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섭식장애로 진단되는 24세 여자 환자에게 2주간 총 6회 위정격(胃正格)의 침 치료 및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투여로 비만도 향상 및 식습관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ting disorders is a significant failure on the dietary behavior, can be distinguished by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For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screening for medical conditions and hospitalizations are needed. Also, medications such as antidepressants may be helpful, and it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진 결과 전반적으로 엷은 황태가 끼어 있었고, 맥진 결과 맥미약(脈微弱) 상태였다. 깊은 잠을 들지 못하며, 특히 취침 전 구토를 하지 않으면 잠을 잘 못 잔다고 하였고, 상기의 초진 소견 및 환자의 주소증을 근거로 장기간 지속된 폭식으로 발생한 食積 및 胃氣虛가 겸하여 나타나는 痰飮眩暈으로 보고 치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야간에 폭식 및 음주를 한 후 구토를 습관화하고 있는 섭식장애 환자에게 한의학적인 치료를 시행한 후 개선 및 완화가 되었음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 의 肝脾不和와 食積으로 변증된 신경성 폭식증 치험 1예 등이 있었으나 증례 및 연구가 많지 않았으며, 최근 한방비만학회 연수강좌를 통해서 섭식장애에 관한 강의들이 종종 이루어지면서 한의계에서도 이 부분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는 최근 체중증가 등을 이유로 일부러 구토를 유도하였으나, 현재는 습관이 되어서인지 야간에 폭식 및 퇴근 후 구토를 습관처럼 하는 등 섭식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를 반하백출천마탕과 위정격으로 치료하여 어느 정도 유효했다고 판단되는 증례가 있어 후향적으로 관찰된 내용을 토대로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특징은?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거식증이라고도 불리며, 체중과 음식에 몰두해서 체중감소를 위한 행동과 독특한 음식 다루기, 체중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무월경, 환자 스스로 유발하거나 의도적으로 지속시키는 체중감소, 심각한 신체상(body image)의 장애, 과도한 날씬함을 추구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종종 기아상태에까지 이르는 병이다2).
신경성 대식증은 무엇이라 불리는가? 신경성 대식증은 폭식증이라 불리며, 다량 음식을 단시간에 재빨리 참을 수 없는 듯이 먹어치우는 폭식과 체중조절에 지나치게 골몰하는 것이 특징이며, 복통과 구역질이 날 때까지 먹고 나서는 체중증가를 막기 위해 토하고, 이어서 죄책감, 우울, 자기 혐오감으로 괴로워한다3).
섭식장애의 한의학적 치료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또 이로 인해 納呆 외에도 惡心脹滿, 面黃倦怠, 食不消化 등의 증상과 胸悶腹痛, 善太息, 躁急易怒, 腹脹便溏, 腸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고 하였다7). 그리고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울결된 간기와 비기를 疏泄시키는 것을 근간으로 하여 疏肝健脾, 和胃, 醒脾燥濕, 理氣化痰시키는 방법 등을 활용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ark C. The relationships of eating disorders and self-concept, perfectionism in the adolescence. PhD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9 : 1-77. 

  2. Weinberg RS, Gould D.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1995.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4. Bae J, Choi J. A study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ting disorders: a comparision with restrained, unrestrained (normal) eaters, and overweighters. J Korean Psychol Assoc. 1997 ; 16(2) : 209-17. 

  5. Yao N. TCM Identification of clinical symptoms diagnostics.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7 : 254. 

  6. Chao Y.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 : 626-7. 

  7. Sak Y. New treatise on the spleen and stomach. Shanxi : Shanxi Education and Science Press. 1986 : 39-40. 

  8. Heo J. Interpreted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Seoul : Bubin Publishers Co. 1999 : 523. 

  9. Yu B, Kim J, Shim J, Kim M, Oh B, Lee J, et al. A clinical study of one patient suffering anorexia nervosa-like symptoms. Korean J Orient Int Med. 2004 ; 25(3) : 655-61. 

  10. Kim H, Seong W, Kim K. A literature study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based on Chinese medical journals. J Pediatr Korean Med. 2013 ; 27(4) : 87-98. 

  11. Kim H, Chu C, Lee J, Cha H, Seo Y, Park S, et al. A case report of binge eating due to disharmony of the liver & spleen and retention of undigested food. J Orient Neuropsychiatry. 2008 ; 19(3) : 255-64. 

  12. Rhee M, Lee Y, Park S, Sohn C, Chung Y, Hong S,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 I: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Korean J Psychosom Med. 1998 ; 6(2) : 155-75. 

  13. Lee SW, Sung CJ, Kim AJ, Kim MH.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 5(3) : 419-31. 

  14. America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DSM-IVTR).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15.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Chicago (IL) :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2006. 

  16. Garner DM, Garfinkel PE. The Eating Attitude Test: an index of the symptoms of anorexia nervosa. Psychol Med. 1979 ; 273-9. 

  17. Rhee M, Go Y, Lee H, Whang E, Lee Y.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orean J Psychosom Med. 2001 ; 9(2) : 153-63. 

  18. Hwang D. Added compilation of formulas and medicinals (pocket version). Seoul : Younglimsa. 2002 : 2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