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산 도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79과 238속 352종 4아종 43변종 7품종 40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산식물은 키버들, 진범, 홀아비바람꽃 등 8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 두메개고 사리 등 4분류군, LC등급 세잎종덩굴, 너도바람꽃, 등칡 등 12분류군까지 총 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7분류군으로 V등급 좀미역고사리, 눈측백, 승마 3분류군, IV등급 골개고사리, 들바람꽃, 회리바람꽃 등 14분류군, III등급 분비나무, 주목, 거제수나무 등 31분류군, II등급 다람쥐꼬리, 좀나도히초미, 가래고사리 등 32분류군,I등급 관중, 낚시고사리, 잣나무 등 27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소리쟁이, 유럽점나도나물 등 1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5%, 귀화율은 3.9%로 각각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in Mt. Taebaeksa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The flora of Mt. Taebaeksan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406 taxa comprising of 79 families, 238 genus, 352 species, 4 subspecies, 43 varieties and 7 forma. Amo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태백산 지역은 아고산 산지이며, 여러 중요한 산림자원 및 역사, 지리, 문화적 중요자원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및 식물상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태백산 도립공원 지역의 주요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 하여 향후 태백산 도립공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태백산 일대의 식물자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1. Cho, H.S., G.T. Kim and G.C. Choo(200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 19(1): 55-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H.S. and S.H. Choi(200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 15(4): 369-3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ang, C.S., S.G. Yang, M.S. Park, K.H. Kim, S.W. Seo and B.U. Oh(2011) Floristic study of So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4): 398-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 J. Kor.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5. Kim, G.T.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ea in Taebaeksan. Kor. J. Env. Eco. 12(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H.J. and C.W. Yun(2009) Vascular Plants of Mt. Munsu and Mt. Okseok. Korean J. Environ. Biol. 27 (2) : 164-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J.(2010) Flora of Mt. Chiak-san. A Master's thesis. Univ. of Hannam, Daejeon, Korea. 1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S.Y.(2012) Syntaxonomy of Subalpine Vegetation in Korea. Ph. D. thesis, Univ. of Keimyung, Daegu, Korea, 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Y.H.(1993)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of Taxus cuspidata S. et. Z. in Mt. Taebaik. A Master's thesis. Univ. of Kyung Hee, Seoul, Korea. 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Y.S., D.O. Lim, H.K. Oh and H.T. Shin(2002)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 15(4):293-3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 National Arboretum(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600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32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4.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Hyangmunsa, Seoul, pp 914, 910 (in Korean). 

  15.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I. Gyohaksa, Seoul, pp. 975, 885 (in Korean). 

  17.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18.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559 (in Korean). 

  19.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2013)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Provincial Parks in Gangwon Province. pp. 22 (in Korean). 

  20. 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pp 399 (in Korean). 

  21.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205 (in Korean). 

  22. Oh, S.H., H.J. Kim, J.M. Kim, Y.H. Kwon, B.C. Lee, H.J. Kim, D.K. Jo and J.H. Kim(2008) The Flora and Stand Structure of Mt. Taebaek, Protected Area for Foresr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Gangwon-do, Korea. Korean J. Pl. Taxon. C-P-17. pp.59 (in Korean). 

  23. Oh, Y.C.(2006).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g Shin Womens Universit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04.(in Korean) 

  24. Yim, Y.J. and E.S. J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 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