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 환자의 교대운동속도 과제에서 관찰된 '말 뭉침'의 음향학적 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hort Rushes of Speech' using Alternate Motion Rat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2, 2015년, pp.55 - 62  

김선우 (대림대학교) ,  윤지혜 (한림대학교) ,  이승진 (연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idely accepted that Parkinson's disease(PD) is the most common cause of hypokinetic dysarthria, and its characteristics of 'short rushes of speech' have become more evident along with the severity of motor disorders. Speech alternate motion rates (AMR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observing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초(총 3초)를 분리하였다. 이는 운동 시작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PD 환자의 운동 특성이 말에 반영되어 속도와 규칙성이 과소평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즉, 본 연구는 3초로 따로 저장된 AMRs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 음절 반복수와 전체 구간 내에서 발생한 말 뭉침을 확인하였다.
  • PD 환자의 말 뭉침을 분석함에 있어 음향학적 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청지각적 분석이 제공하는 반복 횟수와 규칙성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말 뭉침의 속성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하여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MRs 과제를 이용하여 그 동안 청지각적으로만 설명되어 온 PD 환자의 말 뭉침을 음향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의 말 특징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말 뭉침이 신뢰성 있는 평가척도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기준 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음향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AMRs에서 관찰된 말 뭉침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청지각적으로 ‘쫓기며 돌진하듯이 서두르는 말소리’로 인식된 부분을 광대역 스펙트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유형, 1) 자음의 폐쇄구간이 존재하지 않고 유성파열음화 되는 유형(VC), 2) 자음의 음향학적 에너지(수직의 스파이크와 소음 구간)가 관찰되지 않는 유형 (NC), 3) 모음의 음형대 주파수가 관찰되지 않는 유형(NV)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D 환자에게 나타나는 문제의 빈번도 순위는 무엇인가? 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운동저하형 마비말장애, hypokinetic dysarthria)는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이하 PD)의 말운동 장애(motor speech disorder)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환자 중 최대 90%가 말 문제를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odoros & Ramig, 2011). PD 환자는 특히 조음과 운율의 결함이 기타 마비말장애에 비해 두드러지는데, 단조로운 음도(monopitch), 강세 감소(reduced stress), 단조로운 음강(monoloudness), 부정확한 자음(imprecise consonants), 부적절한 쉼(inappropriate silences), 뭉침(short rushes), 거친 음성(harsh voice), 기식 음성(breathy voice), 음도 수준(pitch level), 그리고 속도 변이성(variable rate)의 순으로 문제가 빈번하다(Darley et al., 1969a, 1969b).
조음교대운동속도는 AMRs, SMRs와 비교하여 어떤 특징이 있는가? 마비말장애 감별에 유용한 네 가지 평가 과제 중 AMRs는 일련운동속도(sequential motion rates, 이하 SMRs)와 더불어 조음교대운동속도(diadochokinesis, DDK)에 속한다. 주어진 음절을 최대한 빠르게, 연속적으로, 규칙성 있게 반복한다는 점에서는 AMRs와 SMRs는 동일하다. 그러나, AMRs는 같은 음절(예: /pǝ/, /tǝ/ 또는 /kǝ/)을, SMRs(예: /pǝtǝkǝ/)는 서로 다른 음절들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AMRs는 속도(speech)와 규칙성(regularity)을, SMRs는 순차성(sequencing)을 반영하는 유용한 과제로 알려져 있다(Duffy, 2005).
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는 무엇인가? 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운동저하형 마비말장애, hypokinetic dysarthria)는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이하 PD)의 말운동 장애(motor speech disorder)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환자 중 최대 90%가 말 문제를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odoros & Ramig, 2011). PD 환자는 특히 조음과 운율의 결함이 기타 마비말장애에 비해 두드러지는데, 단조로운 음도(monopitch), 강세 감소(reduced stress), 단조로운 음강(monoloudness), 부정확한 자음(imprecise consonants), 부적절한 쉼(inappropriate silences), 뭉침(short rushes), 거친 음성(harsh voice), 기식 음성(breathy voice), 음도 수준(pitch level), 그리고 속도 변이성(variable rate)의 순으로 문제가 빈번하다(Darle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ckermann, H., & Ziegler, W. (1991). Articulatory deficits in parkinsonian dysarthria: An acoustic analysi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54(12), 1093-1098. 

  2. Caligiuri, M. (1989). The iNVluence of speaking rate on articulatory hypokinesia in parkinsonian dysarthrias. Brain and Language, 36(3), 493-502. 

  3. Chenery, H. J., Murdoch, B. E., & Ingram, J. C. I. (1988). Studies in Parkinson's disease, I, Perceptual speech analysis. Australian Journal of Human Communication Disorders, 16(2), 17-29. 

  4. Cho, Y., & Kim, H. (2013). Rate and regularity of articulatory diadochokinetic performance in healthy Korean elderly via acoustic analysi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3), 95-101. (조윤희, 김향희 (2013). 음향학적 분석을 통한 노년층 연령에 따른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및 규칙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권 3호, 95-101.) 

  5. Darley, F. L., Aronson, A. E., & Brown, J. R. (1969a). Differential diagnostic patterns of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2(2), 462-496. 

  6. Darley, F. L., Aronson, A. E., & Brown. J. R. (1969b). Clusters of deviant speech dimensions in the dysarthria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2(3), 462-496. 

  7. Dromey, C., Ramig, L. O., & Johnson, A. (1995). Phonatory and articulatory changes associated with increased vocal intensity in Parkinson disease: a case stud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4). 751-763. 

  8. Duffy, J. R. (2005).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St. Louis: Mosby. 

  9. Forrest, K., Weismer, G., & Turner, G. S. (1989). Kinematic, acoustic, and perceptual analyses of connected speech produced by parkinsonian and normal geriatric adults. Journal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85(6), 2608-2622. 

  10. Hartelius, L., & Svensson, P. (1994). Speech and swallowing symptoms associated with Parkinson's disease and multiple sclerosis-a survey.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46(1), 9-17. 

  11. Ho, A. K., Iansek, R., Marigliani, C., Bradshaw, J. L., & Gates, S. (1998). Speech impairment in a large sample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Behavioral Neurology, 11(3), 131-137. 

  12. Jung, E. U., Cho, S-R., Kim, Y. J., & Kim, H. H. (2011). Characteristics of diadochokinesis in hypokinetic dysarthria: rate and regularit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6(1), 74-82. (정은영, 조성래, 김윤정, 김향희 (2011).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6권 1호, 74-82.) 

  13. Kang, Y. A., Park, H. Y., & Koo, B. S. (2013). An acoustic analysis of diadochokinesi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3-15. (강영애, 박현영, 구본석 (2013). 파킨슨병 환자 대상 조음교대 운동의 음향적 분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5권 4호, 3-15.) 

  14. Kent, R. D., Weismer, G., & Kent, J. F. (1989). Toward phonetic intelligibility testing in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4(4), 482-499. 

  15. Kim, H., Lee, M. S., Kim, S. W., Choi, S. H., & Lee, W. Y. (2004). An auditory-perceptual rating scale of dysarthric speech of patients with Parkinsonism. Speech Sciences, 11(2), 39-49. (김향희, 이미숙, 김선우, 최성희, 이원용 (2004). 파킨슨증으로 인한 마비말장애에 대한 청지각적 평가척도. 음성과학 11권 2호, 39-49.) 

  16. Kim, H. (2012).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s. Seoul: Sigmapress. (김향희 (2012). 신경언어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17. Landis, J. R., &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1), 159-174. 

  18. Logemann, J. A., Fisher, H. B., Boshes, B., & Blonsky, E. R. (1978). Frequency and coocurrence of vocal tract dysfunctions in the speech of a large sample of Parkinson patien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3(1), 47-57. 

  19. Ludlow, C. L., & Bassich, C. J. (1983). The results of acoustic and perceptual assessment of two types of dysarthria. San Diego: College-Hill Press. 

  20. Miller, N., Noble, E., Jones, D., & Burn, D. (2006). Life with communication changes in Parkinson's disease. Age and Ageing, 35(3), 614-618. 

  21. Pinto, S., Ozsancak, C., Tripoliti, E., Thobois, S., Limousin-Dowsey, P., & Auzou, P. (2004). Treatments for dysarthria in Parkinson's disease. The Lancet Neurology, 3(9), 547-556. 

  22. Shin, J. (2011). The sounds of Korean. Seoul: The Knowledge and Culture Press. (신지영 (2011). 한국어의 말소리. 서울: 도서출판 지식과 교양.) 

  23. Theodoros, D. & Ramig, L. (2011). Communication and swallowing in Parkinson disease. San Diego: Plural publishing. 

  24. Tjaden, K., & Watling, E. (2003). Characteristics of diadochokinesis in multiple sclerosis and parkinson's diseas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5(5), 241-259. 

  25. Trail, M., Fox, C., Ramig, L. O., Sapir, S., Howard, J., & Lai, E. C. (2005). Speech treatment for Parkinson's disease. Neuro Rehabilitation, 20(3), 205-221. 

  26. Wismer, G. (1984). Articulatory characteristics of parkinsonian dyarthria: Segmental and phrase-level timing, spirantization, and glottal-supraglottal coordination. San Diego: College-Hill. 

  27. Yorkston, K. M., Spencer, K. A., & Duffy, J. R. (2003). Behavioral management of respiratroy/phonatory dysfunction from dysarthria: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11(2), 13-38. 

  28. Ziegler, W. (2002). Task-related factors in oral motor control: speech and oral diadochokinesis in dysarthria and apraxia of speech. Brain Lang, 80(3), 556-575. 

  29. Ziegler, W. (2003). Speech motor control is task-specific: Evidence from dysarthria and apraxia speech. Aphasiology, 17(1), 3-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