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환자의 건강결과 예측을 위한 중증도 평가도구의 정확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Severity Scoring Systems for the Prediction of Healthcare Outcome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1, 2015년, pp.71 - 79  

성지숙 (충북대학교병원) ,  소희영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pplicability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and Acute Physiology, Age, Chronic Health Evaluation III (APACHE III) to the prediction of the healthcare outcomes of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실한 대상자에게 동반상병에 초점을 둔 중증도 평가도구인 CCI에 기초한 중증도를 평가함으로서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APACHE Ⅲ 와 비교하여 건강결과 예측력을 비교함으로써 임상 실무에 맞게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인 과정을 수행하여 보다 정확한 간호 요구도의 파악과 인력배치 및 간호수가에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지에 관한 임상 적용 유용성 측면의 간호학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하고 중환자실 입실 환자를 대상으로 CCI와 APACHE Ⅲ 점수를 측정하여 중환자실 환자의 건강결과에 따른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고, CCI 도구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APACHE Ⅲ 도구 만큼의 예측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후향적 조사 연구로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사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모델 2에서 중환자실 입실경로, 중환자실 재실일수, CCI 도구로 나타났으나, 모델 3에서는 중환자실 입실경로와 APACHE Ⅲ 도구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중환자를 대상으로 입실 당시의 전자 및 서면 의무기록을 통하여 CCI와 APACHE Ⅲ를 사용하여 질병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건강결과 예측력을 비교하고자 하는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중환자실에서 수행된 기존의 연구들은 중증도 측정체계에 있어 대부분 침습적 진단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하는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는 중환자의 중증도 평가도구로서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APACHE Ⅲ 도구와 비교하여 동반상병에 초점을 두고 입실 당시 간호사가 쉽게 평가할 수 있다고 알려진 CCI 도구의 중환자실 사망률 측정을 통해 중증도 예측을 비교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은 어떤 곳인가? 중환자실은 기계 환기가 필요하거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또는 시술 및 수술 후 집중 치료가 요구되는 급·만성 중환자들에게 다양한 관찰용 모니터와 기록 장치,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등과 같이 인간의 생명유지나 건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고위험 기계를 다루는 숙련된 전임 의사와 간호사가 한 팀을 이루어 환자를 돌보는 곳이다(Johnson, 2012). 이러한 중환자의 예후 판정을 위한 평가체계는 환자의 치료에 대한 정확한 기준, 중환자실 운영에 대한 기준과 중환자의 입· 퇴실의 기준 등을 제시한다고 알려져 있다(Knaus et al.
동반상병이란 무엇인가? 의료의 발전이 계속되어 오면서 대부분 환자들은 급성 질환 또는 만성질환을 동반상병으로 관리 받고 있으며 이 결과 기대여명은 연장되고 있다(Shwartz, Iezzoni, Moskowitz, Ash, & Sawitz, 1996). ‘주 진단명으로 인한 합병증’과는 다른 개념으로 ‘동반상병’ 또는 ‘함께 존재하는 진단명’은 진단적으로 독립적인 질병이나 장애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환자는 이로 인하여 사망까지 초래될 수 있다(Iezzoni, 1997). Knaus 등의 연구(1991)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중환자실에 입실한 17,440명 중 53% 인 9,195명이 만성 건강 질환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지고 중환자실에 입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중환자실 입실 환자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도구들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중환자실 입실 환자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도구들이 적용되고 있다. 중증도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국내에서는 주로 Simplified Acute Physiologic Score Ⅱ (SAPS Ⅱ), Mortality Prediction Model (MPM), Multiple Organ Failure (MOF), Therapeutic Intervention Scoring System (TISS), Acute Physiology·Age·Chronic Health Evaluation Ⅲ (APACHE Ⅲ) 등을 사용하고 있다(Kim &Kim, 2011; Kim, Min, &Son, &Kim, 1989; Kim &Yoo, 2005; You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stos, P. G., Sun, X., Wagner, D. P., Knaus, W. A., & Zimmerman, J. E. (1996). Application of the APACHE III prognostic system in Brazilian intensive care unit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tensive Care Medicine, 22 (6), 546-570. 

  2. Cabrera, R., Shakeel, Q., Uduman, A., Watanabe, L., Vahia, A., & Paje, D. (2013). Evaluation of Charlson comorbidity index as a predictor of adverse outcomes in patients admitted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bstract].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8 (suppl 2). 

  3. Charlson, M. E., Pompei, P., Ales, K. L., & MacKenzie, C. R. (1987).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s, 40 (5), 373-383. 

  4. Chatzicostas, C., Roussomoustakaki, M., Notas, G., Vlachonikolis, I. G., Samonakis, D., Romanos, J., et al. (2003). A comparison of Child-Pugh, APACHE II and APACHE III scoring systems in predicting hospital mortality of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BioMed Central Gastroenterology, 3 (1), 1-7. 

  5. Cho, S. J., Chung, S. H., & Oh, J. Y. (2011). Differences between diabetic patients' tertiary hospital and non-tertiary hospital utilization according to comorbidity scor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1 (4), 527-540. 

  6. Christensen, S., Johansen, M. B., Christiansen, C. F., Jensen, R., & Lemeshow, S. (2011). Comparison of Charlson comorbidity index with SAPS and APACHE scores for prediction of mortality following intensive care.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3 , 203-211. 

  7. Hwang, S. M., Yoon, S. J., Ahn, H. S., An, H. G., Kim, S. H., Kyeong, M. H., et al. (2009). Usefulness of comorbidity indices in operative gastric cancer cas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2 (1), 49-58. 

  8. Iezzoni, L. I. (1997). Risk adjustment for measuring healthcare outcomes (2nd ed.). Chicago: Health Administrative Press. 

  9. Johnson, J. A. (2012). FDA regulation of medical devices. Washington D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10. Kim, H. J., & Kim, K. H. (2011). Verification of validity of MPM II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1), 92-100. 

  11. Kim, S. D., Min, S. W., Son, J. T., & Kim, D. O. (1989). An evaluation of therapeutic intervention scoring system (TISS) in crit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2 (2), 284-290. 

  12. Kim, Y. S., & Yoo, Y. S. (2005). The APACHE III score and multiple organ failure (MOF) score in patients who were recipients of decision-making do-not-resuscitat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 (5), 762-771. 

  13. Knaus, W. A., Wagner, D. P., Draper, E. A., Russo, M., Bergner, M., Shortell, S. M., et al. (1989). The APACHE III study design: analytic plan for evaluation of severity and outcome. Critical Care Medicine, 17 , S169-221. 

  14. Knaus, W. A., Wagner, D. P., Draper, E. A., Zimmerman, J. E., Bergner, M., Bastos, P. G., et al. (1991). The APACHE III prognostic system: risk prediction of hospital mortality for critically ill hospitalized adults. Chest, 100 (6), 1619-1636. 

  15. Lee, H. S. (1989). Korea grand dictionary (3rd ed.). Seoul: Minjung Seorim. 

  16. Lim, J. H., & Park, J. Y. (2011). The impact of comorbidity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on the health outcomes of patients with th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1 (4), 541-564. 

  17. Shwartz, M., Iezzoni, L. I., Moskowitz, M. A., Ash, A. S., & Sawitz, E. (1996). The importance of comorbidities in explaining differences in patient costs. Medical Care, 34 (8), 767-782. 

  18. Somme, D., Maillet, J. M., Gisselbrecht, M., Novara, A., Ract, C., & Fagon, J. Y. (2003). Critically ill old and the oldest-old patients in intensive care: short-and long-term outcomes. Intensive Care Medicine, 29 (12), 2137-2143. 

  19. Sundararajan, V., Henderson, T., Perry, C., Muggivan, A., Quan, H., & Ghali, W. A. (2004). New ICD-10 vers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predicted in-hospital mortal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7 (12), 1288-1294. 

  20. You, Y. Y., Min, Y. G., Ahn, J. H., Choi, S. C., Shin, Y. H., Jung, Y. S., et al. (2011). Prediction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paraquat intoxication using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II.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6 (4), 221-2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