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고령자를 위한 주택개조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Guidelines of Home Modification for Low-Incom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3, 2015년, pp.65 - 76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임예지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김현정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안창헌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 rapidly aging population, the proportion of elderly households with low income has been increasing. Despite the poor housing environment, it is not easy to improve their housing environment due to the high cost of modification. However, as many elderly want to keep living in their current h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의 가이드라인의 틀에 따라 선정된 분석대상 문헌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현관 195개, 거실 · 복도 165개, 침실 238개, 부엌 399개, 욕실 · 화장실 465개, 다용도실 · 발코니 87개의 총 1549 항목이 취합되었다.
  • 본 연구는 보다 적합하고 수월한 저소득층 고령자의 주택개조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 것으로 [Figure 1]과 같이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 고령자의 정주욕구를 만족시키고 자립적 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령자 입장에서 고령자에게 필요한 주택 개조 가이드라인이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고자 하는 필수적인 의식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노인가구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주택개조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 고령자의 정주욕구를 만족시키고 자립적 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령자 입장에서 고령자에게 필요한 주택 개조 가이드라인이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고자 하는 필수적인 의식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노인가구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주택개조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첫째, 내용분석을 통해 주택개조 요소 범위 및 1차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 둘째, 소그룹 워크샵 패널을 통해 2차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주택개조 요소 범위를 기준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 선정된 문헌의 체계를 토대로 가이드라인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체계를 분석한 결과, 공간의 범주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 공간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저소득층 고령자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주택개조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저소득층 고령자의 주거실태에 기반한 개조요구 파악을 위하여 최근 주거실태 조사자료를 재분석하고, 둘째, 국내외 주택개조 지원제도를 분석하여 주택개조 요소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셋째, 국내 외 노인환경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가이드라인 항목을 도출하고 넷째, 이를 토대로 전문가 대상 소집단 워크샵 패널을 실시하여 가이드라인의 항목을 추출한 후 마지막으로 앞서 추출한 주택개조 요소 범위를 기준으로 가이드라인 항목을 추출하여 저소득층 고령자를 위한 주택개조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한편, 고령자가 주택개조를 실행에 옮기는데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꼽을 수 있는데(Kim, 2006; Lee & Lim, 2014) 국내외 저소득층 고령자를 위한 주택개조 지원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제도 내에서 지원하는 개조 항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이른 이유는? 출산율이 감소하고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노인 1인 또는 부부로 구성된 노인단독가구의 수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1980년부터 2000년 사이에 노인인구가 2배 정도 증가한 반면, 노인가구는 4배 급증하였다(MOLIT, 2006).
대다수의 노인이 바라는 복지환경은? 대다수의 노인은 자신이 현재 살고 있는 주택과 지역사회에서 머물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복지환경, 즉 Aging in Place를 원한다(Kim, 2006). 노인의 경우 작은 사고만으로도 큰 부상으로 연결되기가 쉽고 심각할 경우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노인이 거주하기에 적합한 환경은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고령자들의 주거안정성에 대한 실정은? 이러한 주택의 물리적 환경은 주택개조를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저소득 노인가구는 경제적으로 수입의 한계가 있으며 월세거주로 인한 주거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등 현실적인 제약들로 인해 주택개조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어 소수의 노인가구만이 주택개조를 희망하고 있었다(Kim, Kwon, & Park, 2006; SI, 2013; Lee, Ahn, & Chang, 2014). 이러한 저소득층의 주거안정 및 주거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주거복지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주거여건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고령자만을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g, J. H., Lee, C. Y., & Oh, C. O. (2008).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each room in hous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7(2), 100-112. 

  2. Choi, M. K. (2000). A study on the analysis of housing environments of the elderly households and its suggestions i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Journal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16(9), 29-38. 

  3. Ha, H. H., & Kwon, O. J. (2012). A study on residential modification demand by elderly lived in detached hous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2), 141-155. 

  4. Han, Y. H., Kim, T. H., & Lee, J. Y.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ior design guidelines for safety plans of elderly hous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5, 49-60. 

  5. Hong, H. O., & Woo, J. M. (1999). A study on design directives for the elderly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an ec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 114-120. 

  6. Hong, H. O. (2005). A study on the minimum standards of housing repair for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2), 11-22. 

  7. Huh, J. J. & Choi, M. J. (2013).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elderly suicide rate in Korea. Housing Studies Review, 21(4), 47-60. 

  8. Jang, M. S. (2013).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s for fall prevention of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E. S. (2013). A super-aged society of the economics of welfare housing conditions and resources. Seoul: Gworld. 

  10. Kim, K. S. (2011). A study on the necessity of home improvement for old people and disabled people: focus on the comparisons case of foreign country and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ong University, Daejeon. 

  11. Kim, T. I. (1998). A study on development of housing design guide for the elderly-predictions of accident and examinations of living conditions at home. Journal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14(2), 23-34. 

  12. Kim, Y. J. (2006). A study on residential remodeling and needs of elderly households to activate 'aging in place'.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23, 13-25. 

  13. Kim, Y. J., Kwon, O. J., & Park, N. H. (2006). A study on residential remodeling for improving independent living of elderly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6), 79-93. 

  14. Lee, H. S. (2011). A study on the unit plan criteria for an aging friendly apartment hou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15. Lee, I. H. (2009). A Study on Low-Income Peoples' Perception of the Housing Welf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tiy, Seoul. 

  16. Lee, J. Y. & Lim, J. M. (2014). A study on the acceptability of housing adaptation by elderly people through the analysis on resident's behaviours during the ageing process. Jour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2(1), 233-247. 

  17. Lee, S. Y. & Yoo, S. E. (2012). Analysis of housing planning improvement feature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lifetime home concept. Journal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28(10), 83-92. 

  18. Lee, Y. S., Shin, H. K. & Hong, M. H.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share space needs according to social class through small group workshop pane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8(1), 1-12. 

  19. Lee, Y. S., Ahn, C. H., & Chang, J. W. (2014). The conditions and needs for home modification of urban living low-income elderly. Journal of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3(5), 289-307. 

  20. Lee, Y. S., Ahn, C. H., & Lee, J. H. (2014). Housing satisfaction of low income elderly households in city area. Journal of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3(6), 1-21.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6. 12). A study on establishing a long term plan for the housing policy for older adults. Seou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7). Home adaptation manual senior households. Seou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8. 7). 2007 Korea housing survey. Seou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12). A study on home improvement policy for the low income family. Seou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4). 2011 Korea elderly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5). 2013 Korea housing survey. Seou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7. Mitoku, K. & Shimanouchi, S. (2014) Home Modification and Prevention of Frailty Progression in Older Adults: A Japanese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40(8), 40-47. 

  28. Rhee, J. S. (2009). The need for hous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11, 70-77. 

  29. Statistics Korea (2011). Estimated future population: 2010-2060. Daejeon: Statistics Korea. 

  30. The Seoul Institute (2013). A study on poverty and deprivation of the elderly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