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화기(開化期) 서울에서 양식적 건축 요소를 차용한 절충적 한옥(韓屋)의 입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ybrid Characteristics in Architectural Elevations Seoul, between 1876 and 1905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3, 2015년, pp.11 - 24  

김정인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not been many debates on the subject of Korean architecture during the transformative period of Gae Wha Gi (開化期: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when Western-style buildings first appeared in Seoul. This study begins by finding and recording those buildings in Seoul that show the gradu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개화기의 도시와 건축의 모습은 새롭게 등장하는 서구인 거주 지역에서 조차도 쉽게 이식(移植)이라고 규정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2)한 세기 이상이 지난 현재의 건축인식에서도 개화기 도시와 건축의 모습을 일방적인 수용이 아닌 상호 혼성적인 모습이 가능했으리라 추측해 볼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쌍방향적이고 자생적인 건축 상황을 면밀히 재조명해보는데 그 노력을 다하였다.
  • 쇠퇴하는 기존 질서와 갑작스럽고 도발적으로 다가온 구미의 기술과 자본, 생경한 서양의 문화는 조선 내의 정치, 경제적 요소와 결합하여 일상의 모습을 근본부터 그리고 폭넓게 흔드는 복잡한 환경을 제공하기에 이른다. 본 연구는 이렇게 필연적으로 마주 대할 수밖에 없었던 전통과 외래건축의 만남을 새로운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건축에서 변화의 모습은 일상생활 환경에서 마주하는 배경으로서 건축에 강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가설 설정

  • 렌도르프의 집은 민겸호의 저택이었으나 민이 임오군란 때 피살된 이후로는 흉가로 소문이 나서 비어 있었으며 광혜원 또한 당시 개화파의 주역이면서 갑신정변 때 참화를 당한 홍영식의 집으로 알렌은 이 집의 상황이 처참함을 일기에 묘사하고 있다.5) 흉가로 꺼리는 이집들을 서구인들이 전통적인 터부와 상관없이 개수 사용하였고 이곳을 중심으로 한성부 민들과 접촉하고 있어서 당시 주거관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화기 시기를 구분하는 2가지 사건은? 개화기 시기 구분에 대해서는 명확한 시작과 마침점이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겠으나 두 가지 획기적인 정치적 사건을 기점으로 1876년의 강화도 조약에서 1905년의을사조약까지를 개화기로 설정하였다. 이시기 조선의 모습을 독립된 정치와 문화적 실체로 간주하고 양 방향의 절충적 변화, 즉 서구 건축 문화와 조선의 건축 문화 만남이 이루어진 접점에 주목하였다.
조미 수호통상조약이후 서양식 건축물들은 어떤 환경을 제공했는가? 서구 열강과 청, 일본에 의한 제국주의 정책의 각축장이 된 조선은 19세기적 세계질서의 마지막 미 편입지역으로 남아 있었던 터라 급작스런 서구적 제도와 기술의 유입은 기존의 도시와 건축의식에 전례 없는 변화들을 가져 오게 된다. 특히 1876년 일본과 체결한 강화도 조약 전후로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서양식의 건축물들은 1882년 조미 수호통상조약을 선두로 점진적으로 새로운 사상과 기술을 파급 시키며 전통적으로 고수해 오던 건축문화와 생활 전반에 총체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당시 발아 단계에 있던 조선사회 내부의 근대적 변화에 대한 욕구는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급변하는 건축과 도시의 상황을 만들기에 충분 하였다.
조사를 위해 수집된 외국인 기록은 어떤 것이 있는가?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서 보존되어 있거나 부분적 모습이 남아있는 유구가 적기 때문에 당시의 건축적 상황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사진자료와 관련된 외국인 기록의 수집을 1차 자료로 하였다. 구한말을 기록한 사진첩, 각종 종교관계 서적, 버튼 홈즈(Burton Holems Lecture), 까를로스 로제티(Carlo Rosseti)와 같은 여행자의 기록에서 약 90여 장의 사진 자료를 발견 할 수 있었고 이 사진 자료를 시기 및 유형별로 나누는 작업을 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기존연구로서 정리되어 있는 개화기 양식건축 관련 문헌과 도시변화 연구물 및 이와 관련된 학술자료를 2차 자료로 수집하였고 각 건물들의 도시 내 상황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고지도들을 보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 J. K., & Park E. K. (1999). Study on the School Architecture Established by a Missionary in the Age of Civiliz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Collected Papers, 313-318. 

  2. Gwak Y. J. (1990). HanKuk GeonDaeDoSi JuTaekUi ByunChunE GwanHan YonGu. Master'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 Hwangbo Y. H., Han W. & Han D. S. (2008). Study on the change of doors and windows of Korean traditional Palace after the open-door period.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Collected Papers, 28(1), 435-438 

  4. Kang S. H., Moon Y. S. & Yoon J. S. (2005). Reconstruction of the first “Ewha-hakdang” building in Jung-Dong. Seou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llection of Dissertations, 21(10), 26-28. 

  5. Kim, G. D., & Kim, S. I. (2001). The Study on the settling process of westerners in Jeong-dong, Seoul in the latter era of the Korean Empi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7), 154. 

  6. Kim J. D. (2006). GaeWhaGi WooRiGungGwalE EIpDoen SeoYang YoSoDeul.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Institute of Korea Spring Conference, 202-224. 

  7. Kim J. D. (2003). GeonDae EHu Seoul 'JeongDongDong Yeok' Eui ByunChunE DaeHaeSeo. Architectrure Historical Research, 12(2), 84-112. 

  8. Kim J. S. (2001). A Study on Repairing and Preservation of the Early Western Style Architecture in Korea - Focused on the Case Study on the Church Buildings Which are Registered as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 Architectrure Historical Research, 10(2), 55-71. 

  9. Kim K. W. (1990). DaeHanJeKuk SiDaeUi DoSiGyeHoek. HyangTo Seoul 50. Seoul: Seoul Affairs Publish Commission, 115. 

  10. Kim W. M. (1991). AllenUi IlGi. Seoul: DanKuk University Publish, 67. 

  11. Kim Y. J. (1994). Seoul Je 2 Ui GoHyang. Seoul: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212. 

  12. Lee C. S. (1990). A Study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Architecture for the Past 100 Years in Korea. Seoul: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103. 

  13. Lee, K. M., & Kim, H. B. (1994). Seoul DoSiKyungKwanUi ByunChunGwaJung YonGu.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 26-27. 

  14. Lee T. J. (1995). The nature of Seoul's development into a modern city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4, 23-26. 

  15. Park S. H. (2010). ByeokJeon. Seoul: SPACETIME, 479, 505. 

  16. Sherwood Hall. (1984). With stethoscope in Asia: Korea. Seoul: The Dong-A Ilbo, 74. 

  17. Son, J. M. (1980). GaeHangGi HanSung OeKukIn Geo RyuUi GwaJoengGwa SilTae. HyangTo Seoul 38, 50-6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