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리모델을 이용한 도서관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Library Outcomes Using a Logic Model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2, 2015년, pp.269 - 287  

박성재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  이용구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논리모델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했다. 사례연구로 연구대상 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독서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독서대학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논리모델 성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논리모델에 포함된 성과요소 중에서 도서관 데이터를 통해 측정이 가능한 중기성과를 중심으로 성과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독서대학은 연구대상 도서관이 제시하고 있는 산출평가 방식의 결과물에서 나타나지 않은 성과들을 만들어냈다. 도서대출과 관련하여 독서대학 참여자의 52%는 긍정적인 성과를 경험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독서동아리 가입이 증가했고 다양한 주제분야의 도서를 읽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독서관련 프로그램 참여율이나 독서대학의 재참여율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논리모델이 도서관 성과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ussing the applicability of a logic model as a mean measuring library outcomes. For a case study, this paper suggested a full framework for Reading Academy, a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mong the outcomes composing of the framework, medium-term 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리모델을 적용하여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본 논문은 다음 제시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도서관의 성과는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해 본 연구는 논리모델을 적용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논리모델이 도서관 업무중심의 산출평가방식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용자에게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측정하는 성과지표의 개발과 측정을 통해 도서관의 가치를 보여주는 도구로써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국내 한 도서관에서 진행된 하나의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했다는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산출평가가 분석하지 못한 도서관이 만들어내는 개인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도서관의 가치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향후 도서관 성과측정 연구의 큰 기틀을 마련했다고 할 것이다.
  • 도서관의 성과는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해 본 연구는 논리모델을 적용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논리모델이 도서관 업무중심의 산출평가방식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용자에게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측정하는 성과지표의 개발과 측정을 통해 도서관의 가치를 보여주는 도구로써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독서대학의 목적은 체계적인 독서환경을 조성하고 자율적인 독서습관의 형성은 물론 균형 있는 독서활동을 유도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2년 독서대학 프로그램(2012년 4월 1일~2013년 3월 31일)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목적 달성여부를 중심으로 그 성과를 분석하였다.
  • 평가의 기본 원칙 중의 하나가 서비스의 목적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진행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리모델을 통한 성과분석에 도서관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데이터의 가치와 데이터분석 방법론의 유용성을 보이고자 한다.
  • 또한 논리모델의 각 요소별로 측정이 가능한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수집대상 데이터와 그 범위를 제시한다. 따라서 서비스의 기획단계에서 부터 어떠한 데이터가 수집되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평가의 어려움 중의 하나인 데이터 부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사서는 참여자들의 수준별로 권장도서 목록을 작성하고 독서활동 후 감상을 기록할 수 있는 독서기록장을 기안하여 배포하였다. 또한 독서대학 참여 학생들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서 독서대학 벳지를 제작․배포하였다. 독서대학에는 도서관 인근의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참여했다.
  • <그림 3>에서 제시된 성과 프레임워크 중 본 연구에서는 중기성과만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이 도서관 소장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성과의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도서관 이용과 관련된 중기성과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단기성과의 경우 이용자의 태도와 지식, 기술습득과 관련이 있고 이용자 인터뷰나 설문을 통해 획득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 앞서 제시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이차자료로 도서관 내부에서 획득이 가능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용자 중심의 성과측정을 위해서는 이용자와의 설문이나 면담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본 연구는 이에 선행하여 도서관 내부에서 획득가능한 데이터에 대해 먼저 분석을 진행하였다(Matthews 2007).
  • 또한 국내 연구 중에서 논리 모델을 적용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행정학 분야(서원석, 박홍엽 2006; 김학실 2014)나 사회복지 분야(김영종, 권순애 2003; 백학영 외 2011)에서 논리 모델을 통한 성과평가 연구논문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가 갖는 가치는 도서관 서비스의 성과를 규명하고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이용자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도서관의 성과평가 모델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 기존의 산출평가 방식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논리모델을 통해 측정된 성과가 도서관의 가치를 어떻게 보여주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도서관 성과측정을 위한 틀로써의 논리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측정가능한 도서관 서비스의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가치 알리기가 중요한 논의점이 되는 이유는? 2012년 ACRL에서 제시된 대학 및 연구소 도서관계의 10대 이슈 중의 하나는 ‘도서관 가치 알리기(Communicating values)’이다. 도서관이 서비스 대상 집단에 어떠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도서관 서비스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투입된 자원에 대한 성과를 보임으로써 예산확보와 함께 도서관 위상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논의점이 된다. 비단 대학 및 연구소 도서관뿐만 아니라 공공도서관에서도 성과에 대한 측정과 이를 의사결정기구나 이용자들과의 공유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알릴 필요가 있다.
최근에 수행된 운영평가의 한계는 무엇인가? 최근에 수행된 운영평가 항목들은 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측정되었고 도서관의 목적과 결부되는 평가항목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도서관의 업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평가하여 도서관별 업무충실도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도서관의 성과와 가치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조직의 목적달성 여부와 정도가 평가를 통해 측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도서관의 목적을 기반으로 도서관의 성과에 대한 사항이 지표로 개발되고 측정되어야 한다.
도서관 운영평가는 어떤 평가인가? 가치를 확인하는 이러한 과정은 평가의 일부분으로 적합한 평가의 접근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현재 공공도서관의 대표적인 평가 중의 하나인 도서관 운영평가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도서관의 전반적인 운영에 대한 사항을 평가한다. 최근에 수행된 운영평가 항목들은 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측정되었고 도서관의 목적과 결부되는 평가항목은 찾아보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곽영진. 2009. 문화서비스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Kwak, Y. 2009. A Study on Performance Management of Cultural Service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2. 김규환, 남영준. 2008. 공공도서관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13-138.(Kim, K. and Y. Nam.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113-138.) 

  3. 김선애. 2005.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21-239.(Kim, S. 2005. "Efficiency i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1): 221-239.) 

  4. 김영종, 권순애. 2003. 논리모델(Logic Model):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의 적용가능성. 사회과학연구, 19: 209-226.(Kim, Y. and S. Kwon. 2003. "Logic Model: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to the planning of the Social Welfare Program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19: 209-226.) 

  5. 김정택. 2009. BSC 기반 공공도서관 성과지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7-71.(Kim, J. 2009. "A Study on Developing BSC-based Public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 Mode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0(1): 47-71.) 

  6. 김학실. 2014. 논리모형(Logic Model)에 기반한 성주류화 정책 성과 연구: 성별 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행정, 24(2): 1-26.(Kim, H. 2014. "Evaluation of the Gender Mainstreaming Policy using Logic Model: Gender Impact Assessment." Comtemporary Society and Administration, 24(2): 1-26.) 

  7.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개정):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 Government R&D Performance Indicators: Guideline for setting Performance Indicators.) 

  8. 박성우, 장우권. 2011.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성과지표와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4): 279-307.(Park, S. and W. Jang. 2011. "A Study on the Cause and Effect of Assessment Index of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of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8(4): 279-307.) 

  9. 박영애, 이재윤. 2010. 지역단위 도서관 시스템에서의 이용중심적 장서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457-477.(Park, Y. and J. Lee. 2010. "A Study on User-oriented Evaluation of Book Collections under a Regional Librar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457-477.) 

  10. 백학영, 구인회, 김경휘, 조성은, 안서연. 2011.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논리모델을 적용한 자활사업 성과평가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2): 3-35.(Baek, H., I. Ku, K. Kim, S. Cho, and S. Ahn. 2011. "The Critical Review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Self-sufficiency Program: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ith Logic Mod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2): 3-35.) 

  11. 서원석, 박홍엽. 2006. BSC와 논리모델의 비교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5(2): 89-130.(Seo, W. and H. Park. 2006. "Comparative Study of BSC and Logic Model."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5(2): 89-130.) 

  12. 송영숙. 2013. 수봉도서관 '어린이독서대학'을 열기까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Song, Y. 2013. About Reading Academy for Children at Subong Library. The National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13. 오동근(역). 2010. 도서관 서비스의 평가와 측정. 대구: 태일사. 

  14. 유경종, 박일종. 2008. 이용조사를 통한 공공도서관의 수서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371-392.(Yoo, K. and I. Park. 2008. "An Acquisition Policy Study by the Use Survey of a Public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Records of the H-public Library Users in 200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371-392.) 

  15. 윤혜영. 2010.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추세변화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5-50.(Yoon, H. 2010. "Analysis of the Efficiency Trend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1(4): 35-50.) 

  16. 윤희윤. 2009. 국내 공공도서관 경영평가의 동향과 지향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29-51.(Yoon. H. 2009. "Trends and Directions of Management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29-51.) 

  17. 이미경, 문성빈. 2012. 공공도서관 성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1): 303-329.(Lee, M. and S. Moon. 2012.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9(1): 303-329.) 

  18. 정혜경, 정은주.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377-392.(Jung, H. and E. Jung. 2008.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of Culture Program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5(3): 377-392.) 

  19. 차미경, 표순희. 2008. 공공도서관 향유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29-354.(Cha, M. and S. Pho.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joyment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29-354.) 

  20. 표순희. 2012.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s)을 적용한 공공도서관 가치의 비교 연구: 지불수단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2): 173-191.(Pho, S. 2012. "The Comparative Study of Public Library Valuation Using CVM: Case of the Payment Veh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9(2): 173-191.) 

  21. 표순희, 고영만, 심원식. 2011. 공공도서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323-341.(Pho, S., Y. Ko, and W. Sim. 2011.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ublic Library's Use Valu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5(2): 323-341.) 

  22. 표순희, 정동열. 2008. 공공도서관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09-234.(Pho, S. and D. Jung. 2008. "A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Economic Use Value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209-234.) 

  23. 함요상. 2007.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전환의 논거: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공급방식간 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대전: 충남대학교.(Ham, Y. 2007. "Issues on Transformation of Supply Methods of Public Services." Procee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4. Aabo, Svanhild. 2005. "Valuing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17: 175-198. 

  25. ACRL. 1998. Task force on academic library outcomes assessment, Report. [cited 2015.6.17]. . 

  26. ACRL Research Planning and Review Committee. 2012. "2012 Top ten trends in academic librarie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73(6): 311-320. 

  27. Birnbaum, M., K. Okahara, and M. Warner. 2012. "Changes in Library Evaluation: Responding to External Pressures in the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Measuring Success Initiative for the Grants to States Program." In the Context for Assessment and Outcome Evaluation in Librarianship. Advances in Librarianship 35. 

  28. Cooper, I. D. 2011. "Is the informationist a new role? A logic model analysi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9(3): 189-192. 

  29. Flechtling, J. 2007. Logic Modeling: Methods in Program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30. Florida Department of State. 2000. Workbook: Outcome measurement of library programs. [cited 2015.6.17]. . 

  31. Hider, Philip.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dollar valuations of library services." Library Quarterly, 78(4): 437-458. 

  32. ISO/DIS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11620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Library Performance Indiciators. 2007. 

  33. Matthews, J. R. 2007. Th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Library Services. Santa Barbara, CA: Library Unlimited. 

  34. University of Wisconsin-Extension. 2003. "Enhancing Program Perfomance with Logic Models." [cited 2015.6.17]. . 

  35. Zweizig, D. L. 1976. "With Our Eye on the User: Neded Research for Information and Referalin the Public Library." Drexel Library Quarterly, 12: 48-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