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환자의 입실 시 욕창 유병률과 위험요인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347 - 357  

곽혜란 (동아대학교의료원 심장중환자실)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revalence rate of, and the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in critical patients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 Methods: We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2,107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 결과 중환자실 환자의 입실 중의 욕창 위험요인이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보고되었으나, 중환자실 이전 단계에서의 위험요인들인 입원 전 환자 상태 및 치료, 입원경로 등이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입실 이전 단계에서의 욕창 예방과 효율적인 욕창관리를 위하여 입실 당시 환자의 욕창 유병률과 욕창 보유의 위험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이란 무엇인가? 욕창은 한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그 부위에 순환장애가 일어나 조직이 손상되는 상태로, 뼈 돌출 부위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피부 또는 조직손상을 의미한다[17]. 본 연구에서는 유럽과 미국의 욕창자문단(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의 욕창단계 분류[17]에 따른 1단계 이상의 피부상태를 모두 포함하며, 입실 시 담당 간호사가 판단하여 욕창 사정에 ‘유’라고 기록된 경우를 욕창으로 간주하였다.
욕창 보유에 영향을 주는 의료기관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욕창의 특성 기록에는 입실시 욕창의 유무, 욕창의 단계, 욕창의 부위, 욕창의 크기, 입실 시 욕창의 퇴실 시 상태가 포함되었다. 욕창보유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인에는 동반질환, 의식상태, 혈청 알부민, CRP, Hb, 체온, Braden scale (감각, 활동, 움직임, 영양섭취, 피부) 점수, 중증도 분류 점수가 포함되었고, 의료기관 요인에는 인공호흡기 적용여부, CRRT 적용 여부, 저체온 요법 적용 여부, 억제대 적용 여부, 승압제 ․ 진정제 사용 여부, 병원 입원 경로, 중환자실 입실 경로, 중환자실 입실 전 단계에서의 원내 체류기간, 수술 여부가 포함되었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에게 욕창이 흔한 이유는 무엇인가? 중환자실에서 욕창이 흔한 이유는 첫째, 환자가 응급실, 일반 병동, 수술실 등 다른 장소에 체류한 후 중환자실로 입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응급실의 경우 입원이 지연되면 응급실에서의 대기 시간이 길어져 부동으로 인한 욕창이 발생할 수 있고[5,6], 수술실에서도 수술체위나 수술시간에 따라 욕창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한다[7]. 중환자실에서 욕창이 흔한 두 번째 원인은 인공호흡기, 지속적신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저체온요법과 같은 특수 치료와 관련이 있는데 이 중 인공호흡기의 적용 여부와 기간이 욕창의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8]. 세 번째 원인은 약물의 사용으로 중환자에게 흔히 투약하는 진정제, 진통제, 혈압 상승제가 욕창 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9]. 마지막으로 중환자실 환자의 불량한 영양상태 역시 욕창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선행연구들[9,10]에 의하면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인 체중과 혈청 알부민이 욕창 발생의 유의한 위험요인이었다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sal C, Scott R, Stewart D, Cockerell CJ. Decubitus ulc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2005;44(10):805-10. http://dx.doi.org/10.1111/j.1365-4632.2005.02636.x 

  2. Cho CH, Jun KJ, Bok S, Hong JH, Lee H, Park NK, et al. Epidemiologic study on clinical features of patient with pressure ulcer: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5;29(1):122-7. 

  3. Im M, Park H. A study on the pressure ulcers in neurologica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2):190-9. 

  4. Slowikowski GC, Funk M.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in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2010;37(6):619-26. http://dx.doi.org/10.1097/WON.0b013e3181f90a34 

  5. Kaitani T, Tokunaga K, Matsui N, Sanada H.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3-4):414-2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3047.x 

  6. Kim EJ, Han NS, Park JY, Lee SB, Do BS, Kim SB, et al. A stay time optimization model emergency medical center (EMC).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1;18(2):81-7. 

  7. Hwang HY, Shin YS, Cho HS, Yeo JS. Risk factors of pressure sore in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7;53(1):79-84. 

  8. Manzano F, Navarro MJ, Roldan D, Moral MA, Leyva I, Guerrero C, et al. Pressure ulcer incidence and risk factors in ventilated intensive care patients. Journal of Critical Care. 2010;25(3):469-76. http://dx.doi.org/10.1016/j.jcrc.2009.09.002 

  9. Curry K, Kutash M, Chambers T, Evans A, Holt M, Purcell S. A prospective, descrip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kin failure in critically ill adults. Ostomy Wound Management. 2012;58(5):36-43. 

  10. Lee HN, Park JS. Nutritional-related factors predicted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13-22.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4.413 

  11. Shahin ES, Dassen T, Halfens RJ.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incidence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Nursing in Critical Care. 2008;13(2):71-9.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07.00249.x 

  12. Shahin ES, Dassen T, Halfens RJ. Incidenc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 46(4):413-2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8.02.011 

  13. Kim KN, Kang KJ, Lee HS, Shin YH, Kim SK, Park KH, et al. Survey on pressure ulc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tage change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3):433-42. 

  14. Park HS, Park KY, Ryu SM.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125-34. 

  15. Tschannen D, Bates O, Talsma A, Guo Y. Patient-specific and sur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2;21(2):116-25. http://dx.doi.org/10.4037/ajcc2012716 

  16. Nijs N, Toppets A, Defloor T, Bernaerts K, Milisen K, Van Den Berghe G.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9):1258-6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54.x 

  17.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Pressure ulcer prevention quick reference guide [internet]. Washington, DC: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09 [cited 2015 March 23]. Available from: http://www.epuap.org/guidelines/guidelines-old/ 

  18. Kim KS, Kim JA, Kim MS, Kim YJ, Kim ES, Park KD, et al.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133-47. 

  19. Cox J. Predictors of pressure ulcers in adult critical car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1;20(5):364-75. http://dx.doi.org/10.4037/ajcc 2011934 

  20. Keelaghan E, Margolis D, Zhan M, Baumgarten M. Prevalence of pressure ulcers on hospital admission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transferred to the hospital. Wound Repair and Regeneration. 2008;16(3):331-6. http://dx.doi.org/10.1111/j.1524-475X.2008.00373.x 

  21. Terekeci H, Kucukardali Y, Top C, Onem Y, Celik S, Oktenli C. Risk assessment study of the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9;20(4):394-7. http://dx.doi.org/10.1016/j.ejim.2008.11.001 

  22. Hyun S, Li X, Vermillion B, Newton C, Fall M, Kaewprag P, et al. Body mass index and pressure ulcers: improved predictability of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4;23(6):494-500. http://dx.doi.org/10.4037/ajcc2014535 

  23. Kim JA, Kim KS. Preventive strategie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09;2(2):42-55. 

  24. Jang HJ, Na SW, Oh BJ, Lim CM, Ko YS, Hong SB. Multicenter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bout the usage patterns of sedatives, analgesics and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in the patients requiring more than 72 hours mechanical ventilation in intensive care units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9;24(3):145-51. 

  25. Klompas M, Anderson D, Trick W, Babcock H, Kerlin MP, Li L, et al. The preventability of ventilator-associated events. The CDC prevention epicenters wake up and breathe collaborativ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15;191(3):292-301. http://dx.doi.org/10.1164/rccm.201407-1394OC 

  26. Tayyib N, Coye, F, Lewis P. Pressure ulcers in the adult intensive care unit: a literature review of patient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scal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2013;3(11):28-42. http://dx.doi.org/10.5430/jnep.v3n11p28 

  27. Webster J, Lister C, Corry J, Holland M, Coleman K, Marquart L.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surgically acquired pressure ulce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vestigator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5;42(2):138-44. http://dx.doi.org/10.1097/WON.0000000000000092 

  28. Kwong EW, Pang SM, Aboo GH, Law SS. Pressure ulcer development in older residents in nursing home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2):2608-20.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117.x 

  29. Shin KL, Kim MY, Kang YH, Jung DY, Cha JY, Lee E, et al. Facility and nursing factors influence on pressure ulcer occurrence among patients at risk for pressure ulcer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1):30-9. 

  30. Jeong IS, Kim S, Jeong JS, Hong EY, Lim EY, Seo HJ, et al.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 management guideline by adapt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1):40-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