자 발생 등 중대재해 비율이 높아 안전교육 및 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다. 고용노동부는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사고율을 낮추기 위해 건설현장의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무를 지키는 현장이 한정적일뿐더러 형식적인 교육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실시현황, 교안 사례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효과적 교육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최근 건설현장 사망사고 유형을 공종별로 분류함으로써 교육 대상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을 현행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industry has a relatively higher accident rate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especially the serious accident rate including death.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not only implemented safety consciousness but also initiated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초안전보건교육 실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실제 교육에 사용하고 있는 교안의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하여 조사한다. 또한 교육대상의 인식 및 행동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효과적인 교육방법론에 대한 기존문헌을 조사·분석하며, 안전보건공단에 기재되어있는 3152 개의 건설현장 사망사고(1990.
  • 본 연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실시 현황을 분석하여 교육 방법 및 내용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첫째, 안전보건공단의 샘플 교안 자료를 짜깁기한 교안을 사용하여 관련 통계 및 사고 사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해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 고취에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실행 현황을 분석하여 그 방법과 내용이 개선되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과정에서 도출한 공종별 사망사고유형 빈도 자료는 건설 안전관리 관련하여 연구 및 현장에서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상기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고찰을 통하여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교육방법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03) 사례들을 공종별, 사고유형별로 분석 분류하여 공종별 빈번한 건설사고유형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한 번의 교육으로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에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공종별 교육 내용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 대상 별로 차별화된 효율적 교육내용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 건설업은 산업 특성 상 재해율이 높고 특히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높은 산업으로, 고용노동부의 2013년도 산업재해현황 발표에 따르면 전체 산업에서 건설 산업은 국내 산업 중 광업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재해자 수 비율, 재해발생건수, 사망사고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건설근로자들의 안전 의식을 고취하고 사고예방을 위해 신규 채용 일용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단위의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해왔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지속적 생성·소멸 반복으로 근로자들이 수시로 건설현장을 옮겨 다니는 건설업 특성 상 교육이수율이 높지 않았으며, 또한 현장 안전관리자 위주로 편성된 교육강사의 일괄소집교육, 강의식 위주의 교육방법으로 인해 대부분 체계적이지 못한, 형식적인 교육으로 인해 소정의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교육 내용 및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건설현장 일용근로자들의 안전의식을 고취하여 건설 산업의 재해율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교육방법론에 대한 문헌 고찰 및 공종별 사고유형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대상자의 참여를 유도·장려하는 체험식 교육을 실시하여 자율적 학습동기를 고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원칙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은 건설일용근로자가 타 현장으로 이동할 때마다 받아야 하는 건설 현장 단위의 채용 시 교육을 대체하여 건설업 차원에서 받도록 한 교육으로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고 등록한 전문교육기관에서 건설 근로자에게 꼭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보건 지식을 교육하는 제도로서(우창훈 외 1인, 2014)[4],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 첫째, 단 1회의 안전교육이라도 사람에게 회복할 수 없는 중대한 상해를 입히거나 재산상 막대한 손해를 입게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일회성의 원칙과 둘째, 궁극적인 목적은 근로자 자신이 스스로를 지배한다는 자기통제의 원리, 셋째, 그 지역의 위험여건에 잘 맞는 안전법칙을 찾아내어 현실에 잘 맞도록 융통성 있는 안전교육을 실시한다는 지역적 특수성의 원칙이다[5].
건설근로자들의 안전 의식을 고취하고 사고예방을 하기 위한 교육은? 건설업은 산업 특성 상 재해율이 높고 특히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높은 산업으로, 고용노동부의 2013년도 산업재해현황 발표에 따르면 전체 산업에서 건설 산업은 국내 산업 중 광업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재해자 수 비율, 재해발생건수, 사망사고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건설근로자들의 안전 의식을 고취하고 사고예방을 위해 신규 채용 일용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단위의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해왔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지속적 생성․ 소멸 반복으로 근로자들이 수시로 건설현장을 옮겨 다니는 건설업 특성 상 교육이수율이 높지 않았으며, 또한 현장 안전관리자 위주로 편성된 교육강사의 일괄소집교육, 강의식 위주의 교육방법으로 인해 대부분 체계적이지 못한, 형식적인 교육으로 인해 소정의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었다.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은 어떤 제도인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은 건설일용근로자가 타 현장으로 이동할 때마다 받아야 하는 건설 현장 단위의 채용 시 교육을 대체하여 건설업 차원에서 받도록 한 교육으로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고 등록한 전문교육기관에서 건설 근로자에게 꼭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보건 지식을 교육하는 제도로서(우창훈 외 1인, 2014)[4],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 첫째, 단 1회의 안전교육이라도 사람에게 회복할 수 없는 중대한 상해를 입히거나 재산상 막대한 손해를 입게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일회성의 원칙과 둘째, 궁극적인 목적은 근로자 자신이 스스로를 지배한다는 자기통제의 원리, 셋째, 그 지역의 위험여건에 잘 맞는 안전법칙을 찾아내어 현실에 잘 맞도록 융통성 있는 안전교육을 실시한다는 지역적 특수성의 원칙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 J. Kim, D. W. Shin Dong-woo, K. R. Kim, "Safety Training Model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9, No. 5, pp. 116-126, 2008. 

  2. S. Y. Jo, "A Study on Practical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Industry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3. 

  3. J. J.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lant Construction for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through Questionnair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3. 

  4. C. Woo, T. K. Oh,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Basi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ume 29, No. 3, pp. 46-55, 2014. DOI: http://dx.doi.org/10.14346/JKOSOS.2014.29.3.046 

  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2008. 

  6. S. H. Jung, T. S. Kim, Y. M. Joo, Y. B. Lee, K. S. Kang,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Scheme for Construction Work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No. 13 No. 2, pp. 9-18, 2011. 

  7. M. S. Knowles, "Applications in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Health Professions: Chapter Five of Andragogy in Action", Mobius, Vol. 5, No. 2, pp. 80-100, 1985. 

  8. J. H. Shim, "The Effects of Simulative Safety Training for Novice Employees",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2009. DOI: http://dx.doi.org/10.1002/chp.4760050212 

  9. S. J. Lee, "Influence of Practical Teaching Program on the Change of Education Apprentice's Perception regarding Teaching Skills",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10. M. W. Lee, Safety Manager Humanity Note, p.12, Jisik Gonggam, 2013. 

  11. N. J. Paik,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 of Present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the Subject Curriculum: with focus o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Curriculum(Life Science) and Commentaries", Ph. 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5. 

  12. E. H. Kim,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and the Education of Morality through Video and Animation Materials",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