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진귤온주밀감 진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진귤 진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으며, 온주밀감의 진피는 최근의 것일수록 높았다. 진귤 진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으며, 온주밀감의 진피는 2007, 2008 및 2006년의 순서로 높았다. 진귤 진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2007, 2006(0.25 mg/mL는 예외), 2008년의 순서로 높았으나, 온주밀감은 뚜렷한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진귤(2008년 예외)과 온주밀감의 진피는 1.0 mg/mL에서 86%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진귤 진피의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으며(2007년 1.0 mg/mL 예외), 온주밀감 진피는 0.5 mg/mL 이하에서 최근에 건조된 것일수록 높았으나 1.0 mg/mL에서는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다. 진귤 진피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2007년 2.5 mg/mL를 제외하고는 모두 오래된 것일수록 활성이 높았으나, 온주밀감은 최근에 건조된 것일수록 높았다. 특히 온주밀감 진피는 2.5 mg/mL에서 8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진귤 진피의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1.0 mg/mL에서 $49.9\pm2.2\sim63.5\pm0.9$%의 범위로서 다른 활성산소 종들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리는 온주밀감 진피의 항산화 효과는 진귤의 진피의 그것과 비슷하거나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dried Citrus sunki and C. unshiu peels. The dried C. sunki peels displayed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for older dried peel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방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진피인 진귤(Citrus sunki)과 온주밀감(C. unshiu) 건조 과피의 항산화 물질과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연도별로 분석하여 진귤 진피와 온주밀감 건조 과피의 기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 과피를 건조시킨 것을 뭐라고 부르는가? 예로부터 감귤 과피를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고 하여 기가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 기능을 강화시켜 메스꺼움, 소화불량, 해수, 가래를 없애주며 이뇨작용의 효과가 있어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17). 진귤의 과피를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 부르는데, 한의학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일반 온주밀감의 건조과피를 진피로 잘못 인식하여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18).
감귤 과피의 효능은? 특히 감귤 과피에는 페놀성 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flavonoid류의 풍부한 공급원이 된다(7,8). 감귤류 과피에는 carotenoid류, bio-flavonoid류, pectin 및 terpene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9-11), 고혈압 예방(12), 혈중 LDL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작용(13) 및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며, 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14)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진피의 효능은? 예로부터 감귤 과피를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고 하여 기가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 기능을 강화시켜 메스꺼움, 소화불량, 해수, 가래를 없애주며 이뇨작용의 효과가 있어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17). 진귤의 과피를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 부르는데, 한의학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일반 온주밀감의 건조과피를 진피로 잘못 인식하여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38: 462-469. 

  2. Kim HY. 1988. Distribution, taxonomy, horticultural characters of the local Citrus spp. in Cheju, and the genetic markers among them. PhD Dissertation.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Cheonnam, Korea. 

  3. Laura B. 1998. Chemistry, dietary sources,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 Rev 56: 317-333. 

  4. Cha JY, Kim SY, Jeong SJ, Cho YS. 1999.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otic acid treated mice. Korean J Life Sci 9: 389-394. 

  5. Miyake T, Yamamoto K, Tsujihara N, Osawa T. 1998. Protective effect of lemon flavonoids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Lipids 33: 689-695. 

  6. Jeong WS, Park SW, Chung SK. 1997.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citrus peels. Foods Biotechnol 6: 292-296. 

  7. Manthey JA, Grohmann K. 2001. Phenolics in citrus peel byproducts: Concentrations of hydroxycinnamates and polymethoxylated flavones in citrus peel molasses. J Agric Food Chem 49: 3268-3273. 

  8. Rousff RL, Martin SF, Youtsey CO. 1987. Quantitative survey of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citrus. J Agric Food Chem 35: 1027-1030. 

  9. Kim YD, Kim YJ, Oh SW, Kang YJ, Lee YC.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Citrus sudachi juice and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13-1618. 

  10. Moresi M, Clementi F, Rossi J, Medici R, Vinti L. 1987. Production of biomass untreated orange peel by Fusarium avenaceum.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37-45. 

  11. Kamiya S, Esaki S. 1971.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the citrus flavonoids. Nippn Shokuhin Kogyo Gakkaishi 18: 38-48. 

  12. Son HS, Kim HS, Kwon TB, Ju JS. 1992. Isolation, purification and hypotensive effects of bioflavonoids in Citrtus sinensis. J Korean Soc Food Nutr 21: 136-142. 

  13. Son HS, Lee SH, Park YB, Bae KH, Son KH, Jeong TS, Choi MS. 1999.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and hepatic activities of 3-hydroxy-3-methylgluraryl CoA reductase and acyl CoA cholesterol transferase are lower in rat fed citrus peel extract or a mixture of citrus bioflavonoids. J Nutr 129: 1182-1185. 

  14. Monforte MT, Trovato A, Kirjavanien S, Forestieri AM, Galati EMI, Curto RB. 1995. Biological effects of hesperidin, a citrus flavonoid hypolipidemic activity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olemia in rat. Famco 50: 595-599. 

  15. Braddock RJ, Crandall PG. 1981. Carbohydrate fiber from orange albedo. J Food Sci 46: 650-655. 

  16. Braddock RJ. 1983. Utilization of citrus juice vesicle and peel fiber. Food Tech 12: 85-89. 

  17. 육창수. 1997. 아세아 생약도감. 도서출판 경원, 서울. p 273-274, p 282, p 305. 

  18. Kang SH, Lee YJ, Lee CH, Kim SJ, Lee DH, Lee YK, Park DB. 2005.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eel of Jeju-indigenous Citrus sunki Hort, Tanaka. Kor Food Sci Technol 37: 983-988.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0.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14-915. 

  21. Zhuang XP, Lu YY, Yang GS. 1992.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ginkgo. Chinese Herbe Med 23: 122-124. 

  22. Nanjo F, Goto K, Seto R, Suzuki H, Sakai M, Hara Y. 1996.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 Biol Med 21: 885-902. 

  23. Rosen GM, Rauckman EJ. 1980. Spin trapping of the primary radical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the carcinogen N-hydroxy-2-acetylaminofluorene by cumene hydroperoxide hematin. Molec Phamacol 17: 233-238. 

  24. Hiramoto K, Johkoh H, Sako K, Kikugawa K. 1993. DNA breaking activity of the carbon-centered radical generated from 2,2'-azobis(2-amidinopropane) hydrochloride (AAPH). Free Radic Res Commun 19: 323-332. 

  25. Muller HE. 199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 peroxidase medium. Zentralbl Bakterio Mikrobio Hyg 259: 151-158. 

  26. Her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27. Niwa Y, Miyachi Y. 1986. Antioxidant action of natural health products and Chinese herbs. Inflammation 10: 79-91. 

  28. Shahidi F, Wanasundara PK. 1992. Phenolic antioxidant.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29. Kim JK, Kwon SH, Kim JK, Kim MK. 2006. Effects of different mandarin formulations on antioxidative capacity and oxidative DNA damage in fifteen-month aged rats. Korean J Nutr 39: 610-616. 

  30. Ahn MS, Kim HJ, Seo MS.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itrus unshiu peel extracts. Kor J Food Cul 22: 454-461. 

  31. Kim YD, Mahinda S, Koh KS, Jeon YJ, Kim SH. 2009.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62-469. 

  32. Goinstein S, Martin-Belloso O, Park YS, Hanuenkit R, Lojek A, Ciz M, Caspi A, Libman I, Trakhtenberg S. 2001. Composition of som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itrus fruit. Food Chem 74: 309-315. 

  33. Yang YT, Kim MS, Hyun KH, Kim YC, Koh JS. 2008. Chemical constituents and flavonoids in citrus passed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 94-98. 

  34. You JM, Park JB, Seoung KS, Kim DY, Hwang IK. 2005.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cancer effects of Yuza. Food Sci and Ind 38: 72-77. 

  35. Shin DB, Lee DW, Yang R, Kim JA. 2006.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 357-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