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6, 2015년, pp.341 - 350  

신창식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세원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에 대한 주요 내용과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 이후의 변화들, 그리고 정신보건개혁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정책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시사점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2년에 발표되어 2008년에 개정된 국가정신보건정책,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수립된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 2006년 호주정부협의회에 의해 수립된 정신보건실행계획, 그리고 2012년 호주정부협의회에서 채택한 국가정신보건개혁을 위한 로드맵(2012-2022)을 포함한 국가정신보건전략은 지난 20년 동안 호주의 정신보건개혁의 광범위한 과정을 선도하는 대단히 중요한 정책 준거를 제공하였다. 1992년 시작된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해서 정신보건재정 확충, 지역사회 중심의 치료 및 보호시스템 구축, 정신병상의 변화, NGO의 참여와 역할의 증대, 정신장애인과 가족(보호제공자)의 참여 확대 등과 같은 변화를 이루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ain contents of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and changes after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to find some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on mental health policy in South Korea. The direction of reform has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로드맵은 모든 호주 국민들에게 지속적이고, 잘 계획되고, 인간 중심적인 정신보건시스템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연방정부와 주정부 간의 긴밀한 협조와 협력이 요구된다고 명시하였다. 아울러 로드맵은 호주에서의 정신보건에 대한 투자를 보장하려는데 목적이 있고, 정신질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줄이려는 최상의 실천 활동과 근거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재정체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재원을 확보하는 등의 재정투자에 노력을 기울이고, 기존의 정신보건정책과 국가정신보건전략과 같은 관련 정책과 전략을 개정하기 위한 국가적 준거를 제공한다.
  • 이 실행계획은 정부, 민간, 그리고 비정부 정신보건서비스 제공기관 간의 조정과 협력을 강조하는 전략적 준거를 제공하였으며, 정신장애인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신보건서비스체계를 구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실행된 일련의 사업들과 개별 정부들에 의해 준비된 개별적인 실행계획들이 기술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주의 정신보건관련 국가 재정지출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정신보건 개혁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지원조치들[(Government funding allocated under the Medicare Agreement(1995-1998)와 Australian Health Care Agreements(1998-2003, 2003-2008)]이 시행되면서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연간 재정지출은 1992-93회계연도부터 2010-11회계연도까지 총 171%의 증가를 보였다[18]. [Table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신보건관련 국가 재정지출은 주정부에 의한 재정지출, 연방정부에 의한 재정지출, 그리고 민간의료보험(private health funds)에 의한 재정지출로 구성되어있다. 주정부에 의한 재정지출은 같은 기간 동안 151%(25억 달러)의 증가를 보였고, 연방정부에 의한 재정지출은 245%(17억 달러)의 증가를 보였으며, 그리고 민간의료보험은 59%(950만 달러)의 증가를 보였다.
호주에서 1988년 3월 발표한 국가정신보건서비스정책보고서의 주요 권고사항은 무엇인가? 한편, 호주는 대부분의 선진국과 같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지역사회 정신보건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면서 정신보건체계를 변화시켜왔으나, 1988년 3월 국가정신보건서비스정책보고서(A 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s Policy: Summary of the Report of the Consultancy)를 발표를 통해 본격적인 개혁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 보고서의 주요 권고사항들은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참여를 확대하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협력을 보다 강화하는 국가정신보건서비스정책을 채택하는 것이었다(AHMAC Working Group on Mental Health, 1988). 이러한 국가정신보건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신보건서비스의 제공을 통하여 정신질환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정신장애인들이 생산적인 활동에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의 하나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6].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은 무엇을 목표로 하였는가? 국가정신보건전략은 정책과 서비스 개발에 주정부의 협력이 필요한 국가 차원의 정책적 관심을 둔 연방 설립 후 최초의 시도로써, 주정부가 책무성을 가지고 공공정신보건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이 전략의 중심 목표는 [Table 2]와 같이 국가정신보건정책에 명시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I. Park, The Present and Future of Mental Health Policy in South Korea, Welfare Trend, Vol. 188, pp. 5-9, 2014. 

  2. S. Y. Lee & Y. Kim, A Study on Development of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Mental Health Policy Forum, Vol. 2, pp. 3-36, 2008. 

  3. M. S. Yoon & S. Y. Lee(2008),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Policy and Direc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ntal Health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Vol. 35, pp. 329-354, 2008. 

  4. Seoul National Univers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Development of National Mental Health Pla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2010. 

  5.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 Study on Promoting Efficiency of Community Mental Health Management, Seoul: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13. 

  6. Australian Health Ministers' Advisory Council Working Group on Mental Health, A 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s Policy: Summary of the Report of the Committee Report to Commonwealth. State and Territory Health Minister. Canberra: AGPS, 1988. 

  7. H. M. Choi, A Study on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12, pp. 75-92, 2001. 

  8. E. J. Kang, Victoria's Mental Health Reform Plan 2009-2019,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55, pp. 77-87, 2009. 

  9. Australian Health Ministers,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Canberra: AGPS. 1992a. 

  10. Australian Health Ministers, Mental Health Policy. Canberra: AGPS, 1992 

  11. Australian Health Ministers, Mental Health Policy 2008. Canberra:: AGPS, 2009. 

  12. Australian Health Ministers, National Mental Health Plan. Canberra: AGPS. 1992b. 

  13. Australian Health Ministers, Second National Mental Health Plan. Canberra: Mental Health Branch, Commonwealth Department of Health and Family Services. 1988. 

  14. National Mental Health Steering Committee, Consultation Paper on the National Mental Health Plan 2003-2008. Canberr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3. 

  15.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Fourth National Mental Health Plan: An agenda for collaborative government action in mental health 2009-2014. Canberra: Commonwealth of Australia, Canberra. 2009. 

  16. The 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s, National Action Plan on Mental Health 2006-2011. Canberra: COAG, 2006. 

  17. The 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s, The Roadmap for National Mental Health Reform 2012-2022. Canberra: COAG, 2012. 

  18. Department of Health, National mental health report 2013. Canberr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3. 

  19. Medibank, The Case for Mental Health Reform in Australia: A Review of Expenditure and System Design. Canberra: Medibank Private Limited and Nous Group. 2013. 

  20. S. McDermott, J. Bruce, I. Opera, K. R. Fisher, & K. Muir, Evaluation of the Whole of Mental Health, Housing and Accommodation Support Initiative, Second Report. Sydney: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1. 

  21.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Mental Health Non-Government Organisation Establishment National Minimum Data Set. Canberra: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11. 

  22. Productivity Commission, Report on Government Services 2012. Canberra: Productivity Commission. 2012. 

  23. Department of Health, Implementation guideline for non-government community services. Canberr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0. 

  24.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being 2007. Canberra: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07. 

  25.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being 2013. Canberra: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