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Self- Concept,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2, 2012년, pp.244 - 252  

성미혜 (건강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온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emergency department (ER) nurs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00 ER nurses who worked in one of 9 hospitals in 2c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이들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재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응급실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 2009), 응급실 간호업무가 다른 병동과는 구별되는 특수한 분야이므로 응급실 간호사들이 숙련된 간호전문가로서 간호의 효율적인 간호수행을 위해서는 이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를 확인함은 물론 이들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응급실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의 질적 향상과 간호 전문직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간호직무상으로 충분한 지식과 판단력, 기술,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특성 또는 상태(Hwang, 1998)로, 본 연구에서는 Schwirian (1978)이 개발한 간호수행능력 측정도구(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를 Hwang (199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속성은 무엇인가? 최근 보건의료의 핵심이 보다 사업지향적인 모델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과거 어느 때보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Kwon, Chu, & Kim, 2009).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업 의식적인 견해로, 전문적 교육을 받는 동안 형성되기 시작하고 실무경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속성이 있다. 간호사들이 긍정적이고 확고한 전문직자아개념을 갖고 있을 때 의료현장의 다양한 전문인과 조화를 이루며 양질의 간호제공과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Kwon & Yeun, 2007).
간호사들이 긍정적이고 확고한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을 때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업 의식적인 견해로, 전문적 교육을 받는 동안 형성되기 시작하고 실무경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속성이 있다. 간호사들이 긍정적이고 확고한 전문직자아개념을 갖고 있을 때 의료현장의 다양한 전문인과 조화를 이루며 양질의 간호제공과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Kwon & Yeu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thur, D. (1990).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2. Choi, E. Y., & Kim, G. H. (2000).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nephrolog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 345-355. 

  3. Cowin, L. S. (2002). Effects on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2, 282-291. 

  4. Doiron, D., & Jones, G. (2006). Nurses' retention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in New South Wales. The Economic Record, 82(256), 11-29. 

  5.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6. Friis, K., Ekholm, O., & Hundrop, Y. A.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working environmen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expulsion from the labour market due to disability pension among nurs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2, 241-248. 

  7.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midwiv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1042-1053. 

  8. Hart, S. E. (2005). Hospital ethical climates and registered nurses' turnover intentions.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 173-177. 

  9. Hwang, J. W.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Kim, B. J., Lee, E. N., Kang, K. H., Kim, S. S., Kim, S, A., & Sung, Y. H. (2006).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81-95. 

  11. Kim, H. J. (2005). Analysis of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s in a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2. Kim, M. J. (2006). The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M. R. (2007).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M. R. (2008).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i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won, J. A. (2009). Clinical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Kwon, K. J., Chu,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182-192. 

  17. Kwon, K. J., Ko, K. H., Kim, K. W., & Kim, J. A. (2010).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229-239. 

  18. Kwon, Y. M., & Yeun, E. J.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285-292. 

  19. Lee, W. S. (2008). A study of job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Munro, B. H. (2000). Regression.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 Park, S. Y. (2004). The effective of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VCT) on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job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8(1), 31-42. 

  22.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 347-351. 

  23. Seo, D. H. (2002).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and general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4. Sung, M. H., & Eum, O. B. (2009).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1), 26-36. 

  25. Sung, M. H., & Oh, M. O.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107-115. 

  26. Winter-Collins, A., & McDaniel, A. M. (2000). Sense of belonging and new graduate job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6, 103-111. 

  27. Wynd, C. A. (2003). Current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ism in nurs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9, 251-2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