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밑술 담금 방법을 달리한 전통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Liquor with Different Brewing Method of Mit-sool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3, 2015년, pp.377 - 386  

정낙원 (배화여자대학교 전통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ai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utilizing different Mit-sool, Juk, Seolgi-tteok, and Godubap, to produce traditional liquor. In all experimental plots, pH and amino acidity tended to increase with duration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displayed a 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문헌에 나와 있는 다양한 밑술의 형태 중 사용빈도가 높았던 죽, 설기떡, 고두밥 등 세 가지 형태로 밑술을 빚고 고두밥으로 덧술을 하는 이양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우리전통주 개발에 도움이 되며 전통주 품질의 표준화와 과학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 형태로 빚는 밑술의 종류는? 전통주 제조 시 주재료의 처리방법은 술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그 중 죽 형태의 밑술 빚기는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Jubangmoon (酒方文)」의 일해주(一亥酒), 청명주(淸明酒), 무국주(無麴酒),「Joonbosanrimkyungjae (增補山林經濟)」의 삼해주(三亥酒),벽향주(碧香酒), 송순주(松荀酒), 「Eumsikdimibang (飮食知味方)」의 칠일주(七日酒) 등이 죽으로 빚는 술이다. 설기떡으로 빚는 술은「음식디미방」의 하절삼일주(夏節三日酒)를비롯하여 순향주(醇香酒), 하절주(夏節酒), 「Kyuhapchonseo(閨閤叢書)」의 소국주(小麴酒) 등이 기록되어 있다.
죽, 설기떡, 고두밥으로 밑술을 제조한 전통주의 알코올 함량은 발효 시기에 따라 어떤 추이를 보이는가? 옛 문헌에서 찾아보면 고두밥으로빚는 술이 죽이나 떡으로 빚는 술보다 맛이 억세고 독하게느껴진다(Park 2002)고 하였는데, 본 실험에서도 고두밥으로제조한 술의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은 발효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발효 중반부터는 완만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변화는 진피주의 발효특성 변화의 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Kim et al. 2011).
밑술 빚기 형태 중 가장 나중에 등장한 것은? 설기떡으로 빚는 술은「음식디미방」의 하절삼일주(夏節三日酒)를비롯하여 순향주(醇香酒), 하절주(夏節酒), 「Kyuhapchonseo(閨閤叢書)」의 소국주(小麴酒) 등이 기록되어 있다. 고두밥은 밑술 빚기 형태 중 가장 나중에 등장한 방법으로「Imwonsibyookji (林園十六志)」의 부의주(浮蟻酒),「음식디미방」의 시급주(時急酒)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YG, Song YS, Shin JH. 2012. Determin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3(2):199-206 

  2. Andong Jang (안동장씨 부인, 安東 張氏), Eumsikdimibang (음식디미방, 飮食知味方). In: Han BR, Han BS, Han BJ. editors. 2000.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p102-115 

  3. Baek SY, Kim JY, Yum HJ, Choi JH, Choi HS, Jeong ST,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nd nuruk grain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N041.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6):877-881. 

  4. Chang KJ, Yu TJ. 198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4):307-313 

  5.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555-562 

  6. Jin TY,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201-206 

  7. Kim HR, Jo SJ, Lee SJ, Ahn BH.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5):551-557 

  8. Kim NY, Yu AR, Min JY, Han MJ.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inpi wine with different levels of added ginpi. J. Korean Soc. Food Cult., 26(2):178-183 

  9. Kim SY, Kim EK, Yoon SJ, Jo NJ, Jung SK, Kwon SH, Chang YH, Jeong YH. 2011. Physi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223-228. 

  10. Kim TY, Kim SB, Yoo SM, Kim HR, Lee SH 2003. Study on application of over-produced rice to manufacture traditional rice wine. Lural Living Sci. Research, pp 215-226 

  11. Kim ZU. 1985. Food Processing. Moonwoondang, Seoul, Korea, p 5 

  12. Kook SJ. 2003. Studies on the preperation of traditional ginseng wine with different treated ginseng. Master's degree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14-15 

  13. Lee HS,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1):56-62 

  14.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Seoul Women's University, Korea, 12:71-79 

  15.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4):391-396 

  16. Lee TS, Han EH. 2001.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3)366-372 

  17.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Food Sci. Technol., 30(3):638-643 

  18.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196-302 

  19.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Jeong Y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kgeolli prepared by mashing ty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207-215 

  20. Park RD. 2002. Brewing Method of Korean Sool. Osang Co., Seoul, Korea, pp 175-193 

  21. Pinghugak Lee (빙허각 이씨, 憑虛閣 李氏), Kyuhapchonseo (규합총서,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1992. Bojinjea Co., Kyounggido, Korea, pp 11-26 

  22. Rhee SJ, Lee CY, Kim KK, Lee CH. 2003.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e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2:242-247 

  23. Seo SH, Lee JE. 2009.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compatible with traditional Korean liquors. J. Korean Soc. Food Cult., 24(1):1-9 

  24. Seo YG (서유구, 徐有), Imwonsibyookji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 In: Lee HJ, Cho SH, Chung RW, Cha KH editors. 2007. Kyomoonsa Co., Kyunggido, Korea, pp 330-356 

  25. Shin KR, Kim BC, Yang JY, Kim YD. 1999. Ch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4):801-804 

  26. Song JY. 199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made of glutinous rice or barley. Masters degree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Korea, pp 36-43 

  27. Yoo JR (유중림, 柳重臨), Joonbosanrimkyungjae (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 In: Lee GJ, Kim YS, Kim SM, Lee YN, Han BR, Lee YG, Park HW, Lee CJ, Han BJ, Huh CO, Kim GY, Lee MS, Kim BN, An B editors. 2003. Shinkwang Press, Seoul, Korea, pp 300-362 

  28. Jubangmoon (주방문, 酒方文). In: Lee HJ, Han BR, Jung KJ, Cho SH, Chung RW, Kim HS, Choi YJ, Yoo AR, Kim EM, Won SE, Cha KH editors. 2013. Kyomoonsa, Co., Gyunggido, Korea, pp116-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