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마감공사 TACT 기법 생산성 관리 -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를 활용한 생산성 관리 -
TACT Productivity Management for Finish Works of Residential Buildings using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PAR)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6 no.3, 2015년, pp.36 - 48  

주선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광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공종이 혼재하는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공기단축과 품질확보를 위해 마감공사의 체계적인 공정관리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고층 오피스 빌딩 마감공사에 적용하던 TACT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기존 기법과의 차이, 현장 상황의 차이(오피스 vs 아파트) 등으로 인해 주관사와 협력업체 간의 생산성에 관한 관점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TACT 적용을 통한 기대만큼의 효용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도출을 위한 참여주체 별 생산성 관점 차이 발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 및 실증적인 데이터와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한 분석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TACT 공정관리기법, 생산성 관리 및 생산성 지표에 대한 기존 문헌고찰과 TACT 적용 현장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해 공동주택 현장 TACT 도입 시 참여주체 간의 생산성에 대한 근본적 관점 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또한 실제 현장 사례의 생산성 제한 요인 도출 및 현재 생산성 측정값을 통해 획득 가능 생산성 값의 회귀식을 구하고, 생산성 달성율(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PAR)을 산출한다. 현 상황에서 최대로 획득 가능한 생산성(Obtainable Productivity, OP), 이를 제한하는 생산성 제한 요인(RF)으로 인해 획득하게 되는 실제 생산성(Actual Productivity, AP)의 비율 (PAR)을 통하여 주관사는 계획 대비 실적율인 기존 PPC(Percent Plan Complete) 측정을 통한 산출량 관리를 실제 현장 생산성 데이터 획득을 통한 생산성 관리 (측정, 평가, 계획, 향상)로 전환 가능하다. 협력업체는 OP 산출을 통해 TACT 적용 현장에서 획득 가능한 이론적 최대 생산성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생산성 지표인 PAR 측정값을 주관사와의 의사소통 도구 및 의사결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PAR 산출 과정 중 도출한 주요 RF 들은 현장 효용성 증대를 위한 생산성 관리 포인트로 활용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lete various types of finish works with higher quality in much less time, TACT, which was mostly used for high-rise buildings, has been adapted to meet the needs for systematic schedule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adapting TACT has not been shown as exp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 마감공사 관리를 위해 TACT 도입 시, (1) 참여자 간의 생산성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 차를 분석하고, (2) 생산성 지표를 이용해 주요 생산성 관리 점을 제공하며, (3) 생산성 분석을 통해 주관사와 협력업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 마감공사 TACT 적용 시 생산성에 대한 주관사와 협력업체의 관점 차를 이해하고 간극을 줄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TACT 기법 생산성에 대한 기존 연구 분석, 실무자 면담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마감공사 TACT 적용 사례 데이터를 생산성 지표를 통해 분석하여 공사관리와 수행 주체인 주관사와 협력업체 간의 관점 차를 이론적·현실적으로 설명하고, 주관사 및 혐렵업체 모두의 생산성을 고려한 관리점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주체 간 간극 해소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에 차별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ACT 기법을 공동주택에 적용하기에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가? 또한 기존 국내 TACT 기법 적용은 대부분 오피스빌딩 현장에 국한되어, 공동주택에의 효과적 적용을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문제들이 존재한다. 대형 평면의 1개 동으로 이루어진 오피스빌딩과 달리 공동주택은 소형 평면을 가진 여러 개 동의 단지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자재 및 인력의 수평·수직 양중 시간 및 대기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국내 주거문화 특성 상 마감 주공정선에 기포 콘크리트, 바닥 미장 등 습식 공종이 다수 존재하여 양생기간으로 인해 해당 공정의 동기화가 어렵고 기존에 비해 장비운용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TACT 기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에 공동주택 마감공정관리 효율성 증대를 위해 린건설과 LOB(Line of Balance) 개념의 TACT 공정기법을 도입하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TACT 기법은 다공구 및 공정 간 동기화를 통해 작업흐름의 신뢰성 개선, 자원 평준화, 대기시간 zero화를 달성하여 재고·낭비의 최소화, 관리편의성·변이관리능력·생산성 향상을 추구한다. 그러나 TACT 기법 적용은 기존 일반적인 마감공정 방식과의 차이로 인해 작업자와 관리자의 적응에 시간을 요하여 충분한 사전교육 및 반복적 의사소통을 필요로 한다.
TACT Scheduling Method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TACT Scheduling Method는 형식적 TACT, 불완전 TACT, 완전 TACT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윤유상 et al. 2003, 박민선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drian, J. J. (1987). Constru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Elsevier, New York, N.Y. 

  2. Ballard, G., and Howell, G. A. (2003). "Lean project management." Build. Res. Inf., 31(2), pp. 119-133. 

  3. Business Roundtable. (1987). Measuring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A Construction Industry Cost Effectiveness Project Report. 

  4. Carr, R. I., and Meyer, W. L. (1974). "Planning construction of repetitive building units." J. Constr. Div., 100(3), pp. 403-412. 

  5. Herbsman, Z., and Ellis, R. (1990). "Research of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Constr. Manage. Econom., 8(1), pp. 49-61 

  6. Hwang, H., Kim, K., Seo, S., Kim, C., and Shin, D. (2002). "Analysis of Actual Duration by Effecting Elements to Duration Estimat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3(3), pp. 84-93. 

  7. Hwang, J. (2009). "Business Process Model for Applying TACT Methodology to Finish Work in Apartment House." MS Thesis, Soonsil University. 

  8. Josephson, P. E., and Hammarlund, Y. (1999). "The causes and costs of defects in construction: A study of seven building projects." Autom. Constr., 8, pp. 681-687. 

  9. Jung, J. (2007). "Improvement of TACT Scheduling Management Process for the Finish Work of Apartment Houses."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10. Kim, B. (2012). "TACT Process Reengineering for Improving the Usability in Construction Sites."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1. Kim, J., Kim, G., and Cho, H. (2006). "The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using the TACT Technique in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6(1), pp. 79-86. 

  12. Kim, J., Yoon, Y., Jang, M., and Suh, S. (2007). "Workflow-based TACT Planning & Scheduling Process -Focused on the Finish Work of Apartment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3(6), pp. 153-162. 

  13. Kim, K.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Repetition Process Management for Finish Works Quality of Construction -Focused on Apartment Housing Project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14. Kim, O., Park, J., and Kim, B. (2012). "Reengineering of TACT Process Management Analyzed on Task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3(5), pp. 113-124. 

  15. Kim, S., Na, K., Kim, T., Yu, J., Lee, H., and Kim, C. (2003). "A Study on the TACT Management using a Daily Report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4(4), pp. 80-87. 

  16. Kim, S., Son, K., Joo, J., Lee, D., and Lee, S. (2011). " An Enhanced TACT Technique for Finish Work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1(4), pp. 396-406. 

  17. Kim, S., Yoo, J., Kim, D., and Park, J. (2014). "TACT Scheduling & Monitoring of Apartment Finish Works based on the BDM Techniqu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5(2), pp. 3-11. 

  18. Kim, T. (2008). "Improvement of TACT Scheduling Process in Finishing Works of the Residential Housing." MS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19. Kim T., Lee, H., Park, M., and Yu, J. (2011). "Productivity Management Methodology using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15(1), pp. 23-31. 

  20. Kim. T., Yu, J., Baek, T., and Lee, H. (2004).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Model through Construction Productivity Reduction Factor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4(2), pp. 135-142. 

  21. Kim. T., Yu, J., and Lee, H. (2003). "Productivity Management Methodology using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9), pp. 103-111. 

  22. Kim, Y., Han, J., Shin, D., Kim, K., Kim, C., and Seo, S. (2003). " A Tact Planning and Scheduling Process Model for Reduction of Finishing Work Dur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1), pp. 161-168. 

  23. Koskela, L. (1992). "Application of The New Production Philosophy to Construction." CIFE Technical Report No. 72, Stanford University. 

  24. Koushki, P. A., Al-Rashid, K., and Kartam, N. (2005). "Delays and cost increases in the construction of private residential projects in Kuwait." Constr. Manage. Econom., 23, pp. 285-294. 

  25. Lee, H. (2014). "Issues and Improvement Schemes of TACT Process Management Application to Practical sites in Public Housing Finishing Works."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26. Lee, J. (2001). "A Work Interference Management Model for Apartment Building Finish Work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7. Lee, W. (2011). "The Application of the TACT Method for Finish Works of Apartment Building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8. Lin, C., and Huang, H. (2010). "Improved Baseline Productivity Analysis Technique." J. Constr. Eng. Manage., 136(3), pp. 367-376. 

  29. Lowe, J. G. (198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Constr. Manage. Econom., 5(2), pp. 101-113. 

  30. Neil, J. M., and Knack, L. E. (1984). "Predicting productivity."AACE Transactions, pp. 1-8. 

  31. Oglesby, C., Parker, H., and Howell, G. (1989).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McGraw-Hill, New York, N.Y. 

  32. Okoil, C., and Pawlowski S.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42(1), pp. 15-29. 

  33. Park, M., Kim, K., Shin, D., and Cha, H. (2006). "Improvement on TACT Scheduling Method Applying Theory of Constrai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2(6), pp. 139-146. 

  34. Peer, S. (1974). "Network analysis and construction planning." J. Constr. Div., 100(3), pp. 203-210. 

  35. Rendall, F. J., and Wolf, D. M. (1983). Statistical Sources and Techniques, McGraw-Hill, London, pp. 41-52. 

  36. Sacks, R., and Goldin, M. (2007). "Lean Management Model for Construction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3(5), pp. 374-384. 

  37. Shin, D. (2009). "Application Plan of TACT Process for Finish Work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38. Sink, D. S. (1985). Productivity Management: Planning. Measurement and Evaluation, Control and Improvement, John Wiley & Sons, N.Y. 

  39. Suh, S., Kim, J., Kim, S., Kim, C., and Lee, H. (200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ACT Management Syste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4(4), pp. 145-154. 

  40. Sumanth, D. (1984). Productivity engineering and management, McGraw-Hill, New York, N.Y. 

  41. Thomas, H. R., and Mathews, C. T. (1985). "An analysis of the methods of measur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as. 

  42. Thomas, H. R., and Zavrski, I. (1999). "Construction baseline productivity: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5(5), pp. 295-303. 

  43. Xia, Bo, and Chan, Albert. (2011). "Measuring Complexity for Building Projects : a Delphi Study."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19(1), pp. 7-24. 

  44. Yoon, Y., Joung, Y., Suh, S., Shin, D., Kim, C., and Kim, K. (2003).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Dividing th Work Area Reasonably in Building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4(2), pp. 59-65. 

  45. Yoon, Y., and Suh, S. (2005). "The Application of TACT Time at Finish 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 Focused on Office Building-."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6), pp. 90-97. 

  46. Yu, J., Lee, H., Kim, S., Kim, C., and Suh S. (2004). "Effect of Labor Factors on Work Flow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4), pp. 135-142. 

  47. Ziglio E. (1996). The Delphi method and its contribution to decision making. Gazing into the oracle: The Delphi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ocial policy and public health, Jessica Kingsley Publisher,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