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 수행빈도, 중요성, 자율성 및 지각된 수행능력
Task Analysis of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Frequency, Importance, Autonomy, and Perceived Competence to Perform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1, 2015년, pp.25 - 40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김복자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자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김민주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숙 (서울아산병원 Unit Manager)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importance of task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competence to perform of the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ENPs) certified in Korea. Method: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41 ENPs certified by March 2012. The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전문간호사 자격을 취득하고 현재 응급실에서 일하고 있는 응급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응급실 업무의 수행빈도와 중요도, 자율성 및 지각된 수행능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 정립과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증을 취득한 간호사의 업무 수행빈도와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 중요성, 수행 자율성 및 지각된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전문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응급전문 간호사들이 현재 임상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분석함으로서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을 위한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Lee (2007)의 연구에서는 단지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취득 전후에 업무수행의 자율성 변화여부 만을 조사하여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실태나 그들이 지각하는 수행능력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3년 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에 응급전문간호사 자격을 취득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응급실 내에서의 직무의 수행빈도와 전문간호사 직무로의 중요성, 직무수행의 자율성, 그리고 지각된 수행능력을 조사함으로서 향후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 표준화와 전문간호행위의 보험 급여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율적인 전문간호사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또한 효율적인 전문간호사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전문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업무를 개발함과 동시에 관련 집단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응급의료서비스의 특징은 여러 건강전문인들이 같이 협동하여 응급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응급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의 확대는 타 직종과의 역할갈등의 요인이 될 수 있다(Jones, 2005).
전문간호사제도의 효과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전문간호업무에 대한 필요성을 배경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전문간호사 과정 등에 관한 고시’를 통해 응급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되었고, 2006년 첫 시험을 통해 보건복지부에서 인정하는 자격을 갖춘 응급전문간호사가 배출되기 시작하였다. 전문간호사제도는 환자간호의 실무수준을 향상시키고, 일반간호사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여 실무에 적용하게 함으로서 간호사의 업무를 더욱 보완해주며, 효과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함으로서 재원일수를 단축하고 병상가동률을 증가시켜 간호의 질적 향상과 비용절감을 가져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uccio et al., 1993:Schull, Tosch, & Wood, 1992).
응급전문간호사들의 업무를 분석한 국내 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응급전문간호사들의 업무를 분석한 국내 연구로는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Lee, 2004)와 응급실 간호사가 인식한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Kim, 2006; Noh, 2007)가 시행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응급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라 응급실에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조사한 것이므로,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수행실태를 파악하기에는 미흡하다. 또한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Lee(2007)의 연구에서는 단지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취득 전후에 업무수행의 자율성 변화여부 만을 조사하여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실태나 그들이 지각하는 수행능력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mpo, T., McNulty, R., Sabatini, M., & Fitzpatrick, J. (2008). Nurse practitioners performing procedures with confidence and independence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 Advanced Emergency Nursing Journal, 30 (2), 153-170. 

  2. Cole, F. L., & Ramirez, E. (1997). The emergency nurse practitioner: an educational model.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3 (2), 112-115. 

  3. Cole, F. L., & Ramirez, E. (2000). Activities and procedures performed by nurse practitioners in emergency care setting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6 (5), 455-463. 

  4. Hoyt, K. S., Coyne, E. A., Ramirez, E. G., Peard, A. S., Gisness, C., & Gacki-Smith, J. (2010). Nurse practitioner delphi study:competencies for practice in emergency car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6 (5), 439-449. 

  5. Jones, M. L. (2005). Role development and effective practice in specialist and advanced practice roles in acute hospital settings: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 (2), 191-209. 

  6. Kim, B. J., Lee, E. N., Kang, K. H., Kim, S. S., Kim, S. A., Sung, Y. H., et al. (2006).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1), 81-95. 

  7. Kim, H. J. (2006). Analysis of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8. Kim, K. K. (2004). A comparative study on NCSBN model and KNA draft nursing practice act.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12 (1), 69-85. 

  9. Kim, K. S., Park, Y. H., & Lim, N. Y. (2008).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based on DA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6), 853-865. 

  10. Kim, S. J. (2006). Recognition of certified emergency nurses' job by emergency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1. Korea Association Board of Nurse Education (2005). Designation of institutes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current status and registration. Retrieved February 21, 2012, from http://www.kabon.or.kr. 

  12. Lee, H. S. (2004). Role development of emergency nurse practition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Lee, W. S. (2007). A study of job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Lincoln, P. E. (2000). Comparing CNS and NP role activities: a replication. Clinical Nurse Specialist, 14 (6), 269-277. 

  15. McConnell, D., Slevin, O. D., & Mcllfatrick, S. J. (2013).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perceptions of their role and scope of practice: is it advanced practice?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1 (2), 76-83. 

  16. Mezey, M. (2003). Nurse practitioners: evaluation of advanced practice (4th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7. Noh, M. S. (2007). A study on perception of role and system of certified emergency nurse in conjunction with emergency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8. Nuccio, S. A., Costa-Lieberthal, K. M., Gunta, K. E., Mackus, M. L., Riesch, S. K., Schmanski, K. M., et al. (1993). A survey of 636 staff nurses: percep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NS role. Clinical Nurse Specialist, 7 (3), 122-128. 

  19. Schull, D. E., Tosch, P., & Wood, M. (1992). Clinical nurse specialists as collaborative care managers. Nursing Management, 23 (3), 30-33. 

  20. Wall, S. (2006). Living with grey: role understandings between clinical nurse educators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Nursing Leadership, 19 (4), 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