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차적 샘플링 방식을 이용한 가상 잡음 레이더 개념 증명
Proof-of-Concept Research on Pseudo-Random Noise Radar Using Sequential Sampling Method 원문보기

韓國電磁波學會論文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26 no.6, 2015년, pp.546 - 554  

김지훈 (국방과학연구소 제8기술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 광대역 레이더는 숨겨진 물체를 찾는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표 투과 레이더나 수풀 투과 레이더와 같은 투과레이더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 광대역 레이더의 종류 중에 하나인 잡음 레이더는 간섭 환경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잡음레이더는 고속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필요하여 광대역 레이더로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섭에 강한 특징을 가지면서 고속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가상 잡음 레이더 시스템이 연구되었다. 또한, 초 광대역 시스템이 저주파에서 구현되었고, 이는 실험으로 성능이 검증되었으며, 제안된 가상잡음 레이더 시스템의 개념도 증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ltra-wideband(UWB) radar is widely used in many penetration radar applications, such as ground-penetrating radar and foliage-penetrating radar,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in detecting concealed objects. One type of UWB radar system is random noise radar, which many be robust to jamming enviro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간섭에 강한 특징을 가지면서 고속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가상 잡음 레이더 시스템이 연구되었다.

가설 설정

  • 마지막으로 실제 신호를 이용한 목표물 탐지 시뮬레이션과 구현된 송신부 출력을 이용한 목표물 탐지 결과이다. 앞에서와 같이 목표물을 약 4 km(13.3 μs) 지점에 있다고 가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얻은 데이터는 허수부가 없고 실수부만 존재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상에서도 실수부 만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차적 샘플링 방법은 무엇인가? 순차적 샘플링 방법은 시간 지연을 이용하여 저속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고속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이다.
초 광대역 레이더가 숨겨진 물체를 찾는 지표 투과 레이더나 수풀 투과 레이더, 벽 투과와 같은 투과 레이더에서 널리 이용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초 광대역 레이더는 넓은 대역폭(UWB: Ultra Wide Band)을 사용하여 뛰어난 분해능(resolution)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숨겨진 물체를 찾는 지표 투과 레이더나 수풀 투과 레이더, 벽 투과와 같은 투과 레이더에서 널리 이용 되고 있다[1]~[5]. 일반적인 초 광대역 레이더는 임펄스 신호원이나, 첩(chirp) 신호원와 같은 주파수 축에서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 즉, 시간 축에 짧은 신호를 사용한다[6].
잡음 신호원을 사용하는 초 광대역 레이더가 대역폭의 신호를 한 번에 샘플링할 수 있는 고속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별하게 잡음 신호원을 사용하는 초 광대역 레이더의 경우 신호 특성상 넓은 대역폭을 가지면서 다른 신호의 간섭에 강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7]. 하지만, 보통의 잡음 신호원은 일반적인 신호원과는 달리 잡음 신호원을 똑같이 반복적으로 생성해 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잡음 신호원을 사용하는 초 광대역 레이더의 경우,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한 번에 샘플링할 수 있는 고속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 Ressler, L. Nguyen, F. Koenig, D. Wong, and G. Smith, "The army research laboratory synchronous impulse reconstruction forward-looking radar", Proc. SPIE, vol. 6561, 2007. 

  2. Daeman Kim, "Design of a resistive slot antenna for ultra-wideband ground-penetrating radar", GIST, 2010. 

  3. Nam-Koong, UP, "The study on high accurate calibration method for pulse compression radar", GIST, 2010. 

  4. Jihoon Kim, Woong Kang, and Kangwook Kim, "The resistive dipole antenna excited by an impulse generator for ultra-wideband radar applications", APS, 2010. 

  5. Jihyuk Cho, "Design of vivaldi antenna array and experimental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vehicular UWB forward looking radar", GIST, 2009. 

  6. Merrill Skolnik, Radar Handbook, 3rd ed., McGrawHill, 2008. 

  7. T. Thayaoaran, C. Wernik, "Noise radar technology basics", Defence Research and Develop Canada, 2006. 

  8. Bassem R. Mahafza, Radar Systems Analysis and Design Using MATLAB, 2nd ed., Champman & Hall/CRC, 2005. 

  9. Kevin Roebuck,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Emereo Publishing, 2012. 

  10. M. Ghavami, L. B. Michael, and R. Kohno, Ultra Wideband Signals and Systems in Communication Engineering, 2nd ed.. Wiley & Sons, Inc., 2007. 

  11. Davi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3rd ed., John Wiley & Sons, Inc., 2005. 

  12. George L. Matthaei, Leo young, and E. M. T. Jones, Microwave Filters, Impedance-Matching Networks, and Coupling Structures, McGrawHill, 1980. 

  13. Randall W. Rhea, HF Filter Design and Computer Simulation, Noble Publishing Atlanta,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