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형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Extracts from Vitex trifolia L.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8 no.2, 2015년, pp.125 - 129  

이미경 (Korea Promotion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Industry) ,  김동희 (Korea Promotion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Industry) ,  박태순 (Korea Promotion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Industry) ,  손준호 (Korea Promotion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Industr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만형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은 DPPH, ABTS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에서 74%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로 MTT assay에 의해 확인 한 결과 5, 10, 15, 20, $25{\mu}g/mL$의 농도구간에서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MMP-1 저해활성을 측정 한 결과 $25{\mu}g/mL$에서 1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MMP-1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25{\mu}g/mL$의 농도에서 50%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fraction from Vitex trifolia L. were investigated. Among the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2,2'-azino-bis(3-ethylbenzothiazo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형자에 관한 연구로는 monoterpene류를 포함한 약 76종의 정유성분과 골수성 백혈병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flavonoids와 식물생장을 조절하는 phenol 화합물 등이 분리 동정된 바 있다(Kang과 Kim, 1994; Ono 등, 2000; Xin 등,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형자 추출물의 피부노화를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과와 피부탄력 및 주름 개선에 관련된 콜라겐 생합성 촉진 및 분해억제효능을 평가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MPs family중 MMP-1의 단백질 발현을 보기 위하여 MMP-1의 단백질 발현을 만형자 ethylacetate 분획물 처리군에서 MMP-1의 protein 발현 모두 5, 10, 25 µg/mL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가 피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Elastase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 분해 효소이다.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서는 콜라겐과 피부의 탄력성에 관련된 엘라스틴이 그물망 구조로 형성하고 있는데, 엘라스틴이 elastase에 의해 분해되어 피부의 그물망 구조 결합이 끊어짐으로, elastase가 주름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Kligman, 2000). 이러한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Fig.
만형자란 무엇인가? 만형자(Vitex trifolia L.)는 마편초과의 순비기나무의 열매이다. 만형자의 기원 식물인 순비기나무는 독특하면서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예전부터 잎과 가지는 목욕용 재료나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 및 방매제로 사용하였으며, 종자인 만형자는 두통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베갯 속으로 사용하였다.
동양의학에서 사용되는 만형자의 치료 효과는? 만형자의 기원 식물인 순비기나무는 독특하면서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예전부터 잎과 가지는 목욕용 재료나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 및 방매제로 사용하였으며, 종자인 만형자는 두통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베갯 속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과 일본 등 동양의학에서 만형자는 성질이 차고 맛은 쓰면서 맵고 독이 없어 강장, 진정, 진통, 소염작용이 있어 감기, 만성중이염, 이명, 난청, 시력장애, 두통, 신경통, 습진 및 다양한 염증과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Park과 Lee, 2000). 만형자에 관한 연구로는 monoterpene류를 포함한 약 76종의 정유성분과 골수성 백혈병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flavonoids와 식물생장을 조절하는 phenol 화합물 등이 분리 동정된 바 있다(Kang과 Kim, 1994; Ono 등, 2000; Xin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oshima H, Tsunoue H, Koda H, and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 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4.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r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200. 

  3. Brenneisen P, Sies H, and Scharffetter-Kochanek K (2002) Ultraviolet-B irradi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from induction via signaling to initial events. Ann N Y Acad Sci 973, 31-43. 

  4. Cannell RJ, Kellam SJ, Owsianka AM, and Walker JM (199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4. 

  5. Emerit I (1992) Free radicals and aging of the skin. In Free Radicals and Aging, Emerit I and Chance B (eds), pp. 328-41, Experientia Supplementum, Birkhauser Basel, Switzerland. 

  6. Fisher GJ, Datta SC, Talwar HS, Wang ZQ, Varani J, and Kang S (1996) Molecular basis of sun-induced premature ageing and retinoid antagonism. Nature 379, 335-9. 

  7. Gilchrest BA (1990) Skin aging and photoaging. Dermatol Nurs 2, 79-82. 

  8. Gross J and Lapiere CM (1962) Collagenolytic activity in amphibian tissues:a tissue culture assay. Proc Natl Acad Sci USA 54, 1197-204. 

  9. Ha TY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healthy life. Korean J Crop Sci 51, 26-39. 

  10. Jeong JW, Lee YC, Jung SW, and Lee KM (1994)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09-12. 

  11. Kang SS and Kim SJ (1994) Phytochemical Analysis of Viticis Fructus. Korean J Pharmaco gn 98, 214-20. 

  12. Kim BY, Kim TG, Kang WY, Baek H, Cheon HY, and Kim D (2010)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porcine placenta. Korean Chem Eng Res 48, 327-31. 

  13. Kim HK, Kim YE, Do JR, Lee YC, and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5. 

  14. Kli gman D (2000) Cosmeveuticals. Dermatol Clin 18, 609-15. 

  15. Maeda K and Fukada M (1991)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42, 361-8. 

  16. Nagase H and Woessner JF (1999) Matrix metalloproteinases. J Biol Chem 274, 21491-4. 

  17. Ono M, Sawamura H, Ito Y, and Mizuki K (2000) Diterpenoids from the fruits of Vitex trifolia. Phytochemistry 55, 873-7. 

  18. Park JH and Lee CK (2000) The Encyclopedia of Medicinal Plants. Shinilbooks. Korea. 

  19. Philips N, Keller T, Hendrix C, Hamilton S, Arena R, Tuason M et al. (2007) Regul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remodeling by lutein in dermal fibroblasts, melanoma cells, and ultraviolet radiation exposed fibroblasts. Arch Dermatol Res 299, 373-9.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7. 

  21. Talwar HS, Griffiths CE, Fisher GJ, Hamilton TA, and Voorhees JJ (1995) Reduced type I and type III procollagens in photodamaged adult human skin. J Invenst Dermatol 105, 285-90. 

  22. Tsukahara K, Nakagawa H, Moriwaki S, Takema Y, Fujimura T, and Imokawa G (2006) Inhibition of ultraviolet-B-induced wrinkle formation by an elastase-inhibiting herbal extract: implication for the mechanism underlying elastase-associated wrinkles. Int J Dermatol 45, 460-8. 

  23. Xin YH, Zhang QY, and Huang BK (2006) Study on chemical constituents in fruits of Vitex trifolia L. var. simplicifolia Cham. Arch Pharm Res 29, 747-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