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PA 브랜드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마케팅 믹스 속성 평가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A Brand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rientation and Assessment of Marketing Mix Attributes on brand loyal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4, 2015년, pp.45 - 60  

남희경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손희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rientation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have a direct effect on making purchase in our lives. And emotional value has been dealt within the SPA brand contexts recently.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how SPA brand consumers' emotional value consumption o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1. SPA 브랜드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와 브랜드 충성도에 있어 Zara와 Uniqlo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SPA 브랜드 소비자들의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마케팅믹스 속성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SPA 브랜드 소비자들의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가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본다.
  • SPA 브랜드 중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아 소비자들이 친숙하다고 느끼는 브랜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브랜드의 개성 및 성격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가장 잘 알고 친숙하게 느끼며, 최근 6개월 사이에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SPA 브랜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SPA 브랜드 소비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소비생활에서 추구하는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SPA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SPA 브랜드의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 평가가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SPA 브랜드 충성도 사이의 관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SPA브랜드 중 시장점유율이 가장 크고, 뚜렷이 다른 브랜드 개성을 가지는 것으로 지각되고 있는 Zara와 Uniqlo를 대상으로 각 변인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PA 브랜드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마케팅믹스의 속성 평가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케팅믹스로부터 소비자들이 얻을 수 있는 속성의 차원을 실용적, 쾌락적 속성으로 구분하였고, SPA 브랜드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마케팅믹스 속성평가의 매개역할에 대해 알아보는 구조를 모형화하고 검증하였다.
  • 또한, 전반적인 소비생활에서 감성적 소비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의 내용을 밝히고, 패션 리테일링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SPA 브랜드 제품의 소비 행동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에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미치는 효과와 속성평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SPA 브랜드라는 범위 내에서 소비자의 가치성향과 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SPA 브랜드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를 통해 이들 브랜드들의 마케팅믹스 전략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분화, 발전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SPA 브랜드들의 머천다이징 구성 및 마케팅믹스 활용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구체적으로,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에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미치는 효과와 속성평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SPA 브랜드라는 범위 내에서 소비자의 가치성향과 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SPA 브랜드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를 통해 이들 브랜드들의 마케팅믹스 전략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분화, 발전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SPA 브랜드들의 머천다이징 구성 및 마케팅믹스 활용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감성적 소비가치가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에 따른 브랜드 충성도를 통합적으로 고찰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구체적으로 SPA 브랜드의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 평가가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SPA 브랜드 충성도 사이의 관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SPA브랜드 중 시장점유율이 가장 크고, 뚜렷이 다른 브랜드 개성을 가지는 것으로 지각되고 있는 Zara와 Uniqlo를 대상으로 각 변인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 두 브랜드는 최근 국내 중(저)가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경쟁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Kim, 2012).
  •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소비생활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감성적 소비가치가 SPA 브랜드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전반적인 소비생활에서 감성적 소비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의 내용을 밝히고, 패션 리테일링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SPA 브랜드 제품의 소비 행동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평가에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미치는 효과와 속성평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SPA 브랜드라는 범위 내에서 소비자의 가치성향과 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SPA 브랜드 소비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소비생활에서 추구하는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SPA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SPA 브랜드의 마케팅믹스 요소별 속성 평가가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SPA 브랜드 충성도 사이의 관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 본 연구는 SPA 브랜드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마케팅믹스의 속성 평가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감성적 소비성향이 소비자 인지과정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성적 소비성향이 SPA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마케팅믹스 속성평가에 따라 달라짐을 구조화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SPA 브랜드를 다룬 대부분의 연구에서 브랜드 유형을 제품 특성에만 기반하여 트렌디형과 베이직형으로 구분한 것과 달리, 실제 마켓에서의 매출성과와 시장점유율을 고려하고, 더불어 브랜드 개성이라는 학문적 변수를 사용, 통합하여 브랜드 유형 구분에 대한 개념을 보다 전문적으로 브랜드 선정 제시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감성적 소비가치가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와 직간접적 인과관계를 맺을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적 소비 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마케팅믹스 속성평가의 역할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고찰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들을 통해 소비가치에 따라 구매 시 고려하는 속성에 대한 속성 평가도 다르다는 결과를 이해하고,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소비생활에서 증가하고 있는 감성적 소비가치가 SPA 브랜드의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소비생활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감성적 소비가치가 SPA 브랜드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전반적인 소비생활에서 감성적 소비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의 내용을 밝히고, 패션 리테일링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SPA 브랜드 제품의 소비 행동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품 속성이란? 제품 속성이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품구성 요소를 말한다(Hong & Na, 2007). 의류 제품의 속성이란 소비자들의 의류 제품을 선택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디자인, 색, 무늬, 옷감, 바느질, 재단 등과 같은 의복의 객관적인 제품 특성뿐만 아니라 편안함, 관리성, 상표 등 소비자가 원하는 주관적인 특성을 포함한 종합적인 개념을 의미한다(Park, Ku, & Koo, 2007).
실용성과 쾌락성으로 구분된 판매촉진은 어떤 영향을 주는가? 판매촉진에 관한 연구에서 판매촉진의 속성을 실용성과 쾌락성으로 구분하였다(Chandon, Wansink, & Laurent, 2000). 이러한 속성은 구매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가격 지향적 판매촉진의 경제적 속성이 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제품정보제공 및 제품 체험과 같은 쾌락적 속성 또한 구매에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Lynch & Dan, 1998).
가격 어떠한 요소인가? 가격은 마케팅믹스 요소들 중 수익을 산출해내는 유일한 요소로(Keller, 2008), 기업의 매출액 및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그 자체가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믹스 요소이므로 매우 중요하다(Choi, 2003). 특히, SPA 브랜드들의 가격 저렴성은 이들의 성공 요인 중 하나로 판단되는 바, 소비자가 가격 속성 평가가 구매 결정 요인이 되기도 하므로 가격 속성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2. Bar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4), 644-656. 

  3. Babin, B. J., & Attaway, J. (2000). Atmospheric Affect as a Tool for Creating Value and Gaining Share of Custome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2), 91-99. 

  4. Chandon, P., Wansink, B., & Laurent G. (2000). A Benefit Congruency Framework of Sales Promotion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64(4), 65-81. 

  5. Chaudhuri, A., Holbrook, & Morris, B. (2001).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5(2), 81-93. 

  6. Choi, J. W. (2003). Fashion Marketing, Seoul, Republic of Korea: Jisikchanggo. 

  7. Choi, S. H. (2005). The Effect of Marketing Mix on the Formation of Fashion Brand Equi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1), 174-187. 

  8. Conger, J. A. (1998). The necessary art of persuasion, Harvard Business Review. Retrieved from https://hbr.org/1998/05/the-necessary-art-of-persuasion 

  9. Dick, A. S. & Basu, K. (1994). Consu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2), 99-113. 

  10. Fill, C. (2002). Marketing Communications: Contexts, Strategies and Applications (3rd ed.). Englewood Cliffts, U.S.: Prentice Hall Inc. 

  11. Garbarino, E. & Johnson, M. S. (1999).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63(2), 70-88. 

  12. Hansen, Flemming (1972). Consumer Choice Behavior. New York, U.S.: The Free Press. 

  13. Holbrook, Morris B. (1980). Some Preliminary Notes on Research in Consumer Esthetic,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7, 104-108. 

  14. Hong, B. S., Na, Y. K. (2007). The Effect of Apparel Customer's Product, Price Attributes and Shopping Values on Internet Shopping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7), 1075-1084. 

  15. Huh, K, O. (2006). Consumers' preference for and satisfaction with retailing stores by life styl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3), 385-395. 

  16. Jacoby, J. & Chestnut, R. W. (1978). Brand Loyal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New York, U.S.: Ronald Press Publication. 

  17. Jacoby, J. & Olson, J. (1988). perceived quality: Institute of retail management,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9(4), 542-543. 

  18. Jang, E. R. & Choi, S. H. (2011). The Effects of Marketing Mix Elements of Fast Fashion brand on Benefits and Br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The Catholic University, Bucheon, Republic of Korea. 

  19. John, T. O., Sasser, W. E. Jr. (1995). Why Satisfied Customers Defect?, Harvard Business Review, 73 (6), 89-99. 

  20. Jung, S. A. (2010). The Effects of the VMD of an SPA Store 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Prefere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1. Jung, H. Y. (2004). Empirical study on marketing strategy of casual clothes : emphathis on the brand strate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2. Keller, K. L.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r River, N.J., U.S.: Prentice Hall. 

  23. Keller, K. L. (2003). Brand Synthesis: The Multidimensionality of Brand Knowledg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4), 595-600. 

  24. Keller, K. L. (200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2nd ed.). Upper Saddler River, N.J., U.S.: Prentice Hall. 

  25. Kim, C. J. (2002). Effects of Store Attributes on Revisit Intensions of Appared Store in Discount Sto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6. Kim, H. K. (1999).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umer by its value and lifestyle typolog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0(2), 173-197. 

  27. Kim, H. S.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Strategy on the SPA Brand,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1), 131-150 

  28. Kim, J. W. (2000).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9. Kim, J. Y., Lee, E. Y. (2004).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lity, Product Quality, Price on Store Patronage for Apparel 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2-21. 

  30. Kim, M. J. (2004). The Effect on Sales Promotion in Apparel Firms on Br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1. Kim, S. H. (2000). Sales Promotion Response and Shopping Orientation of Apparel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2. Kim, S. H. (2007). A Study on the Fast Fashion(Part 2)-Focusing o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5), 888-901. 

  33. Konecnik, M. & Gartner, W. C. (2007). Customer-based Brand Equity for a destin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34(2), 400-421. 

  34.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2010). Retail CEO Report Vol. 7; Innovation cases and suggestions in Global SPA, Seoul, Republic of Korea: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1-32. 

  35. Lee, E. Y. (1997). Fashion Marketing,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36. Lee, K. B. (2002). Influence of informational and image advertisement on consumer perception : Focusing on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of N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7. Lemon, K. N., White, T. B., & Winer, R. S. (2002). Dynam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corporating Future Considerations into the Service Retention Decision. Journal of Marketing, 66(1), 1-14. 

  38. Lichtenstein, D. R., Ridgway, N. M. & Netemeyer, R. G. (1993). Price Perceptions and Consumer Shopping Behavior: A field Stud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2), 234-245. 

  39. Lim et al. (2006). Consumer Behavior(3rd ed.),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munsa. 

  40. Lim, K. B. (2001). A Study on the Consumer's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Store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6), 807-817. 

  41. Lynch, J. G., & Ariely, D. (1998). Interactive home shopping: effects of search cost for price and quality information on consumer price sensitivity, satisfaction with merchandise, and retention. In Marketing Science and the Internet, INFORM College on Marketing Mini-Conference. Cambridge, MA. 

  42. Maxham, J. G. & Netemeyer, R. G.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Complaining Customers' Evaluations of Multiple Service Failures and Recovery Efforts. Journal of Marketing, 66(4), 57-71. 

  43. Mittal, B. & Lassar, W. M. (1998). Why do Consumer? The Dynamics of Satisfaction versus Loyalty.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12(3), 177-194. 

  44. Moon, H. K., Choo, H. J. (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14. 

  45. Oh, H. J. (1997). Conceptual framework and evaluation process of apparel qual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6. Oliver, Richard L. (1999).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 33-44. 

  47. Park, C. W., Mittal, B. (1985). A Theory of Involvement in Consumer Behavior: Problems and Issues,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1, 201-231. 

  48. Park, H. H., Ku, Y. S., & Koo, D. M. (2007).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the Evaluations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Lev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2), 236-246. 

  49. Peter, J. P,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Irwin Professional Publishing. 

  50. Pyo, H. S. (2005).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on Store Choice Behavior for Golf 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Republic of Korea. 

  51. Robinette, S., Lenz, V. (2003). Emotion Marketing, New York, U.S.: McGraw-Hill. 

  52. Ryou, E. J., Lim, S. J. (1988). A Study on Consumer's Value Systems and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6), 749-759. 

  53. Seo, S. M., Hong, B. Sl, Jin, B. H. (2002). Fashion Business, Seoul, Republic of Korea: Hyungseul Publishing. 

  54. Sheth, J. N., Bruce I. Newman, Barbara L. Gross (1992).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Theo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4), 487-489. 

  55. Shim, S. & Bickle, M. C. (1994). Apparel Selection by Employed Women: A Typology of Information Search Pattern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2), 1-9. 

  56. Yang, L. N. (2009).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Store Attribute, Intention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on the Clothing Consume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3), 367-3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