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원 자료 분석을 통한 민원 특성별 서비스 관리기준 설정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by Complain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Complaints Dat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525 - 3534  

박미연 (승화기술정책연구소) ,  소병춘 (승화기술정책연구소)

초록

하수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는 하수 서비스 공급을 위한 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하수관련 시설이 건설되고 나면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개 대체 항목의 많은 부분들이 민원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서 어느 지역에 어떤 민원이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어떤 부분을 개선시킬 것인지를 찾아 서비스 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국내 자산관리 수행이 진행되고 있는 S지역의 하수 민원대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 특성별로 민원발생 대상 시설과 민원 발생 유형을 분석하여 서비스 제공 관리기준을 개발하였다. 이를 선진 하수시설 자산관리 밴치마킹 대상지역과 비교하여 S지역만의 Best Practice 구현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the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ystem of wastewater facilities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management of the service related to supply of wastewater. After the sewage facilities were built, many parts of the replacement or repair items will be occur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 수준에 대한 기준은 나라마다 기관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세계 공통으로 추구하는 목표중 하나는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삶의 조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수시설에 대한 서비스 수준평가항목에 대한 연구는 환경부 및 환경공단을 통해 수차례 연구된 바 있다.
  • 그러나 이들 논문들이 가진 한계점은 실제 지자체나 기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민원에 기반한 현재의 서비스 관리수준과 향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거나 개발해 본 사례가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민원자료를 바탕으로 자산관리의 핵심인 Best Practice차원의 S지역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현재의 서비스 수준과 향후 달성하고자 하는 서비스 목표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지역만의 특성을 반영한 Best Practice차원의 민원 대응에 대한 목표 서비스 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선진 서비스 관리기준 설정 사례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호주 Corowa shire시의 경우 Table 3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민원 처리대응시간과 관리기준을 설정하여 실천을 하고 있다.
  • 대부분 하수시설과 같은 지하매설물과 관련한 민원에 대해 관리주체들은 명확한 관리목표를 구체적으로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선진기관들이 수행하는 시설자산의 서비스 수준관리에 대한 민원처리시간 및 대응기준을 검토하고 국내 지자체수준에 맞는 서비스 수준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제시함으로서 보다 선진화된 기반시설 자산관리 체계가 이룩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S지역의 지역별 민원 발생 유형과 대상 시설별로 민원발생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서비스 제공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세부적인 대응전략을 개발하여 향후 시민들의 안전과 불편함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기준과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에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우리현실은 관에서 제공하는 차원의 서비스에 집중하는 경향이 아직도 높으며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차별화된 서비스 관리와 기준 설정 방안이 연구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서비스 관리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지역별로 발생하는 민원의 특성과 주요 민원 유형을 분석하였다.
  • 특히, 전체민원 중 기타민원이 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민원을 통한 서비스 개선 및 관리의 의도가 분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지역의 민원에 대해 지역별로 민원발생 대상과 민원 유형을 분석하여 좀 더 주민 친화적인 민원 대응 서비스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자산관리의 첫 단계로 기반시설이 주는 서비스 수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사회기반시설물들 중에서 우리삶의 질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많은 시민들이 있는지 조차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하수도 시설에 대한 특정 지역의 민원내용과 민원 발생 대상을 분석하고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하며 수요자의견이 반영된 서비스 관리 수준 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선진기관들이 수행하는 시설자산의 서비스 수준관리에 대한 민원처리시간 및 대응기준을 검토하고 국내 지자체수준에 맞는 서비스 수준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제시함으로서 보다 선진화된 기반시설 자산관리 체계가 이룩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S지역의 지역별 민원 발생 유형과 대상 시설별로 민원발생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서비스 제공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세부적인 대응전략을 개발하여 향후 시민들의 안전과 불편함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기준과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에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한국상하수도협회 (2008)는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하수도서비스 평가기준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자료에서는 국내 상하수도사업자의 공공서비스 수준 평가를 수행하여 상하수도사업자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수관련 시설이 건설되고 나면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개 대체 항목의 많은 부분들은 무엇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하수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는 하수 서비스 공급을 위한 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하수관련 시설이 건설되고 나면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개 대체 항목의 많은 부분들이 민원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서 어느 지역에 어떤 민원이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어떤 부분을 개선시킬 것인지를 찾아 서비스 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하수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무엇인가? 하수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는 하수 서비스 공급을 위한 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하수관련 시설이 건설되고 나면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개 대체 항목의 많은 부분들이 민원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세계 공통으로 하수시설을 관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 수준에 대한 기준은 나라마다 기관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세계 공통으로 추구하는 목표중 하나는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삶의 조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수시설에 대한 서비스 수준평가항목에 대한 연구는 환경부 및 환경공단을 통해 수차례 연구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 Y. Park, I. G. Yu, S. G. Bae, "Whole-lif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 good practice guide for civil infrastructure", Korea Contracting out Management Institute, pp.67-71, 2010. 

  2. J. H. Lee, M. Y. Park, J. K. Lee, M. H. Park, D. H. Jung, "Conceptual Study for Asset Management Framework Construction of Railway Infra Structure System",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1 Oct. 20, pp. 2473-2478, 2011. 

  3. E. J. Song, "Characterization of Sewage System Service Change of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erformance Indicator", University of Seoul, 2008. 

  4. J. I. Song, "A study on the estimate of weighting factor and applicability of performance indicators on wastewater utilities for contract management", Chung-ang University, 2010. 

  5. N. R. Sin, "Application of Asset Managemen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ocial Infrastructur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2. 

  6. "Guidelines for sewer maintenance service improvement", Japan Sewage Works Association, 2007. 

  7. T. Y. Choi., J. H. Kweon., "Effect and Countermeasure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to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services", KSCE 59-6, PP. 11, 2008. 

  8. S. M. Yu, Selection of Performance Indices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the Evaluation of Level of Sewer Service, Chung-Ang University. 

  9. N. H. Jo, "A Study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LoS) in Asset Management for Separated Sewer Pipes by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Chung-Ang University. 2012. 

  10. S. H. Ha, S. Kim, N. H. Jo, and K. J. Kim, "A Study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LoS) in Asset Management for Separated Sewer Pipe by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2D, pp. 147-157, 2012. 

  11. Study of the introduction of the proposed asset management system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roads and railway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8. 

  12. Development of Water and Wastewater Pipeline Total Asset Management System (II),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2009-0120. 

  13. Development research of Evaluation criteria of water and sewerage services for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 technology of environmental management technology,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14. Water and Sewer Services Assessment Pilot Project,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15. 2013 sewer statistics,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16. H. G. Hwang, S. J. Han, Y. G. Jeong,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ystem in Water and Wastewater Pipel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32, No. 12, pp.1069-1075, 2010. 

  17. Public sewer facility operations. Management guidelines (revised),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18. Benchmarking perfomance indicators for water and wastewater utilities. AWWA, 2005. 

  19. Developing Levels of Service and Perfomance Measures, INGENIUM, 2007. 

  20. ISO 24510. 24511. 24512. 2007 

  21. Legal issues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in water. IWA, 2005. 

  22. Water service management, IWA, 2005. 

  23. Strategic Asset Management of Water Supply and Wastewater Infrastructures, IWA, 2009. 

  24. Performance indicator for water and wastewater utilities, WEF, 2002. 

  25. http://csc.corowa.nsw.gov.au/wiki-int/index.php/AssetManagement_Plan_-_Sew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