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risk assessment is usually perform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epending on the definition a drought.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have a limit of not being able to consider the hydrological components such as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runoff, because it does not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상학적 가뭄의 경우 지속적인 강수의 부족상태를 나타내는 무강우일수, 과우일수를 활용하여 가뭄의 시점과 종점을 판단한다면, 농업용저수지의 경우 강수의 지속적인 부족 상황이 발생하여도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부터 관개지역의 수요량을 공급할 수 있다면 가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적 가뭄 측면에서 이러한 농업용 저수지의 기능을 고려하여 농업가뭄을 표현할 수 있는 저수지 가뭄지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수자원의 주요한 용수공급시설인 농업용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과 관개지역의 필요수량을 평가하여 가뭄 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저수지 가뭄지수를 사용하여, 과거 및 2012년 여름에 발생한 농업가뭄을 분석하였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논 물수지 모형과 저수지 용수수급 분석 모형에서 산정한 순별 최소 가용저수량 시계열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가뭄발생의 위험을 재현기간과 크기로 추정하고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함으로써 기존의 저수지 수위가 아닌 이수 관점에서 합리적 용수공급계획의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도구로써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수자원의 주요한 용수공급시설인 농업용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과 관개지역의 필요수량을 평가하여 시기별로 부족수량을 산정하고 가뭄강도를 정량화함으로써 농업가뭄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저수지 가뭄지수(Reservoir Drought Index, RDI)를 사용하여, 과거 및 2012년 여름에 발생한 농업가뭄을 분석하고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이란? 가뭄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의 한 특성으로 특정기간 동안의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기상, 수문, 농업, 사회학적 물 부족 현상을 의미하며, 물의 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한다(Ahn et al., 2009).
가뭄 분석에 중요한 것은? , 2009). 가뭄 분석은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공간적인 가뭄의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효과적인 가뭄의 예측 및 대책을 위해서는 가뭄의 진행상황이나 강도를 정의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을 이용해야 한다(Nam et al., 2008a).
가뭄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한 기법들의 예는? 국내의 가뭄지수와 관련된 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가뭄지수의 적용성 판단에 집중되었으며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가뭄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한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기상자료와 강수량을 사용하여 가뭄을 평가하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Standard Precipitation Index), 강수량 및 유효토양수분량에 근거하여 가뭄을 판단하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지표의 물 공급체계를 고려하여 유역단위의 가뭄을 평가하는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를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S. R., J. Y. Park, I. K. Jung, S. J. Na, and S. J. Kim, 2009.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SWSI in Geum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5): 35-49 (in Korean). 

  2. Jang, M. W., H. W. Chung, and K. W. Park, 2003. Development of an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administrative decision sup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9(2): 29-37 (in Korean). 

  3. Jang, M. W., H. W. Chung, J. Y. Choi, K. W. Park, and B. S. Jong, 2004. Development of a single reservoir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pad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6(3): 17-30. 

  4. Kim, O. K., J. Y. Choi, M. W. Jang, S. H. Yoo, W. H. Nam, J. H. Lee, and J. K. Noh, 2006. Watershed scale drought assessment using soil, oisture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6): 3-13 (in Korean). 

  5. Kim, S. J., K. Y. Lee, and S. J. Kang, 1998. Statistical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 water suppl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0(4): 58-66 (in Korean). 

  6. Lee, D. R., J. W. Moon, D. H. Lee, and J. H. Ahn, 2006.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3): 199-214 (in Korean). 

  7. Lee, J. H., J. W. Seo, and C. J. Kim, 2012. Analysis on trends, periodicities and frequencies of Korean drought using drought indi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 75-89 (in Korean). 

  8. Nam, W. H., 2013. Sustainability and operations evalu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probability theory. Ph.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9. Nam, W. H., S. H. Yoo, M. W. Jang, and J. Y. Choi, 2008a. Applic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for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0(3): 3-15 (in Korean). 

  10. Nam, W. H., S. H. Yoo, J. Y. Choi, and M. W. Jang, 2008b. Analysis of autumn drought using soil moisture index. Korea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15(1): 21-33 (in Korean). 

  11. Nam, W. H., J. Y. Choi, S. H. Yoo, and B. A. Engel, 2012a. A real-time online drought broadcast system for monitoring soil moisture index.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6(3): 357-365. 

  12. Nam, W. H., J. Y. Choi, S. H. Yoo, and M. W. Jang, 2012b.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icultural drought management using risk assessment. Paddy Water Environ. 10(3): 197-207. 

  13. Park, K. W., J. T. Kim, U. J. Ju, and Y. J. Lee, 2006. Application of drought indices for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Korea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13(1): 72-81 (in Korean). 

  14. Park. M. J., H. J. Shin, Y. D. Choi, J. Y. Park and S. J. Kim, 2011.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 165-170 (in Korean). 

  15. Rosenberg, N. J., 1979. Drought in the great plains - research on impacts and strategie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Research in Great Plains Drought Management Strategie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