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세대의 성별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Baby Boom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314 - 324  

박민정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정미영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the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baby boomers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2. Methods: The Korea Health Panel Data 2012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ugust 2012 by Korea Institute for H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더욱이 특정 도구들을 이용하여 임의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이므로 대표성이 미약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대표성 있는 표본으로 조사된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의 성별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스트레스를 건전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운동이나 여가활동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한편 본 연구에서 베이비붐세대의 성별에 따라 달리 나타난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은 남성의 경우 흡연유무였고 여성의 경우에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 기본적 욕구 미충족, 정신과적 약물복용 유무였다. 베이비붐세대 남성 중 비흡연자가 흡연자에 비해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고 금연, 금주 등 건강행위가 삶의 질과 양적 상관성을 보고한 연구[9,21]를 볼 때 직장이나 가족 문제 등으로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흡연을 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스트레스를 건전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운동이나 여가활동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생각된다.
베이비붐세대란 무엇인가? 베이비붐세대는 한국 전쟁과 불경기가 끝난 후 경제적, 사회적으로 풍요롭고 안정된 상황에서 출산율이 급증한 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의 집단으로 1955년에서 1969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이다[1]. 현재 베이비붐세대는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4.
베이비붐세대의 질환 특성은 무엇인가? 베이비붐세대는 중년기에 들면서부터 신체적 쇠퇴를 자각하게 되고 심혈관, 호흡기, 소화기 질환 및 만성질환의 발병률도 높다. 남성의 경우 신체적 변화에 따른 감정적 반응으로 두려움을 느끼고[10] 변화된 가정 내 적응과 관련된 스트레스, 퇴직으로 인한 직업전환과 가정경제에 대한 부담, 자신이 살아 온 삶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회의, 정체성의 혼동으로 주위와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ha IJ, Lim CY, Park SH. Preparing for the retiring babyboomer generation in Korea: from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8;42:151-74. 

  2. Korean Statistics. The baby boom generation through social survey features: Korean Statistics; 2010 [cited 2010 April 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70430 

  3. Chung SD, Lee HH. Life satisfaction for baby-boomers: compare 1998 with 2008.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2;55:105-32. 

  4. Kwon KJ.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baby boome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2):1009-22. 

  5. Lee JU.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S. Korea: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3):709-26. 

  6. Rhu SA, Kim KM, Choi IC. The longitudinal effect of leisure on happiness and health in mid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011;17(4):415-34. 

  7. Zaninotto P, Falaschetti E, Sacker A. Age trajectories of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ing. Quality of Life Research. 2009;18(10): 1301-9. http://dx.doi.org/10.1007/s11136-009-9543-6 

  8. Kang SR, Moon SH. Assessing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 of elderly population on quality of life: evidence from KLoSA.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2010;8:225-55. 

  9. Kim HS, Yu KZ.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male baby boom generation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4):461-70. 

  10. Kim HK. Comparison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and depression betwee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6;18(3):446-56. 

  11. Baek SS, Yeoum SK, Cho J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symptom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5):2739-55. 

  12. Kim SE. Theoretical review on the factors of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the management.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2009;18:153-80. 

  13. Kim AK. Yangsae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0;16(3):297-306. 

  14. Lee JH.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baby boomers' employment. Weekly Economic Review. 2013;13-20. 

  15. Park CJ.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in Ko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4;63:309-35. 

  16. Park JG, Noh YH.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housing policy with baby boomers' dwelling preferenc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2012;35:187-214. 

  17. Youn GY, Lee YS. A study on preference for elderly residential space considering social health of retiring baby boomer generation. Design Convergence Study. 2013;12(6):67-81. 

  18. Kim MR.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of women's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 -babyboom, X and pre 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1:7-34. 

  19. Rabin R, de Charro F. EQ-5D: a measure of health status from the EuroQol group. Annals of Medicine, 2001;33:337-43. 

  20. Kang EJ, Shin HS, Park HJ, Jo MW, Kim NY. A valuation of health status using EQ-5D.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06;12(2):19-43. 

  21. Kim KH, Kim YM, Jeong TY.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 health status and healthcare utiliza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baby boom generation.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2013;7(1):1-12. 

  22. Lee DH.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1(30):93-108. 

  23. Park SB, Jeong KH. The Determinan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its effects on medical utilization in Korea. Korean Insurance Academic Society. 2011;88:23-49. 

  24. Lee KJ, Lee HJ.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life in three elderly cohor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8;41:159-82. 

  25. Kim DB, Park EY.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females' productive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7;38:339-58. 

  26. Ahn HS, Kim HM, Ahn JK, Kim YH.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aging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09;13(3):137-55. 

  27. Kim JH, Kang WM.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poor baby boomers and non-poor baby boom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4;19(3);423-43. 

  28. Park, JH.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aged males: a moder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2;33:1-20. 

  29. Kim MH, Chung SD, Park HJ.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of Korea, US and UK.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2):987-1005. 

  30. Mayer MH, Parker WM. Gender, aging and social policy. 7th Ed. San Diego: In Robert H. Binstock and Linda K. Geroge (Eds); 2011. p. 32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