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가뭄 저감대책을 위한 사회경제적 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생활용수 물부족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Socioeconomic drough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with a Focus of Residential Water Scarcity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9 no.3, 2015년, pp.381 - 393  

이상은 (국토연구원 국토관리도시연구본부) ,  윤선권 (APEC 기후센터 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order to propose a drough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is methodology is required to deal with practical questions that a variety of stakeholder often raise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on mitigation measures. With a focus on the socioeconomic aspect of drought, mo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NISDR (2011a; 2011c), IHP (2012), ICHARM (2013), Sawano & Lee (2014) 등의 정책 논의들을 볼 때, 이해 당사자들은 저감과정 중에 정말 재난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인가 (질문 ①), 어느 지역이 특별히 위험한가 (질문 ②), 그리고 무슨 대책이 주민들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인가 (질문 ③)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하고 자 한다.
  • 논의를 좁히기 위해 본 연구는 가뭄의 사회경제적 관점, 특히, 주민생활에 주는 피해에 대해 한정키로 하였다. 가뭄 위험도 또한 “장기간 강수량 저조로 인해, 생활용수 수급불균형이 초래할 수 있는 주민들의 잠재적인 고충”으로 좁은 정의를 사용하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분야 저감대책 논의과정에서 이해당사자들의 현실적인 의구심들을 해소하는 데에 필요한 가뭄 위험도 평가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뭄의 사회경제적 측면, 특히, 주민생활의 고충에 초점을 맞춰, 재해특성, 노출특성, 취약성, 그리고 위험도의 기본개념과 분석방법들을 제안하였으며, 가뭄으로 인한 피해규모를 판단하는 데에, 위험도가 집중된 지역을 설정하는 데에, 그리고 고위험지역의 기저요인에 대한 이해하는 데에 상당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문제는 아직 가뭄 위험도와 관련해 어떠한 취약성 요인들이 유의한 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요인들을 일일이 실증분석하기 보다는, 사례대상지의 과거 가뭄피해자료를 기초해 노출특성-주민고충피해액 관계를 정량화하였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학술적으로는 사회경제적 피해와 관련된 위험도를 공간분석할 수 있는 차별화된 방법론 체계를 제안코자 한다. 최근 UNESCO IHP에서는 2013-2021 8차전략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정책결정자가 물재해와 관련된 위험도 의사결정에 전문가들의 지원을 충분히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 이 같은 배경속에서, 본 연구는 이해당사자들이 갖게 되는 의구심을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다음의 세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위험도 평가 방법론을 제시코자 한다. 첫째 (질문 ①에 대해), 위험도 평가를 통해 가뭄으로 인한 피해규모를 판단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한다.
  • 전통적인 시설중심의 안전도 전략을 보완함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피해가 집중될 수 있는 생활 또는 경제활동 공간을 대상으로 저감대책’을 중시하고자 함이다.
  • 여기에는 취약도 평가 단계에서 얻은 노출특성–주민피해 관계식을 사용해, 특정 가뭄 조건에서 급수지역별로 분석된 노출특성을 주민고충 피해액으로 환산키로 하였다. 추가적으로 공간해상도 높은 위험도 지도를 월단위로 만들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한 급수지역 전체의 피해액은 1 km × 1 km 격자에서 발생하는 피해액들의 합이며, 각 격자의 피해액은 이곳 인구에 비례한다고 간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감대책에서 사용되는 위험도 정보는 어떤 사람들에게 필요성의 확신을 제공해야 하는가? 저감대책에서 사용되는 위험도 정보는 전문가들간의 학술적인 활용을 넘어, 정책결정자, 담당공무원, 개발은행, 심지어 주민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에게 저감대책의 필요성에 확신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UNISDR (2011a; 2011c), IHP (2012), ICHARM (2013), Sawano & Lee (2014) 등의 정책 논의들을 볼 때, 이해 당사자들은 저감과정 중에 정말 재난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인가 (질문 ①), 어느 지역이 특별히 위험한가 (질문 ②), 그리고 무슨 대책이 주민들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인가 (질문 ③)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하고 자 한다.
이해당사자들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세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위험도 평가 방법론은? 이 같은 배경속에서, 본 연구는 이해당사자들이 갖게 되는 의구심을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다음의 세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위험도 평가 방법론을 제시코자 한다. 첫째 (질문 ①에 대해), 위험도 평가를 통해 가뭄으로 인한 피해규모를 판단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한다. 즉, 위험도의 크기를 이상가뭄시 실제로 관찰 또는 계량가능한 피해로 표현한다. 둘째 (질문②에 대해), 특정 가뭄 조건하에서 넓은 지역에 걸쳐 위험도가 집중된 지역을 명확히 설정한다. 이에, 위험도 산정시 가뭄세기와 지속기간의 조건을 고정한 뒤 피해지역에 대한 공간분석을 수행키로 하였다. 셋째(질문 ③에 대해), 효과적인 저감대책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맞게 위험도가 발생되는 근본원인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위험도 평가 방법론을 통해 고위험지역에 사회경제적 피해 영향을 발생시키는 기저요인 (underlying risk factors)을 파악하는 점 또한 중시하였다.
저감대책이란? 전통적인 시설중심의 안전도 전략을 보완함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피해가 집중될 수 있는 생활 또는 경제활동 공간을 대상으로 저감대책’을 중시하고자 함이다. 여기서 저감대책이라고 함은 가뭄에 대한 고위험구역을 파악하고, 물부족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민과 경제활동이 피해를 덜 받을 수 있도록 이 공간이 가진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불리함을 평상시에 해소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저감대책을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UNDP,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 2012 Yearly Waterwork Statistics [in Korean] 

  2. BCPR (Bureau for Crisis Prevention (2004) Reducing Disaster Risk: a Challenger for Development, UNDP Global Report.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New York 

  3. Cha, D., Lee, S., Park, H. (2012) "Investigating the vulnerability of dry-season water supplies to climate change: using the Gwangdong Reservoir Drought Management Model",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26, No.14, pp.4183-4201 

  4. Dilley, M., Chen, R.S., Deichmann, U., Lerner-Lam, A.L., Arnold, M., Agwe, J., Buys, P., Kjekstad, O., Lyon, B., Yetman, G. (2005) Natural Disaster Hotspots: a Global Risk Analysis,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5. ICHARM (International Centre for Hazard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2013) Technical Assistance for Supporting Investments in Water-related Disaster Management, Main Volume, Asian Development Bank, Metro Manila 

  6. IHP (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gramme) (2012) Water Security: Responses to Local, Regional and Global Challenges: Strategic Plan, IHP-VIII (2014-2021), UNESCO, Geneva 

  7. Lee, S., Choi, D., Park, H. (2009) Adaptive management of water supply system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a Gwangdong dam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23, No.5, pp.583-598 [in Korean] 

  8. Lee, S., Okazumi, T., Kwak, Y. (2015a)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flood risk indicator at the post-2015 processes perspective: a preliminary study", Water Policy, Vol.17, No.2, pp.208-227 

  9. Lee S., Okazumi, T., Kwak, Y., Takeuchi, K. (2015b) "Vulnerability proxy selection and risk calculation formula for global flood risk assessment: a preliminary study", Water Policy, Vol.17, No.1, pp.8-25 

  10. Lee, S., Park, H. (2011) Understanding uncertainties in projecting water demand and effects of climate change for adaptive management of water supply risk of the water resources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25, No.3, pp.293-305 [in Korean] 

  11. Lee, S., Suhaimi, A.-T., Park, H. (2012) "Lessons from water scarcity of the 2008-2009 Gwangdong dam: needs to address drought management with the adaptiveness concept", Aquatic Sciences, Vol., pp.213-227 

  12.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MOCT) (1995) Report for Drought Survey [in Korean] 

  13.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MOCT) (2002) Report for Drought Survey [in Korean] 

  1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Master Plan [in Korean] 

  15. K-water, Internal Document in the Water Supply Business Division [in Korean] 

  16. K-water (2005) Re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Drought Management & Monitoring System [in Korean] 

  17. Okazumi, T., Lee, S., Kwak, Y., Gusyev, M., Kuribayashi, N., Yasuda., N., Sawano, H. (2014) "Global water-related disaster risk indicators assessing real phenomena of flood disasters: think locally, act globally", The Global Facility for Disaster Reduction and Recovery (ed.), Understanding Risk in an Evolving World - Emerging Best Practices in Natural Disaster Risk Assessment.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pp.107-111 

  18. Sawano H., Lee S. (2014) Report of SE3 (Water-Related Disaster Risk Information for Risk Reduction - Flood Forecasting, Disaster Information and Risk Assessment for Preventative Investment, The 6th Asian Ministerial Conference on Disaster Risk Reduction, 22-26 June, Bangkok 

  19. Taebaek City (2009) A White book for 2008-2009 Drought [in Korean] 

  20. UN-Water (2012) Managing Water under Uncertainty and Risk. UN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IV, Volume 1, UNESCO, World Water Development Programme, UN-Water, Geneva 

  21. 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1) Mainstreaming Drought Risk Management, New York 

  22. UNISDR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1a) Disaster through a Different Lens: behind Every Effect, There Is a Cause, United Nations, Geneva 

  23. UNISDR (2011b) Global Assessment Report on Disaster Risk Reduction 2011: Revealing Risk, Redefining Development, United Nations, Geneva 

  24. UNISDR (2011c) HFA Progress in Asia-Pacific: Regional Synthesis Report 2009-2011, UNISDR, Geneva 

  25.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in Korean] 

  26.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User Guide, WMO-No.1090, Geneva 

  27. WMO, UNCCD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2012) High Level Meeting on National Drought Policy, Policy Document: National Drought Management Policy, Geneva 

  28. Yoon, S., Jo, J., Moon, Y. (2014)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RCPs scenario data : a case study of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Korea",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34, No.4, pp.1125-113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