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어류군집의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수변지역 연결성 평가
Riparian Connectivity Assessment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of Fish Assembly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2, 2015년, pp.17 - 26  

정승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류지은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 코리더는 종의 국소적 소멸을 예방하도록 분산과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변의 치수, 친수, 이수와 같은 기능을 중시한 결과 수중보, 댐과 같은 인공구조물 설치로 하천 코리더의 연결성을 약화시켜왔다. 본 연구는 강원도 횡성의 섬강을 대상으로 어류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수변지역의 연결성을 종풍부도와 희귀도로 평가하는 것이다. 현장조사 결과 출현종수는 38종 7,061개체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분포모형 결과 어류의 종풍부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유속과 급여울, 하천의 폭과 수변의 면적으로 선택되었으며, 모형의 정확도 검증 결과 상관계수는 0.83, 절대평균오차는(MAPE)는 19.2%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귀도가 낮은 지점은 수로가 직강화된 전천과 횡성군 시가화지역 인근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지점은 하천 폭이 넓고 섬강과 전천이 합류하는 지점과 하도습지가 있는 하류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연결성이 낮은 지점은 수변의 완충림이 거의 없고 보(洑)가 설치되어 있는 지점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지점은 하천 주변에 농경지 및 산림과 같은 자연토지피복이 우점하고 수변의 모래/자갈의 비율이 높은 곳이 연결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복원을 위한 가이드로 기존 수변 시설물을 개선하고 추가하여 연결성을 강화시키는데 좋은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ver corridors facilitate dispersal and movement and prevent local extinction of species. As a result of stream restoration projects, which include installation of waterfront and flood control structures, the number of animals, which rely on river corridor, is decreasing. For the study, factors a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어류와 주변 서식지의 특성에 맞게 자연성과 종의 희귀성을 이용하여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연결성에 있어 중요 지점을 선정하는데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가단위 설정으로 하천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희귀성과 종풍부도를 고려한 연결성을 평가하였으며, 서식지 보전계획에 활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로 희귀도와 종풍부도 도출하였다(Cincotta et al., 2000; Cellabos et al., 2005). 어류의 개체수가 많기 때문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출하고 종분포모형을 통해서 종풍부도 지도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변의 어류군집과 주변 서식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의 풍부도와 희귀성을 이용하여 서식의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수변의 연결성 확인함에 있어 중요 지점을 선정하는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분석에서 개별 종의 수가 많아지면 시간과 비용 소모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분석의 단점을 극복하고 수변의 미소서식지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어류와 주변 서식지의 특성에 맞게 자연성과 종의 희귀성을 이용하여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연결성에 있어 중요 지점을 선정하는데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가단위 설정으로 하천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희귀성과 종풍부도를 고려한 연결성을 평가하였으며, 서식지 보전계획에 활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강의 생태계가 위협받는 이유는? , 2012)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도 서식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완료된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수변에는 자전거도로와 수변공원, 인공제방과 보가 설치되었으며, 원주 강릉 복선 전철 계획(복선전철 및 평창 KTX 계획)과 청정녹색산업단지 등과 같은 주변의 개발 사업에 인해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하천교란의 주요 인자는? 하천교란의 주요 인자로 댐축조와 골재채취가 있으며, 이외의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하천이 교란 될 경우, 하천생태계 구조변화를 통해 어류 군집변화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Lee and Yang, 2010).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보고서에서는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Ⅰ급 흰수마자의 개체수가 급감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천은 어떠한 역할을 맡고 있나요? 하천은 구조적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및 연결을 담당 하는 중요한 연결경관 요소이다. 또한 코리더로서 다양한 동식물의 생육장소이자(Ward, 1999), 주변지역의 생물사회를 풍요롭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Cho, 1997).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인간 활동에 의해 하천의 생태계의 교란 및 수질오염으로 어류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 증가하고 있다(Dudge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gemeier, P. L. and Davideanu, G. 2004, Using fish communities to assess streams in Romania: initial development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Hydrobiologia, Vol. 511, pp. 65-78. 

  2. Artia, H. T., Figueroa, F., Frisch, A., Rodriguez, P., Santos-del-Prado, K. 1997, Geographical range size and the conservation of Mexican mammals. Conservation biology, Vol. 11, No. 1, pp. 92-100. 

  3. Bae, Y. J. and Lee, B. H. 2001, Human impacts on stream ecosystems and freshwater arthropo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 31, No. 2, pp. 63-73. 

  4. Bae, Y. J., Won, D. H., Lee, W. J., and Weung, H. W. 2003, Development of environment assessment technique and biodiversity management system and their application to stream ecosystem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31, No. 3. pp. 223-233. 

  5. Baquero, R. A., and Teller, J. L. 2001, Species richness, rarity and endemicity of European mammals: a biogeographical approach,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Vol. 10, pp. 29-44. 

  6. Ceballos, G., Ehrlich, P. R., Soberon, J., Salazar, I., and Fay, J. P. 2005, Global mammal conservation: what must we manage? Science, Vol. 309, pp. 603-607. 

  7. Cho, Y. H. 1997,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25, No. 2, pp. 73-81. 

  8. Cincotta, R. P., Wisnewski, J., and Engelman, R. 2000, Human population in the biodiversity hotspots, nature, Vol. 404, pp. 990-992. 

  9. Dudgeon, D., Arthington, A. H., Gessner, M. O., Kawabata, Z. I., Knowler, D. J., Naiman R. J., Prieur-Richard, A. H., Soto D., and Sullivan C. A. 2006, Freshwater biodiversity: importance, threats, status and conservation challenges. Biological reviews, Vol. 081, No. 2, pp. 163-182. 

  10. Environment Canada, 2005, Quebec biodiversity atlas: Threatened or vulnerable species. 

  11. Fullerton A. H., Burnett, K. M., Steel, E. A., Flitcroft R. L., Pess, G. R., Feist, B. E., Torgersen, C. E., Miller D. J. and B. L. Sanderson, 2010, Hydrological connectivity for riverine fish: measurement challeng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Freshwater biology, Vol. 55, pp. 2215-2237. 

  12. Jeong, S. G., Lee, H. S., Park, J. H., Lee, D. K . Park, C. H., and Seo, C. W. 2015, Selecting suitable riparian wildlife passage locations for Water deer based on Maxent model and wildlife cross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3, No. 1, pp. 101-111. 

  13. Kang, H. and Hur, J. W. 2012,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and habitat improvement alternative in Hongcheon river using fish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 Vol. 32, No. 5B, pp. 331-343. 

  14. Kim, I. S., Choi, Y., Lee, C. L., Lee, Y. J., Kim, B. J., and Kim, J. H. 2005, Korean illustrated fish book. Hyohak, pp. 43-515. 

  15. Kim J. Y., Kwon H. S., Seo C. W. and Kim M. J. 2014, A nationwide analysis of mammalian biodiversity hotspots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3, No. 6, pp. 453-465. 

  16. Kim, I. S. and Yang, H. 2001, Fish community changes of the Buan Dam,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ol. 24, No. 1. pp. 45-50. 

  17. Ko, M. H., Bang, I. C., Moon, S. J., and Lee, S. J. 2012,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in the Ji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Drainage system of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45, No. 4, pp. 356-367. 

  18. Kwon, H. 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 Lawrence, L., M., Flack, S. and Bruce, A., S. 1998, Rivers of life (Critical watersheds for protecting freshwater diversity). A Natureserve, 1994. 

  20. Lee, H. Y. and Nho, S. C. 2012, Advanced statistical analytics. Moonwoo. 

  21. Lee, J. H., Joeong, S. M., Lee, M. H. and Lee, Y. S. 2006, Estimation of instream flow for fish habitat using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IFIM) for Major Tributaries in Ha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2B, 153-16. 

  22. Lee, S. H. and Yang, D. C., 2010. A Study on the Disturbance and the Rehabilitation of Stream by Using Evaluation of Ichthyofauna to Disturbed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43, No. 2, pp. 242-254. 

  23. Lewis, C. D. 1982, Industrial and business forecasting methods: A Radical guide to exponential smoothing and curve fitting. Colin David.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10a,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eco-network connecting mountainriver- ocean of the Korean peninsula.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0b, A framework for incorporating wildlife habitat survey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environmental assessment.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A study on suitability assessment on threatened species affected by development projects.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Guideline on survey and assessment of estuary aqua-ecosystem healthiness. 

  28. Nelson, J. 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and Sons, NewYork. 

  29. Simpson, E. H., 1979, Measurement of species diversity. Nature 163: 688. 

  30. Wang, L., Infante, D., Lyons, J., Stewart, J., and Cooper, A. 2010, Effects of dams in river networks on fish assemblages in non-impoundment sections of rivers in Michigan and Wisconsin, US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 DOI: 10.1002/rra1356. 

  31. Ward, A. L. 1982, Mule deer behavior in relation to fencing and underpasses on Interstate 80 in Wyom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859, pp. 8-13. 

  32. Ward, J. V., Tockner, K. and Schiemer, F. 1999, Biodiversity of floodplain river ecosystems: ecotones and connectivity, R. Regulated rivers: Research & Management, Vol. 15, pp. 125-139. 

  33. Weber, C., Schager, E. and Peter, A. 2009, Habitat diversity and fish assemblage structure in local river widenings: A case study on a Swiss river.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5, pp. 687-701. 

  34. Zahl, S. 1977, Jackknifing An Index of Diversity. Ecology. Vol. 58, No. 4. pp. 907-9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