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대용종 음성에 대한 음향지표와 청지각지표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coustic and Perceptual Parameters in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26 no.1, 2015년, pp.40 - 45  

이현두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전이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언어치료학과) ,  홍기환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s of Praat as an acoustic evaluation and those of GRBAS and CAPE-V as perceptual rating tool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also tries to find out parameters to which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n evaluator, who i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결과, 주관적 척도 평정과 음향학적 측정치간의 상관관계에서 MDVP의 여러 파라미터를 모두 고려할 때 Shimmer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고 그 다음이 NHR이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진폭변동률 수치만을 보았을 때의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Shimmer와 지각적 검사와의 높은 상관성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번한 발병률을 보이는 성대 용종 환자를 대상으로, 청지각적 방법에 의한 주관적 평가도구(GRBAS, CAPE-V)와 음성분석 기구로서 많이 사용되는 도구인 Praat에 의한 객관적 분석방법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Praat를 통하여 분석되는 변인인 Fo, Jitter, Shimmer, NHR과 GRBAS, CAPE-V 각각의 척도와의 상관성의 정도 및 유의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대 폴립 환자를 대상으로, 청지각적 방법에 의한 주관적 평가도구(GRBAS, CAPE-V)와 음성분석 기구로서 많이 사용되는 도구인 Praat에 의한 객관적 분석방법의 상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Bhuta 등5)은 음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GRBAS와 MDVP의 변인 간 상관관계 연구에서, G척도는 VTI(voice turbaluence index), NHR(noise harmonic ratio), SPI(soft phonation index)에서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고 R척도는 NHR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였으며7) 성대폴립 환자를 대상으로 GRBAS와 MDVP 간 상관관계 연구에서 MDVP의 변인 중 GRBAS 척도 측정치와 상관성이 높은 변인은 음도 변이 관련 측정치(Jita, Jitt, RAP, PPQ, sPPQ, vFo), 강도 변이 관련 측정치(ShdB, Shim, APQ, sAPQ, vAm)라고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번한 발병률을 보이는 성대 용종 환자를 대상으로, 청지각적 방법에 의한 주관적 평가도구(GRBAS, CAPE-V)와 음성분석 기구로서 많이 사용되는 도구인 Praat에 의한 객관적 분석방법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Praat를 통하여 분석되는 변인인 Fo, Jitter, Shimmer, NHR과 GRBAS, CAPE-V 각각의 척도와의 상관성의 정도 및 유의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음성평가는 음성장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질적인 비교를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임상의 및 음성 치료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장애란 무엇인가? 음성장애는 강도, 음도, 음질, 또는 공명 같은 음성의 측면들이 화자의 연령, 성별, 또는 지역적 배경에 대해 정상 범위를 벗어난 때를 말한다. 음성장애 중 성대결절, 성대용종, 성대마비는 빈번한 발병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세 질환의 발병률은 음성과 관련된 후두질환의 약 25~30%를 차지하고 있다.
성대용종이란 무엇인가? 음성장애 중 성대결절, 성대용종, 성대마비는 빈번한 발병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세 질환의 발병률은 음성과 관련된 후두질환의 약 25~30%를 차지하고 있다. 성대용종은 지속적인 음성의 과다사용이나 무리한 발성법 즉, 음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잘못된 과기능적 습관에서 주로 기인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후두의 만성질환으로 성인 성대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성대용종은 양쪽 성대가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목소리가 잠기게 되어 기식성소리 및 쉰소리가 나며 이물감을 호소한다.
CAPE-V 청지각적 평가도구가 평가하는 항목은? CAPE-V는 음성 청각-인지 평가를 위한 도구로 개발되었으며 비교적 최근에 많이 쓰이고 있는 청지각적 평가도구이다.3,4) 시각적 아날로그척도(visual analog scale, VAS)로 전반적인 중증도(OS), 거친소리(R), 바람 새는 소리(B), 쥐어짜는 소리(S), 음도(P), 음의 크기(L) 등의 6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음성의 전반적인 심각성 뿐 아니라 음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GRBAS가 음질만을 평가한다는 단점이 지적되는 것에 반해, 음도, 음의 강도, 음질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이 추가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ong KH, Yang YS, Kim JS, Lee JK, Lee EJ.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vocal polyp and acoustic parameters. J Korean Logo Phon 2006;17:17-27. 

  2. Ma E, Yiu E. Multiparametric evaluation of dysphonic severity. J Voice 2006;20:380-90. 

  3. Wuyts Fl, DeBolt Ms, Molenbergs G. The dysphonia severity index: An objective measure of vocal quality based on a multiparameter approach. J Speech Lang Hearing Res 2000;43:796-809. 

  4. Piccirillo JF, Painter C, Fuller D, Fredrickson JM. Multivariate analysis of objective vocal function. Ann Otol Rhinol Laryngol 1998;107: 107-12. 

  5. Bhuta C, Patrick L, Garnett JD.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acoustic measurements. J Voice 2004;18: 299-304. 

  6. De Bodt MS, Wuyts FL, Van de Heyning PH, Croux C. Test-retest study of GRBAS scale: Influence of experience and professional background on perceptual rating of voice quality. J Voice 1997;11:74-80. 

  7. Eskenazi L, Childers DG, Hicks DM. Acoustic correlates of vocal quality. J Speech Languge Hear Res 1990;33:298-306. 

  8. Wolfe V, Fitch J, Cornell R. Acoustic prediction of severity in commonly occurring voice problems, J Speech Languge Hear Res 1995; 38:273-9. 

  9. Karnell MP, Melton SD, Childes JM, Coleman TC, Dailey SA, Hoffman HT. Reliability of clinician-based (GRBAS and CAPE-V). and patient-based (V-RQOL and IPVI) documentation of voice disorders. J Voice 2007;21:576-90. 

  10. Zraick RI, Kempster GB, Connor NP, Klaben BK, Bursac Z, Glaze LE, et al. Establishing validity of the conseu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CAPE-V). Am J Speech Language pathol 2011;20:14-22. 

  11. Pyo HY, Choi SH, Lim SE, Sim HS, Choi HS, Kim KM, et al. The corrrelation between GRBAS Scales and MDVP Parameters on the vocal polyp. Kor Soc Logopedics Phoniatrics 1999;10:154-63. 

  12. Dejonckere PH, Bradley P, Clemente P. A basic protocol for functionl assessment of voice pathology, especially for investigating the efficacy or phonosurgical treatment and evaluating new phoniatrics of the european laryngological societ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1;258:77-92. 

  13. Jiang JJ, Zhang Y, MacCallum J, Sprecher A, Zhou L. Objective acoustic analysis of pathological voices from patients with vocal nodules and polyps. Folia phoniatrica 2009;61:342-9. 

  14. Revis J, Giovanni A, Wuyts FL, Triglia JM. Comparison of different voice samples for perceptual analysis. Folia Phoniatr Logop 1991;51:108-11. 

  15. Uloza V, Saferis V, Uloziene I. Perceptual and acoustic assessment of voice pathology and the efficacy of endolaryngeal phonomicrosurgery. J Voice 2005;19:138-45. 

  16. Nemr L, Simoes-Zenari M, Ferro Cordeiro G, Tsuji D, Ogawa AI, Ubrig MT, et al. GRBAS and Cape-V scales: High reliability and consensus when applied at different times. J Voice 2012;26:17-22. 

  17. Kempster GB, Gerratt BR, Abbott KV, Barkmeier-Kraemer J, Hillman RE.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linical protocol. Am J Speech Language Pathol 2009;18:124-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