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로 교정 시 20대 성인의 조절기능 비교
Comparison of Accommodative Function of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Wearing Monovision, Modified Monovision and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2, 2015년, pp.117 - 124  

이아영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미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군자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목적: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및 비구면 멀티포컬 소프트콘택트렌즈로 교정 시 20대 성인에서 근거리 작업 후 조절기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방법: 30명의 젊은 성인($23.53{\pm}2.37$세)을 대상으로 모노비전,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낮은 가입도의 중심부-근용 비구면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활용한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교정방법을 사용하여 양안에 착용시키고, 일주일의 적응기간이 경과한 후 조절기능을 검사하였다. 조절기능 평가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1시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여 조절 부담을 유도한 후 원/근거리의 100%와 10% 대비시력, 조절반응, 근거리 조절용이성, 양성/음성상대조절력 등을 평가하였다. 모든 검사는 양안으로 실행하였다. 결과: 원거리 10% 대비시력은 모노비전에서 가장 낮았다(p<0.005). 조절반응량은 검사거리 1 m(1.00 D)에서 모노비전이 변형된 모노비전보다 작았고, 검사거리 40 cm(2.50 D)에서는 모노비전이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보다 작았다(p<0.05). 근거리 조절용이성, 양성/음성상대조절력은 콘택트렌즈 교정법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20대 성인에서 낮은 가입도의 모노비전 처방은 단초점렌즈보다 근거리 조절반응을 줄여주지만 중심부-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변형된 모노비전'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은 조절이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ommodative function of young adult in their 20s wearing monovision, modified monovision, and aspheric multifocal contact lenses at near task. Methods: Thirty young adults ($23.53{\pm}2.37years$) were fitted with monovision, modif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절 부담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진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모노비전,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이 근거리 작업을 많이 하는 20대 성인의 조절반응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양안시 이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상대조절력 검사는 다른 검사항목들에 비해 비중이 적지만,[29]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에게 가입도 처방을 했을 때, 조절반 응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대조절력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성/양성 상대조절력은 모든 콘택트렌즈 처방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p=0.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유도된 굴절이상도와 실제 측정된 굴절이상도의 차이를 조절 반응값에[25] 적용하였으며, 정적상태에서 측정한 조절반응검사 결과는 대상자 눈의 상태와 착용한 콘택트렌즈에 의한 결과로 조절 반응값이 증가한다면 이것은 눈의 조절반응이 반영된 결과로 가정하였다. 검사거리 4 m에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어떤 원리로 양안시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켜 주는 처방법인가? 모노비전은 한쪽 눈은 원거리 시력이 잘 보이고, 다른쪽 눈은 근거리 시력이 잘 보이도록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노안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70% 이상의 성공률 을 보이나 양안시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처방법이다. [1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근거리, 중간거리 및 원거리 도수가 포함된 광학부가 모두 동공에 위치하도록 디자 인된 동시보기 콘택트렌즈로 근거리 물체를 주시할 때 폭주와 같은 안구운동 뿐 만 아니라 축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13] 원거리 물체를 볼 때는 원용부로 빛이 더 많이 입 사하고, 근거리 물체를 볼 때에는 근용부로 더 많은 빛이 입사하도록하여 주시거리에 따라 망막에 맺히는 선명한 상과 흐린상의 빛의 비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뇌에서 흐린 상을 쉽게 억제할 수 있는 원리로 양안시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켜 주는 처방법이다. [14] 변형된 모노비전은 시각적 요구에 맞게 작업거리에 따라 시력개선이 더 필요한 눈의 시력을 최대화하려는 목적으로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처방하고, 다른 쪽 눈에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처방하는 방법이다.
모노비전은 무엇인가? 모노비전은 한쪽 눈은 원거리 시력이 잘 보이고, 다른쪽 눈은 근거리 시력이 잘 보이도록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노안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70% 이상의 성공률 을 보이나 양안시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처방법이다. [1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근거리, 중간거리 및 원거리 도수가 포함된 광학부가 모두 동공에 위치하도록 디자 인된 동시보기 콘택트렌즈로 근거리 물체를 주시할 때 폭주와 같은 안구운동 뿐 만 아니라 축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13] 원거리 물체를 볼 때는 원용부로 빛이 더 많이 입 사하고, 근거리 물체를 볼 때에는 근용부로 더 많은 빛이 입사하도록하여 주시거리에 따라 망막에 맺히는 선명한 상과 흐린상의 빛의 비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뇌에서 흐린 상을 쉽게 억제할 수 있는 원리로 양안시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근거리 시력을 향상시켜 주는 처방법이다.
근거리 시생활의 범주와 사용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5%대의 증가를 예상하는 반면, PC는 20%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1,2] 이에 따라 시력과 양안시 기능 그리고 신체 기능에 결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의 독서나 컴퓨터 작업 등의 근거리 시각 활동이 지속되다 보면 안통, 눈의 건조, 시력 흐림 등의 자각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3] 따라서 이러한 증상들은 안정피로(asthenopia) 또는 시각적 피로(visual fatigue) 등으로 정의되며, [4,5] 지속적인 근거리 작업 은 안정피로의 원인이 되고, 안정피로는 조절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igieco Report. Tap On The Door of Mobile First World: Nielsen Koreanclick Mobile Behavioral Data, 2015. https://www.kdi.re.kr/infor/kresearch_view.jsp?ac127673 (14 January 2015). 

  2. The Wall Street Journal. Korea's smartphone population tops milestone, 2014. http://blogs.wsj.com/korearealtime/2014/07/28/koreas-smartphone-population-tops-milestone (28, July. 2014). 

  3. Conlon EG, Lovegrove WJ, Chekaluk E, Pattison PE. Measuring visual discomfort. Vis Cogn. 1999;6(6):637-663. 

  4. Tyrrell RA, Leibowitz HW. The relationship of vergence effort to reports of visual fatigue following prolonged near work. Hum Factors. 1990;32(3):341-357. 

  5. Sheedy JE, Hayes JN, Engle J. Is all asthenopia the same? Optom Vis Sci. 2003;80(11):732-739. 

  6. Park KY, Bak KJ, Lee JG, Lee YS, Roh JH. Factors affecting the complaints of subjective symptoms in VDT operators. J Korea Occup Med. 1997;9(1):156-169. 

  7. Koh KH. Clinical performance analysis of lenses for accommodative function improvement. MA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08. 

  8. Gwiazda JE, Hyman L, Norton TT, Hussein M, Marsh-Tootle W, Marny R et al. Accommod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yopia progression and their interaction with treatment in COMET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4;45(7):2143-2151. 

  9. Aller TA, Wildsoet CF. Bifocal soft contact lenses as a possible myopia control treatment: a case report involving identical twins. Clin Exp Optom. 2008;91(4):394-349. 

  10. Rosen R, Jaeken B, Lindskoog PA, Artal P, Unsbo P, Lundstrm L. Evaluating the peripheral optical effect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Ophthalmic Physiol Opt. 2012;32(6):527-534. 

  11. Hasebe S, Nakatsuka C, Hamasaki I, Ohtsuki H. Downward deviation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in a myopia control trial. Ophthalmic Physiol Opt. 2005;25(4):310-314. 

  12. Westin E, Wick B, Harrist RB. Factors influencing success of monovision contact lens fitting: survey of contact lens diplomates. Optometry. 2000;71(12):757-763. 

  13. Loewenfeld IE. The Pupil: Anatomy, Phys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Vol 1. Woburn: Butterworth-Heinemann, 1993:295-317. 

  14. Bennett ES, Weissman BA. Clinical contact lens practice, 1st Ed. Philadelphia: Lip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4;544-547. 

  15. Anderson H, Hentz G, Glasser A, Stuebing K, Manny R. Minus-lens-stimulated accommodative amplitude decreases sigmoidally with age: A study of objectively measured accommodative amplitudes from age 3.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8;49(7)2919-2926. 

  16. Rosenfield M, Carrel MF. Effect of near-vision addition lenses on the accuracy of the accommodative response. Optometry. 2001;72(1):19-24. 

  17. Tarrant J, Severson H, Wildsoet CF. Accommodation in emmetropic and myopic young adults wearing bifocal soft contact lenses. Ophthalmic Physiol Opt. 2008;28(1):62-72. 

  18. Montes Mico R, Madrid Costa D, Radhakrishnan H, Charman WN, Ferrer BT. Accommodative functions with multifocal contact lenses: A pilot study. Optom Vis Sci. 2011;88(8):998-1004. 

  19. Alpern M, Larson BF. Vergence and accommodation, IV. Effect of luminance quantity on the AC/A. Am J Opthalmol. 1960;49(5):1140-1149. 

  20. Mah KC. Binocular test, 2nd Ed. Daihaksurim. 2007;77-79. 

  21. Ko BU, Ryu WY, Park WC. Pupil size in the normal Korean population according to age and illuminance.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4):401-406. 

  22. Schor C, Landsman L, Erickson P. Ocular dominance and the interocular suppression of blur in monovision. Am J Optom Physiol Opt. 1987;64(10):723-730. 

  23. Gupta N, Naroo SA, Wolffsohn JS. Visual comparison of multifocal contact lens to monovision. Optom Vis Sci. 2009;86(2):98-105. 

  24. Rajagopalan AS, Bennett ES, Lakshminarayanan V. Visual performance of subjects wearing presbyopic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2006;83(8):611-615. 

  25. Han GA, Hwang JH, Mah KC. Objective measurement of accommodative responses with open-field autorefractor. Korean J Vis Sci. 2009;11(1):35-44. 

  26. Pettersson AL, Ramsay MW, Lundstrom L, Rosen R, Nilsson M, Unsbo P et al. Accommodation in young adults wearing aspherical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J Modern Optics. 2011;58(19-20):1804-1808. 

  27. Madrid-Costa D, Ruiz-Alcocer J, Radhakrishnan H, Ferrer-Blasco T, Montes-Mico R. Changes in accommodative response with multifocal contact lenses: a pilot study. Optom Vis Sci. 2011;88(11):1309-1316. 

  28. Zellers J, Alpert T, Rouse M.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normative study of accommodative facility. J Am Optom Assoc. 1984;55(1):31-37. 

  29. Gracia A, Cacho P, Lara F. Evaluating relative accommodations in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s. Optom Vis Sci. 2002;79(12):779-787. 

  30. Plainis S, Atchison DA, Charman WN. Power profiles of multifocal contact lenes and their interpretation. Optom Vis Sci. 2013;90(10):1066-1077. 

  31. Montes-Mic R, Ali, JL. Distance and near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after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03;29(4):703-7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