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추출용매에 따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unshiu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3, 2015년, pp.458 - 464  

이성구 ((주)성심바이오) ,  오성천 (대원대학교 제약식품계열) ,  장재선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928.48{\pm}1.1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664.64{\pm}0.74{\mu}g\;GAE/mL$로, acetone인 경우 진피는 $886.03{\pm}0.44{\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702.67{\pm}0.85{\mu}g\;GAE/mL$로,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413.08{\pm}1.3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429.64{\pm}0.61{\mu}g\;GAE/mL$로,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12,648.60{\pm}0.56{\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16,108.20{\pm}0.73{\mu}g\;GAE/mL$로 나타나, 진피나 에탄올 추출 진피는 모두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62.80%, 에탄올 추출 진피는 51.49%로 나타났으며, acetone인 경우 진피는 97.43%, 에탄올 추출 진피는 63.17%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52.20%, 에탄올 추출 진피는 67.68%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63%, 에탄올 추출 진피는 96.18%로 나타났다. Electron donating ability(EDA)는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76.22%, 에탄올 추출 진피는 75.54%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31.73%, 에탄올 추출 진피는 73.53%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48%, 에탄올 추출 진피는 48.70%로 나타났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진피인 경우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 진피인 경우는 에탄올과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할 때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and inhibitory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of freeze-dried Citrus unshiu extracts were examined. The Citrus unshiu extracts was obtained from fou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acetone, methyl chloride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위해 진피와 에탄올로 추출한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피란? 진피는 예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익은 귤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이다. 신선한 귤껍질은 맛이 맵기 때문에 가능하면 저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오래 저장한 귤껍질을 특히 진피(Citrus unshiu M)라고 한다.
귤에 함유된 성분 중 모세혈관 강화작용을 갖는 것은? 신선한 귤껍질은 맛이 맵기 때문에 가능하면 저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오래 저장한 귤껍질을 특히 진피(Citrus unshiu M)라고 한다. 귤에는 비타민 C, 구연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모세혈관 강화작용을 갖는 비타민 P, 인, 헤스페리딘(hesperidine)이 들어 있다. 이런 성분들은 특히 귤껍질에 많으며, 비타민 C는 과육보다 4배 이상 많다.
GST 효소의 기능은? 또한 GST의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나 유전자 서열이 동물, 식물, 곤충, 선충류, 효모, 호기성 세균 등에서 발견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종에서 GST 효소들이 보고되었다(Sheehan 등 2001). 글루타티온 전달효소의 주요 기능은 알킬, 할로겐화 아릴, 에폭사이드, 에터 등과 같은 친전자성 화합물과 글루타티온(GSH)과의 포합반응을 촉매하는 것으로(Johansson & Mannervik 2002) 외래성 이물질들에 대한 해독작용을 주 기능으로 하는 다기능 단백질로서 각종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각종 화합물과 비공유 결합하여 세포 내 저장(retention) 및 수송에 관여하는 결합 단백질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tist G, Sinha BK, Katki AG. 1987. Differential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by adriamycin in sensitive and resistant MCF-7 human breast tumor. Cells Biochemistry 26:3776-3780 

  2. Cho HY, Kong KH. 2005. Molecular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hi-type glutathione S-tranferase from Oryza sativa. Pestic Biochem Phys 83:29-36 

  3. Cho HY. 2007. Studies on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the application of plant-specific rice glutathione S-transferase. Ph. D Thesis, Chung Ang Univ. Korea 

  4. Cho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5. Chung IM, Kim KH, Ahn JK. 1998.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Medicinal Crop Sci 6:311-322 

  6. Dixon DP, Lapthorn A, Edwards R. 2002a. Plant glutathione transferase. Genome Biol 3:30004.1-30004.10 

  7. Fahl WE, Schecter RL, Alaoui-Jamali MA. 1993. Expression of a rat glutathione-S-transferase complementary DNA in rat mammary carcinoma cells: Impact upon alkylation-induced toxicity. Cancer Research 53:4900 

  8. Jo DH, Min KJ, Cha CG. 2007.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of the extract of Bulnesia sarmientia. Korean J Fd Hyg Safety 22:120-126 

  9. Johansson AS, Mannervik A. 2002. Active-site governing high steroid isomerase activity in human glutathione trasnferase A3-3. J Biol Chem 277:16648-16654 

  10. Kang MJ, Shin SR, Kim KS.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 9:253-259 

  11.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Tec 40:166-170 

  12. Kim IS, Park KS, YU HH, Shin MK.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Kor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384-394 

  13. Kim JG, Kang YM, Eom GS, G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 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iriculture Siences 37:69-75 

  14.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H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 J Food Sci 34:617-624 

  15.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oil Chem 49:328-333 

  16. Kim MH, Park SH, Jeong YJ, Yoon KY. 2012.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9:201-208 

  17. Kim MJ, Han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Cedrela sinensis tender leaf powder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Korean J Food Nutr 27:1059-1066 

  18. Kim YE, Lee YC, Kim HK, Kim CJ. 1997.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hot water extracts. Korea J Food Nutr 10:141-144 

  19. Kim YT.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MS Thesis, Dankook Univ. Korea 

  20. Kong SH, Choi YM, Lee SM,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815-819 

  21. Lee HS, Son JY. 2002.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 Korea J Food & Nutr 15:377-381 

  22. Lee KS, Park KS. 2013. A stud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hibitors obtained from Allium cepa var. cep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6:725-730 

  23. Lee MA, Choi HJ, Kang JS, Choi YH, Joo WH.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Korean J Life Sci 18:220-227 

  24. Lee SH, Lim YS. 1997.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a chinensis extract aginst Listeria monocytogenes. Kor J Appl Microbial Biotecchnol 25:442-447 

  25. Lee SK, Park JH, Kim YT. 2009. A study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Megmoondong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2: 279-285 

  26. Min SH, Park HO, Oh HS. 2002.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Korean dried tangerine pell and development of beverage by using i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51-56 

  27. Mok JY, Kang HJ, Cho JK, Jeon IH, Kim HS, Park JM, Jeong SI, Shim JS, Jang SI. 2011.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or J Herbology 26:39-47 

  28. Mun SI, Ryu HS, Lee HJ, Choi JS. 1994. Further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plants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466-471 

  29. Oh SK, Kim DJ, Chun AR, Yoon MR, Kim KJ, Lee JS, Hong HC, Kim YK.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illing by-products of rice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624-630 

  30. Park BH, Choi HK, Cho HS. 2001.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 on soybe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52-556 

  31. Park S, Yang S, Ahn D, Yang JH, Cho CH, Kim HY, Lee JH, Park JS, Kim DK. 2010. Antioxidant constituents of the heartwood of Cedrela sinensis A. Juss. Korean J Pharmacol 41:245-249 

  32. Sheehan AP, Meade G, Foley VM, Dowd CA. 2001. Structure, function and evolution of glutathione transferase: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of non-mammalian members of an ancient enzyme superfamily. Biochem J 360:1-16 

  33.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Methods in Enzymology. pp.152-177. Academic Press 

  34. Son G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 J Food & Nutr 18:219-224 

  35. Yu SY, Lee YJ, Song HS, Hong HD, Lim JH. 2012. Antioxidant effec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cortex shoot. Korean J Food & Nutr 25:793-7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