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글판 뇌진탕후증후군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3 no.1, 2015년, pp.26 - 35  

윤미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한창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전상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한창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Lees-Haley가 1992년 개발한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의 한글판(K-PCSQ)을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9년 4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외래에 내원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 중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10(ICD-10)의 뇌진탕후증후군, 기질성 정신질환(기질성 기분장애, 기질성 불안장애, 기질성 인격장애, 기질성 감정이변성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평가 척도인 K-PCSQ,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PCS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K-PCSQ의 Cronbach's alpha 값은 0.956,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36이었으며 STAI-I. II, CES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K-PCSQ는 4개의 요인구조를 보였으며, 제 1 요인은 '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제 2 요인은 '신체 증상' 요인, 제 3 요인은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제 4 요인은 '과장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으로 나타났다. 뇌진탕후 증후군 환자와 기질성 정신질환 환자 두 군에서 K-PCSQ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요인의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장 또는 부주의한 응답' 항목에 답변한 대상자들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K-PCSQ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요인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본 연구는 K-PCSQ가 두부외상으로 인한 정신의학적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임상적인 유용성의 평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KPCSQ)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in 1992 by Lees-Haley. Methods: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ere recruited from April 2009 to December 20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처음 개발된 척도는 37개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검사자의 신뢰성, 불량한 동기, 과장 경향 등을 밝혀내기 위하여 부가적인 항목들이 추가되어 총 4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27) 본 저자들은 두부 외상 후 나타나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척도의 필요성을 느껴, PCSQ를 기초로 Korean version of PCSQ(K-PCSQ)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가장성 경향을 평가하는 항목의 추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물체가 세 개로 보임’ 항목을 추가하여 총 45항목으로 K-PCSQ를 구성하였다.
  • 외상성 뇌 손상을 경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1년 간 추적 관찰을 한 연구에서 가장 많은 진단은 우울증이었고 다음으로 많은 진단은 불안장애였다.8)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존 타당도 분석을 위해 불안과 우울의 측정에 효과적인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I, II), CESD를 함께 평가하였다. 공존 타당도 검증 결과를 살펴볼 때 K-PCSQ의 총점과 ‘기분 및 인지 증상’, ‘신체 증상’ 하위 척도의 점수는 STAI-I, II, CESD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SQ란 무엇인가?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는 뇌진탕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가보고형 척도이며,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증상,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 기억력 등의 인지 증상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음 개발된 척도는 37개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검사자의 신뢰성, 불량한 동기, 과장 경향 등을 밝혀내기 위하여 부가적인 항목들이 추가되어 총 4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ICD-10에 포함된 외상성 뇌 손상과 관련된 질환의 종류는 무엇인가? 뇌진탕후증후군을 비롯하여 기질성 환각증, 기질성 긴장성장애, 기질성 망상성장애, 기질성 기분장애, 기질성 불안장애, 기질성 해리장애, 기질성 감정이변성장애, 기질성 인격장애, 경도인지장애, 뇌진탕후증후군 등이 외상성 뇌 손상과 관련된 질환으로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Revision, ICD-10)에 포함되어 있다.9) 뇌진탕후증후군은 뇌 외상 후에 발생하며 두통, 현기증, 피로, 자극과민성, 집중곤란, 정신적 업무 수행의 곤란, 기억장애, 불면증, 스트레스, 정동적 흥분, 우울감, 불안을 동반하게 된다.
5년 이상 외상성 뇌 손상이 회복되지 않은 환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4-6) 외상성 뇌 손상을 경험한 환자들을 1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 환자들은 흔히 뇌 외상으로 인한 우울장애, 불안장애, 인격변화를 진단 받았으며 그 이외에도 뇌진탕후증후군, 뇌 외상으로 인한 신경인지장애, 물질 사용장애 등을 진단 받았다.7) 5년 이상 장기간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도 회복되지 않은 환자들은 우울감, 불안감, 알코올 문제를 흔하게 보였고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기능 저하에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ullinger M, Azouvi P, Brooks N, Basso A, Christensen AL, Gobiet W, Greenwood R, Hutter B, Jennett B, Maas A, Truelle JL, von Wild KR.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basic issues,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Restor Neurol Neurosci 2002;20:111-124. 

  2. Hoofien D, Gilboa A, Vakil E, Donovick PJ. Traumatic brain injury(TBI) 10-20 years later: a comprehensive outcome study of psychiatric symptomatology, cognitive abilities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Brain Inj 2001;15:189-209. 

  3. Fann JR, Katon WJ, Uomoto JM, Esselman PC. Psychiatric disorders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out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ies. Am J Psychiatry 1995;152:1493-1499. 

  4. Fleminger S. Long-term psychiatric disorder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Eur J Anaesthesiol Suppl 2008;42:123-130. 

  5. Ponsford J, Draper K, Schonberger M. Functional outcome 10 year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ts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 injury severity, and cognitive and emotional status. J Int Neuropsychol Soc 2008;14:233-242. 

  6. Draper K, Ponsford J, Schonberger M. Psychosocial and emotional outcomes 10 year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 Head Trauma Rehabil 2007;22:278-287. 

  7. Kreutzer JS, Seel RT, Gourley E. The prevalence and symptom rates of depress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comprehensive examination. Brain Inj 2001;15:563-576. 

  8. Deb S, Lyons I, Koutzoukis C, Ali I, McCarthy G. Rate of psychiatric illness 1 year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m J Psychiatry 1999;156:374-378. 

  9.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World Health Organization;1992. p.362. 

  10. Hall RC, Chapman MJ. Definition, diagnosis, and forensic implications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Psychosomatics 2005; 46:195-202. 

  11. Jang KJ, Yi HJ, Jwa CS, Kim KH, Chun HJ. Factors Associated with Post-Concussion Syndrome after Mild Head Injury. J Kor Neurotraumatol Soc 2008;4:31-36. 

  12. Dikmen SS, Bombardier CH, Machamer JE, Fann JR, Temkin NR. Natural history of depress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457-1464. 

  13. Gouvier WD, Cubic B, Jones G, Brantley P, Cutlip Q. Postconcussion symptoms and daily stress in normal and head-injured college populations. Arch Clin Neuropsychol 1992;7: 193-211. 

  14. Rees PM. Contemporary issues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885-1894. 

  15. Boake C, McCauley SR, Levin HS, Pedroza C, Contant CF, Song JX, Brown SA, Goodman H, Brundage SI, Diaz-Marchan PJ. Diagnostic criteria for postconcussional syndrome after mild to moderate traumatic brain injury.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5;17:350-356. 

  16. Meares S, Shores EA, Taylor AJ, Batchelor J, Bryant RA, Baguley IJ, Chapman J, Gurka J, Dawson K, Capon L, Marosszeky JE. Mild traumatic brain injury does not predict acute postconcussion syndr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8; 79:300-306. 

  17. Dunn JT, Lees-Haley PR, Brown RS, Williams CW, English LT. Neurotoxic complaint base rates of personal injury claimants: implications for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J Clin Psychol 1995;51:577-584. 

  18. Tsanadis J, Montoya E, Hanks RA, Millis SR, Fichtenberg NL, Axelrod BN. Brain injury severity, litigation status, and self-report of postconcussive symptoms. Clin Neuropsychol 2008;22:1080-1092. 

  19. Park KC, Kim HJ. Psychosocial Outcome after Head Injury. Neurosug Soc 2000;29:196-202. 

  20. Iverson GL. Misdiagnosis of the persistent postconcussion syndrom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rch Clin Neuropsychol 2006;21:303-310. 

  21. Eyres S, Carey A, Gilworth G, Neumann V, Tennant A.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ivermead Post-Concussion Symptoms Questionnaire. Clin Rehabil 2005;19:878-887. 

  22. King NS, Crawford S, Wenden FJ, Moss NE, Wade DT. The Rivermead Post Concussion Symptoms Questionnaire: a measure of symptoms commonly experienced after head injury and its reliability. J Neurol 1995;242:587-592. 

  23. Herrmann N, Rapoport MJ, Rajaram RD, Chan F, Kiss A, Ma AK, Feinstein A, McCullagh S, Lanctot KL. Factor analysis of the Rivermead Post-Concussion Symptoms Questionnaire in mild-to-moderate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9;21:181-188. 

  24. Crawford S, Wenden FJ, Wade DT. The Rivermead head injury follow up questionnaire: a study of a new rating scale and other measures to evaluate outcome after head injur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6;60:510-514. 

  25. Elgmark Andersson E, Emanuelson I, Olsson M, Stalhammar D, Starmark JE. The new Swedish Post-Concussion Symptoms questionnaire: a measure of symptoms after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nd its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J Rehabil Med 2006;38:26-31. 

  26. Axelrod BN, Fox DD, Lees-Haley PR, Earnest K, Dolezal-Wood S, Goldman RS. Latent structure of the Postconcussion Syndrome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1996;8:422. 

  27. Axelrod BN, Fox DD, Lees-Haley PR, Earnest K, Dolezal- Wood S. Application of the Postconcussive Syndrome Questionnaire with medical and psychiatric outpatients. Arch Clin Neuropsychol 1998;13:543-548. 

  28.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03-310. 

  29. Marteau TM, Bekker H. The development of a six-item shortform of the state scale of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Br J Clin Psychol 1992;31( Pt 3):301-306. 

  30. Bieling PJ, Antony MM, Swinson RP.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version: structure and content re-examined. Behav Res Ther 1998;36:777-788. 

  31. Chon KKC,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59-76. 

  32. Lim HE, Lee MS, Ko YH, Park YM, Joe SH, Kim YK, Han C, Lee HY, Pedersen SS, Denollet J.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 Korean Med Sci;26:116-123. 

  33.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85-401. 

  34. Go HJ, Kim DJ, Lee HP. A validation study of the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SPS-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680-690. 

  35. Austin MP, Mitchell P, Goodwin GM. Cognitive deficits in depression: possible implications for functional neuropathology. Br J Psychiatry 2001;178:200-206. 

  36. Marazziti D, Consoli G, Picchetti M, Carlini M, Faravelli L. Cognitive impairment in major depression. Eur J Pharmacol 2010;626:83-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