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integrate sports uniform design into fash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ans by analyzing the uniforms of women's pro basketball and volleyball teams in the country.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pro sports background and wom...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sports uniform design into fash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ans by analyzing the uniforms of women's pro basketball and volleyball teams in the country.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pro sports background and women's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For empirical research, an analysis was performed of the uniforms of 12 teams in total: six women's pro basketball teams and six women's pro volleyball teams in the 2013~2014 leagu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ormativeness, sleeveless shirts and shorts are basic in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However,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hirts in volleyball are tighter, with the body figure visible, and shorts are shorter in length than those in basketball. Most basketball uniforms have a V-neckline and are collarless, while volleyball uniforms have a standup collar in all teams. Second,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apply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sponsoring company and the team's typical color, but common colors, such as blue, navy, and white, are used in many teams, which fails to represent a uniquely differentiated image. Third, the logo or symbol of a sponsor is excessively applied to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This downgrades the uniform's own esthetic features. Fourth, a fashionable uniform design, that reflects the bodily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s game would be a beneficial communication tool for all the tiers to become involved in participation and entertainment.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sports uniform design into fash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ans by analyzing the uniforms of women's pro basketball and volleyball teams in the country.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pro sports background and women's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For empirical research, an analysis was performed of the uniforms of 12 teams in total: six women's pro basketball teams and six women's pro volleyball teams in the 2013~2014 leagu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ormativeness, sleeveless shirts and shorts are basic in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However,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hirts in volleyball are tighter, with the body figure visible, and shorts are shorter in length than those in basketball. Most basketball uniforms have a V-neckline and are collarless, while volleyball uniforms have a standup collar in all teams. Second,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apply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sponsoring company and the team's typical color, but common colors, such as blue, navy, and white, are used in many teams, which fails to represent a uniquely differentiated image. Third, the logo or symbol of a sponsor is excessively applied to both basketball and volleyball uniforms. This downgrades the uniform's own esthetic features. Fourth, a fashionable uniform design, that reflects the bodily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s game would be a beneficial communication tool for all the tiers to become involved in participation and entertainm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각 구단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스포츠 유니폼의 파급효과와 영향력은 착용하는 선수와 관중, 구단, 관련 산업, 국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걸쳐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여자 프로 농구와 배구 구단의 유니폼을 디자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스포츠 유니폼 디자인의 패션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제안 방법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여자 프로 농구와 배구 구단의 유니폼을 디자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스포츠 유니폼 디자인의 패션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인 디자인 분석 대상은 2013~2014 리그에 착용된 유니폼으로 한정하여 국내 여자 프로농구 구단 6팀, 프로배구 구단 6팀, 총 12팀의 유니폼 디자인이다.
유니폼 디자인 분석은 시각적 요소에 집중하여 유니폼 형태, 색상, 문양 및 광고로 분류하였고, 소재적인 측면은 제외하였다. 그리고 프로 스포츠 구단 유니폼은 구단의 정체성을 상징함과 동시에 마케팅 창출을 위한 강력한 광고와 홍보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각 구단의 로고와 심벌 적용 및 스폰서 광고 레이아웃 등을 포함하였다. 프로 여자 농구는 각 구단별로 홈경기와 원정경기 유니폼이 구분되어 12개 유니폼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또 유니폼 한 벌에 적용된 색상은 3~5색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러데이션 효과를 적용한 것도 나타났다. 유니폼 구성라인에 따라 배색을 달리하여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화이트, 오렌지, 제이드 그린, 진녹색, 옐로, 네이비, 골드, 핑크, 연구, 레드, 그레이, 블루, 연 핑크, 연 블루, 블랙 등 농구 유니폼보다 더 다양한 색상이 적용되었다. 이는 리베로 유니폼 색상에 대해 소속팀 다른 선수와 구분되도록 한 제한 외에 색상 제한이 없는 배구연맹 규정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프로 여자 농구와 배구 유니폼은 각 구단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스포츠 마케팅을 위한 수단으로서 적극 활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 여자 농구와 배구 유니폼 디자인의 형태, 색상, 문양 및 광고, 레이아웃 등을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인 디자인 분석 대상은 2013~2014 리그에 착용된 유니폼으로 한정하여 국내 여자 프로농구 구단 6팀, 프로배구 구단 6팀, 총 12팀의 유니폼 디자인이다. 사진 자료는 각 구단 홈페이지에 게시된 경기 사진 및 구단 소개 자료, 프로 농구 및 배구 관련 기사 등을 참고하였다.
실증적 연구인 디자인 분석 대상은 2013~2014 리그에 착용된 유니폼으로 한정하여 국내 여자 프로농구 구단 6팀, 프로배구 구단 6팀, 총 12팀의 유니폼 디자인이다. 사진 자료는 각 구단 홈페이지에 게시된 경기 사진 및 구단 소개 자료, 프로 농구 및 배구 관련 기사 등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3~2014 리그에 착용된 프로 여자 농구 6팀과 프로 여자 배구 6팀, 총 12팀의 유니폼 디자인이다. 유니폼 디자인 분석은 시각적 요소에 집중하여 유니폼 형태, 색상, 문양 및 광고로 분류하였고, 소재적인 측면은 제외하였다.
그리고 프로 스포츠 구단 유니폼은 구단의 정체성을 상징함과 동시에 마케팅 창출을 위한 강력한 광고와 홍보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각 구단의 로고와 심벌 적용 및 스폰서 광고 레이아웃 등을 포함하였다. 프로 여자 농구는 각 구단별로 홈경기와 원정경기 유니폼이 구분되어 12개 유니폼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배구 역시 홈경기와 원정경기 유니폼이 구분되어 있으나, 경기 특성상 리베로 유니폼이 따로 지정되어 착용되고 있다.
배구 역시 홈경기와 원정경기 유니폼이 구분되어 있으나, 경기 특성상 리베로 유니폼이 따로 지정되어 착용되고 있다. 그러나 6팀 중 2팀은 리베로 복장이 따로 구분되지 않고 홈경기와 원정유니폼 중 택일하여 팀 내 다른 선수와 구분되도록 하고 있어, 총 16개 유니폼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기타 종목으로는 한국 체조복의 변천과 기능(Moon, 1985), 인라인 스케이트 국가대표 유니폼 디자인 개발(Kwon, 2013) 등이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살펴보면 이제까지 스포츠 유니폼과 관련하여 디자인 분석, 변천과정, 디자인 개발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농구 유니폼 관련 연구(Joo, 2006; Kim, 2003; Kim, 2005; Kim & Ha, 2000; Kim & Jeon, 2003; Ryu & Lee, 2004; Seo, 2001)는 남자 프로농구 유니폼 디자인 분석, 대학 농구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가 있고, 여자 농구 유니폼은 변천과정 및 여성학적 측면에서의 연구만이 진행되어 현재 여자 프로농구 유니폼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여자농구연맹이 제시하고 있는 규정에 준하여 농구연맹 로고, 팀명, 선수명, 선수번호, 광고 등이 레이아웃 되어 있었다. 6개 구단 모두 하의 팬츠는 동일한 형태였고, 상의 셔츠 역시 유사한 형태이나 네크라인은 각 구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V 네크라인을 기본으로 파임 정도에 차이를 두거나 선 장식, 덧 장식 등 디테일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개 구단은 칼라 없는 셔츠 형태이나 1개 구단만이 스탠드칼라를 적용하고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유니폼에 레이아웃 된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의 색상 역시 연맹 규정에 따라 유니폼 색상과 구분되는 선명한 색상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폼과 동일 색상인 경우, 테두리 선 장식을 통해 뚜렷한 명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 네이비, 블루, 옐로 등 총 4가지로 나타났는데, 팀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50.
유니폼에 레이아웃 된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의 색상 역시 연맹 규정에 따라 유니폼 색상과 구분되는 선명한 색상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폼과 동일 색상인 경우, 테두리 선 장식을 통해 뚜렷한 명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 네이비, 블루, 옐로 등 총 4가지로 나타났는데, 팀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50.0%), 블루(25.0%) 순으로 나타났고, 선수 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33.3%)와 네이비(33.3%)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선수 번호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58.3%), 블루(16.7%) 순으로 나타났다. 유니폼 색상은 물론 팀명, 선수 명, 선수번호에 이르기까지 화이트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2).
7%) 순으로 나타났다. 유니폼 색상은 물론 팀명, 선수 명, 선수번호에 이르기까지 화이트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2).
여자 농구 유니폼에 적용된 문양은 5개 구단에서 유니폼 전체에 적용되기보다 상의 앞이나 측면 등 일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단 엠블럼이나 모기업 아이덴티티를 상징하는 심벌, 도트 문양, 리그 우승 횟수를 상징하는 별 문양 등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특히 신한 에스버드는 상의 앞면에는 모 기업 아이덴티티를 상징하는 그래픽 효과를, 뒷면에는 도트 문양을 적용하여 차이를 나타냈고, 삼성 블루밍스는 팀 엠블럼에 적용된 번개형상을 상의 앞면에 적용하여 장식적인 이미지를 나타냈으며, 우리은행 한새, KB 스타즈, KDB 생명 위너스에서는 동일하게 별 문양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농구 유니폼에 적용된 문양은 5개 구단에서 유니폼 전체에 적용되기보다 상의 앞이나 측면 등 일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단 엠블럼이나 모기업 아이덴티티를 상징하는 심벌, 도트 문양, 리그 우승 횟수를 상징하는 별 문양 등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특히 신한 에스버드는 상의 앞면에는 모 기업 아이덴티티를 상징하는 그래픽 효과를, 뒷면에는 도트 문양을 적용하여 차이를 나타냈고, 삼성 블루밍스는 팀 엠블럼에 적용된 번개형상을 상의 앞면에 적용하여 장식적인 이미지를 나타냈으며, 우리은행 한새, KB 스타즈, KDB 생명 위너스에서는 동일하게 별 문양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의 앞면에는 기본적으로 연맹 로고와 팀명, 선수번호가 제시되었고, 측면에는 모기업 광고가 적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색상을 달리한 패널로 강조하였으며, 뒷면에는 문양이나 로고 없이 깔끔하게 디자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니폼 규정에 준하여 배구연맹 로고, 팀명, 선수 명, 선수번호, 광고 등이 레이아웃 되어 있었고, 상의 네크라인과 칼라 형태는 각 구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농구와 달리 V 네크라인에 스탠드칼라가 부착되어 목을 감싸는 형태가 5 구단, 라운드 네크라인에 스탠드칼라가 부착된 구단이 1개로 나타났고, 네크라인과 칼라에 선 장식 등 디테일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의 팬츠는 몸에 피트 되는 짧은 길이의 디자인으로 모든 구단이 동일했다.
유니폼에 사용된 색상은 구단 상징 색상이나 엠블럼에 활용된 색상을 이용하여 통일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정, 홈경기용 유니폼 및 리베로 유니폼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착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4개 구단만이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있었고, 2개 구단은 리베로 유니폼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홈, 원정 경기 시 같은 팀 선수와 다른 색상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리베로 유니폼이 따로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베로가 홈경기와 원정유니폼 중 택일하여 팀 내 다른 선수와 구분되는 색상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도 나타났다.
그러나 4개 구단만이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있었고, 2개 구단은 리베로 유니폼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홈, 원정 경기 시 같은 팀 선수와 다른 색상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리베로 유니폼이 따로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베로가 홈경기와 원정유니폼 중 택일하여 팀 내 다른 선수와 구분되는 색상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도 나타났다.
리베로 유니폼을 제외한 홈, 원정 경기 유니폼 색상은 2개 구단만이 서로 연결되는 이미지로 나타났고, 4개 구단은 완전히 다른 색상을 적용하여 차별화된 이미지를 나타냈다. 또 유니폼 한 벌에 적용된 색상은 3~5색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러데이션 효과를 적용한 것도 나타났다. 유니폼 구성라인에 따라 배색을 달리하여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화이트, 오렌지, 제이드 그린, 진녹색, 옐로, 네이비, 골드, 핑크, 연구, 레드, 그레이, 블루, 연 핑크, 연 블루, 블랙 등 농구 유니폼보다 더 다양한 색상이 적용되었다.
유니폼에 레이아웃 된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의 색상 역시 농구 유니폼과 같이 연맹 규정에 따라 유니폼 색상과 구분되는 선명한 색상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폼과 동일 색상인 경우 테두리 선 장식을 통해 뚜렷한 명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 오렌지, 진녹색, 블랙, 네이비, 핑크, 그레이 등 총 7가지로 나타났는데, 팀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56.
유니폼에 레이아웃 된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의 색상 역시 농구 유니폼과 같이 연맹 규정에 따라 유니폼 색상과 구분되는 선명한 색상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폼과 동일 색상인 경우 테두리 선 장식을 통해 뚜렷한 명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번호, 팀명, 선수 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 오렌지, 진녹색, 블랙, 네이비, 핑크, 그레이 등 총 7가지로 나타났는데, 팀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56.2%), 네이비(25.0%)순으로 나타났고, 선수 명에 적용된 색상은 화이트(56.2%), 네이비(31.2%)순으로 나타났으며, 선수 번호에 적용된 색상은 네이비(37.5%), 화이트(25.0%) 순으로 나타났다. 팀 개성을 반영하여 유니폼에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고 있으나, 농구 유니폼과 마찬가지로 팀명, 선수 명, 선수번호에 이르기까지 화이트의 적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5).
0%) 순으로 나타났다. 팀 개성을 반영하여 유니폼에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고 있으나, 농구 유니폼과 마찬가지로 팀명, 선수 명, 선수번호에 이르기까지 화이트의 적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5).
여자 배구 유니폼에 적용된 문양은 2개 구단에만 나타났고, 유니폼 전체에 적용되기보다 앞, 뒷면 및 측면 일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곡선 줄무늬의 그래픽 효과, 눈 결정체 문양 등이 나타났다(Table 6). 대부분 유니폼 구성 라인에 따라 색상을 달리한 패널로 강조하였으며, 상의의 경우 래글런 소매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색상 배합을 달리 적용하여 특징을 나타냈다.
먼저 형태적 측면에서 농구와 배구 유니폼 모두 민소매 셔츠와 팬츠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배구유니폼은 농구 유니폼에 비해 몸매를 드러내는 타이트한 형태이며, 하의는 짧은 길이로 구성되었고, 상의 셔츠에는 스탠드칼라가 달려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유니폼 색상은 농구와 배구 모두 모기업의 상징 색 및 구단의 대표 색을 적용하고 있으나, 블루, 네이비, 화이트는 여러 구단에서 사용되고 있어 차별화된 이미지를 나타내지 못했다.
유니폼 색상은 농구와 배구 모두 모기업의 상징 색 및 구단의 대표 색을 적용하고 있으나, 블루, 네이비, 화이트는 여러 구단에서 사용되고 있어 차별화된 이미지를 나타내지 못했다. 농구 유니폼은 한 벌 유니폼에서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기보다는 상하의 동일색상 및 옆 패널을 부각시킨 디자인으로 길어 보이는 효과를 강조하였고, 배구 유니폼은 상하의 배색 및 여러 패널에 적용된 색상 배색으로 차이를 나타냈으며, 농구 유니폼에 비해 문양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니폼에 제시된 팀명, 선수번호, 선수명의 경우 규정에 따라 제시되고 있었으나, 한 벌의 유니폼 내에 팀명, 모기업 로고, 심벌 등의 중복제시 및 광고문구로 인해 산만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유사한 형태의 유니폼 디자인에서 색상은 각 구단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최상의 요소이자 관중에게 팀을 각인시킬 수 있는 절대적인 요소라고 생각된다. 농구와 배구 모두 여러 구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색상을 벗어나, 차별화된 색상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니폼에 함께 레이아웃 되는 여러 로고 그래픽의 형태나 색상 역시 유니폼 색상과 조화를 이루고 구단명과 엠블럼을 조화하여 타 구단과의 차별성을 꾀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각 구단의 재정적 측면을 고려한 스포츠 마케팅 수단으로 각종 광고를 제시하게 되나, 지나친 광고 및 획일적인 레이아웃은 유니폼의 미적 측면은 물론 팀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부여하지 못한다고 사료된다. 팀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색상과 팀명, 선수 번호, 선수 명이 제시된 유니폼은 깔끔한 이미지로 타 구단과 차별화될 수 있으며, 더 큰 수익사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한 형태로 표현되는 유니폼 디자인에서 색상은 팀을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중요 요소라 할 수 있다. 유니폼에 적용된 색상은 구단 상징 색상이나 엠블럼에 활용된 색상을 이용하여 통일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정, 홈경기로 구분되는 경기 특성에 따라 구단별로 두 가지 색상의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었으나, 5개 구단은 주조 색상만을 달리하여 홈, 원정경기 유니폼이 서로 연결되는 이미지로 나타났고, 1개 구단은 전혀 다른 색상을 착용하여 차별화된 이미지를 나타냈다.
후속연구
그러나 여자 선수가 착용하는 유니폼은 대중과 함께 보고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스포츠 문화 조성을 위해 여자 스포츠 선수들이 착용하는 유니폼을 성 상품화 논란의 장으로 이끌고 오는 시각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스포츠마케팅 측면에서도 패션의 심미적 감성이 부가된 유니폼은 착용하는 선수의 만족감은 물론 기업의 스포츠마케팅 수익창출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농구 유니폼의 팬츠 뒷면에는 광고가 제시되지 않았으나, 배구 유니폼의 경우 3개 구단은 하의 뒷면에까지 모기업명, 스폰서 광고 등을 레이아웃하고 있어 산만한 이미지를 나타냈고, 각종 스폰서 로고 및 심벌에 적용된 다양한 색상 역시 유니폼 고유의 색상이미지를 저해하는 요소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과도한 광고는 유니폼을 통한 마케팅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하나, 유니폼의 심미적 효과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사료되었다.
이에 농구와 배구 유니폼디자인의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종목의 동작 특성을 적극 고려해야 하나, 농구 유니폼의 경우 경기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허리선 강조나 팬츠 길이 변화를 모색해 볼 수 있다고 사료되며, 어깨 부분을 깊게 파서 경기 동작 편의 및 시각적으로 시원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배구 유니폼은 현재 대부분의 구단에서 착용되고 있는 숏 팬츠 외에 치마바지 형태 역시 여성적인 이미지를 전달하여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검토될 수 있다고 사료되며, 상의에서 동일한 스탠드칼라를 탈피한다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각 종목의 동작 특성을 적극 고려해야 하나, 농구 유니폼의 경우 경기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허리선 강조나 팬츠 길이 변화를 모색해 볼 수 있다고 사료되며, 어깨 부분을 깊게 파서 경기 동작 편의 및 시각적으로 시원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배구 유니폼은 현재 대부분의 구단에서 착용되고 있는 숏 팬츠 외에 치마바지 형태 역시 여성적인 이미지를 전달하여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검토될 수 있다고 사료되며, 상의에서 동일한 스탠드칼라를 탈피한다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사한 형태의 유니폼 디자인에서 색상은 각 구단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최상의 요소이자 관중에게 팀을 각인시킬 수 있는 절대적인 요소라고 생각된다. 농구와 배구 모두 여러 구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색상을 벗어나, 차별화된 색상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니폼에 함께 레이아웃 되는 여러 로고 그래픽의 형태나 색상 역시 유니폼 색상과 조화를 이루고 구단명과 엠블럼을 조화하여 타 구단과의 차별성을 꾀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단 심벌이나 상징적인 요소들을 문양으로 활용한다면 차별화된 팀 고유의 유니폼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농구와 배구 모두 여러 구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색상을 벗어나, 차별화된 색상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니폼에 함께 레이아웃 되는 여러 로고 그래픽의 형태나 색상 역시 유니폼 색상과 조화를 이루고 구단명과 엠블럼을 조화하여 타 구단과의 차별성을 꾀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단 심벌이나 상징적인 요소들을 문양으로 활용한다면 차별화된 팀 고유의 유니폼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각 구단의 재정적 측면을 고려한 스포츠 마케팅 수단으로 각종 광고를 제시하게 되나, 지나친 광고 및 획일적인 레이아웃은 유니폼의 미적 측면은 물론 팀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부여하지 못한다고 사료된다. 팀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색상과 팀명, 선수 번호, 선수 명이 제시된 유니폼은 깔끔한 이미지로 타 구단과 차별화될 수 있으며, 더 큰 수익사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프로 야구나 축구 종목의 경우, 레플리카 판매를 통해 각 구단은 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오늘날 프로 야구나 축구 종목의 경우, 레플리카 판매를 통해 각 구단은 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현재 여자 프로 농구와 배구단에서 선수 유니폼 판매는 활성화 되어 있지 않으나, 향후 수익 창출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스포츠 유니폼은 앞으로 모든 계층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기여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며,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은 스포츠 유니폼 마케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 프로 농구와 배구 유니폼이 여성의 신체적 특징과 구단의 정체성을 각인시킬 수 있는 패션화된 유니폼 디자인으로 전개된다면 착용하는 선수는 물론 관람하는 관중, 구단에 이르기까지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 유니폼은 앞으로 모든 계층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기여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며,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은 스포츠 유니폼 마케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 프로 농구와 배구 유니폼이 여성의 신체적 특징과 구단의 정체성을 각인시킬 수 있는 패션화된 유니폼 디자인으로 전개된다면 착용하는 선수는 물론 관람하는 관중, 구단에 이르기까지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시각적 측면에 중점을 둔 유니폼 디자인 분석으로 소재 측면을 제외함으로써 한계점을 지니나, 스포츠 유니폼이 시각적 효과와 마케팅적인 요소 모두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여자 농구와 배구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시각적 측면에 중점을 둔 유니폼 디자인 분석으로 소재 측면을 제외함으로써 한계점을 지니나, 스포츠 유니폼이 시각적 효과와 마케팅적인 요소 모두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여자 농구와 배구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선수나 관중의 입장에서 조명한 디자인 선호도 연구 및 구단의 아이덴티티를 부각시킨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 개발로 확장하여 진행할 것이다. 앞으로 국내 여성 스포츠 유니폼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및 스포츠 패션문화 발전을 기대해본다.
후속연구에서는 선수나 관중의 입장에서 조명한 디자인 선호도 연구 및 구단의 아이덴티티를 부각시킨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 개발로 확장하여 진행할 것이다. 앞으로 국내 여성 스포츠 유니폼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및 스포츠 패션문화 발전을 기대해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가 라이프 스타일에 끼친 영향은?
즉, 오늘날 스포츠는 단순히 체력을 증진시키고, 여흥을 목적으로 하는 차원을 넘어 관련 산업 및 국가 브랜드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관람하는 스포츠를 넘어 직접 참여하고, 스스로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변화되고 있는데, Park(2009)은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는 스포츠 활동과 스포츠 패션에 대한 의미를 건강과 기능성에 두었던 과거와 달리 사용가치의 측면에서 스포츠 소비를 통한 의미화와 의사소통으로, 그리고 타인과 다르게 보이고자 하는 차이화 과정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하였다.
스포츠 문화 발전을 위해 정부가 내놓은 정책은?
스포츠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열광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국민 스포츠라고 불릴 만큼 국내 스포츠 시장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가지고 있는 프로야구를 선두로 프로축구, 남자배구, 남자농구, 여자농구의 순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Roh, 2013). 정부 역시 2013년 ‘스포츠 비전 2018’을 발표하여 향후 5년간 스포츠 정책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스포츠 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즉, 오늘날 스포츠는 단순히 체력을 증진시키고, 여흥을 목적으로 하는 차원을 넘어 관련 산업 및 국가 브랜드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스포츠 시장에서 인기가 많은 스포츠순은?
영국 프리미엄 리그와 미국 슈퍼볼 경기는 전 세계에 생중계 되는 스포츠 대전이며, 스포츠를 통해 자국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있다(Yoo, 2010). 스포츠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열광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국민 스포츠라고 불릴 만큼 국내 스포츠 시장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가지고 있는 프로야구를 선두로 프로축구, 남자배구, 남자농구, 여자농구의 순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Roh, 2013). 정부 역시 2013년 ‘스포츠 비전 2018’을 발표하여 향후 5년간 스포츠 정책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스포츠 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참고문헌 (32)
Australian women's volleyball players, opposition to change uniforms. (1998, December 16). AP.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media.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19981216142500821
Cha, H. J. (2008). The study of the design element of Korean pro football teams: Comparative analysis with English pro football tea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Cho, Y. A., & Son, Y. M. (2002).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design of Korean soccer uniform: Based on national soccer player's unifor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2(7), 103-121.
Choi, J. M. (2007). The changes of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s uniform after independ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Chung, D. H. (2012). A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through watching factors of WKBL.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6(3), 82-93.
History. (2014, March 1). Korean volleyball federation.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www.kovo.co.kr/info/intro/history_2004.asp
Joo, H. B. (2006). Historical & ideological study on the evolution of Korean women's basketball. Coach, 22(2), 19-29.
Kim, J. S., Lee, K. M., & Kim, J. (2011).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ports uniform trend and sexual commercializatio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an, 25(3), 23-34.
Kim, S. H. (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pparel design process to the university basketball's uniform design: Focused on basketball's uniform design of Hanyang university.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4(1), 197-208.
Kim, S. M., & Ha, W. Y. (2000). Feminist criticism of the history of women's Korean basketball uniform. Korean Journal of History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5(1), 57-66.
Kim, Y. G., & Jeon, B. D. (2003). Searching for symbolic image of tight-fitting uniform in the Korean women's professional basketball.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9, 261-274.
Kim, Y. W. (2005). A study of Korea pro basketball uniform design: Focused on pro basketball player's uni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Kwon, N. K. (2011). A study of color image's association of Korea baseball te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Kwon, S. H. (2013). Development of a uniform design for the national inline skating t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2), 53-72.
Lee, H. (2013, November 24). Shorter, tighter, women uniform. JTBC.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381269
Lee, K. H. (2014). 유니폼의 이해 [Understanding of uniform]. Seoul: Kyeongchunsa.
Lee, S. H. (2007). The present state and prospect of sports sponsoring on Korean sports brands: Examing the marketing strategy of Reebok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Lim, S. M., & Lee, M. S. (2013). A study on visual identity of professional baseball uniforms in Korea, America, and Japan: Focused on colo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2), 117-13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August 22). 100 years old period, Korea to change sports. Retrieved from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2929&pMenuCD0302000000&pCurrentPage1&pTypeDept&pSearchType01&pSearchWord100
Moon, J. Y. (1985). A study on the change and function of the Korean gymnastics unifor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ark, J. H. (2001). Korean soccer uniform design representing Taeguek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ark, M. R. (2009). Consumption ideology in modern sports fashion. Proceeding of the 2009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1, 21.
Pyo, Y. K., & Lee, M. H. (2000). A study on image evaluation of baseball unifor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0(8), 43-55.
Roh, J. H. (2013, November 14). Women's basketball's endless evolution. Sports Chosun.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311150100145030008573&servicedate20131114
Rules. (2014, March 1). Women's Korean basketball league.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www.wkbl.or.kr/about/game_rule.asp
Ryu, S. H., & Lee, D. G. (2004). Three beauty of the Korean women's professional basketball. Philosophy of Movemen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12(2), 111-129.
Seo, K. H. (2001).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uniforms in the Korea women basketball play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Korea.
Volleyball. (2014, February 25). Daum encyclopedia.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09b0459b
Yang, S. H., & Han, S. Y. (2008). Fashion and image.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ess.
Yoo, M. H. (2010). A study on the visual identity of sport teams such as NFL in USA, premium league in England, and K-league in Korea.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8(2), 17-28.
Yun, J. S. (2013, November 17). The passion of goodlooking. The Kukmin daily.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7760274&cpdu
2013-2014 V-League operations guidelines. (2014, March 1). Korean volleyball federation. Retrieved March 1, 2014, from http://www.kovo.co.kr/info/vleague/1314_02.asp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