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이론 및 실습 융합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
Cognition for First Aid in Persons Taking First Aid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related to Convergence Train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6 no.3, 2015년, pp.1 - 12  

김윤정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 유형별 차이를 이해하여, 이에 따른 응급처치와 관련된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과 응급처치 관련 실무 중재 방안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방법은 J지역에 있는 일반인과 의료인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48명을 P-표본으로 추출하여 30개의 진술문을 사용해 자료분석은 PC QUANL program으로 처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3월부터 2010년 7월까지하였다. 응급처치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유형은 3개의 유형이 나타났다. 제1유형은 '시간 중시형', 제2유형은 '최초 반응자 중시형', 제3유형은 '융합교육 중시형', 제4유형은 '일반인 가능성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응급처치 유형에 따른 개별화되고 단계적인 교육방법과 중재방안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subjective cognition for first aid in persons taking first aid eduction. The perception of first aid styles were classified by using the PC QUANL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201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on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에 관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 응급상황에서 응급처치와 관련된 개별화되고 효과적인 교육 및 실무 중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응급처치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여 응급처치와 관련된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교육방법과 실무중재 방안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의 분석으로부터 각각 네 개의 유형이 나타났으며, 이들 네 유형간의 공통적 특징은 일반인도 정확하게 준비만 되어있다면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응급처치에 대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유형별로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응급처치와 관련된 교육 및 실무 중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 유형은 시간 중시형, 최초 반응자 중시형, 교육 중시형, 일반인 가능성형으로 확인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유형을 Q방법론을 적용하여 파악하여 각 유형별 특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여 응급처치와 관련된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교육 및 실무 중재 방안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상황 시 응급처치란 무엇인가? 응급상황 시 행해지는 응급처치란, 환자에게 행하여지는 기도의 확보, 심장박동의 회복, 기타 생명의 위험이나 증상의 현저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긴급히 필요로 하는 처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기본인명소생술(심폐소생술 등), 기본외상 처치술, 응급질환 및 처치술, 환경응급질환 및 처치술등이 이에 해당된다[1].
응급처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응급상황 시 행해지는 응급처치란, 환자에게 행하여지는 기도의 확보, 심장박동의 회복, 기타 생명의 위험이나 증상의 현저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긴급히 필요로 하는 처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기본인명소생술(심폐소생술 등), 기본외상 처치술, 응급질환 및 처치술, 환경응급질환 및 처치술등이 이에 해당된다[1].
우리나라에서 응급처치가 더 중요해진 이유는? 또한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의 진행으로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의 응급질환의 발생이 증가 하여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응급질환은 빠른 시간 안에 치료를 받는 것이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aw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First Aid, 2008, http://www.assembly.go.kr. 

  2. E. O. Lee etal., "Principle & Practice of First Aid", Seoul: Soomoonsa, 1990. 

  3. C. T. Kim, "An analysis of emergency transport proportional popul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23, pp. 449-456, 2014. 

  4. S. Y. Rhu, et al., "Needs for Appraisal of the Quality of Prehospital Patient's Care and for Re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1, No. 2, pp. 151-161, 2000. 

  5. KACPR, "Lay Person for the self-Learning Program-CPR Anytime", Korean Association of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2008. 

  6. J. Y. Hwang, et al., "First Aid and CPR", Seoul", Hanmibooks, 2000. 

  7. C. Vaillancourt, et al., "Canadian Cardiovascular Outcomes Research Team. Cardiac arrest car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Canada", The Canadian Journal of Cardiology, Vol. 20, pp. 1081-1090, 2004. 

  8. Y. J. Tak, "Effect of musical rhythm on the CPR education of adolesc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2, pp. 417-421, 2014. 

  9. H. R. Kwon, et al, "Actual Survey of College Students' Knowledge of First Aid",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7, No. 1, pp. 81-94, 2003. 

  10. S. J. Eun, et al., "An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8, No. 30, pp. 177-189, 2007. 

  11. K. H. Cho, et al., "Cognition for First Aid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Vol. 17, No. 6, pp. 671-680, 2006. 

  12. W. W. Lee, et al.,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Lay persons' Willing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0, No. 5, pp. 505-509, 2009. 

  13. B. K. Kim et al., "Educational awareness for first aid in university students taking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18, No. 3, pp. 263-272, 2013. 

  14. N. plant, et al., "How best to teach CPR to schoolchildren; a systematic review", Resusciation, Vol. 84, No. 4, pp. 415-421, 2013. 

  15. K. H. Lee, et al., "The Retrospective Research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EMS) System using the new Standardized Record of the 119EMS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9, No. 2, pp. 220-230, 1998. 

  16. Eisenberg, M. S., Bergner, L., & Hallstrom, A. (1979). Paramedic programs and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resuscit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69, pp. 30-38, 1979. 

  17. M. S. Eisenberg, et al., "Long-term survival afte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06, pp. 1340-1344, 1982. 

  18. N. plant, et al., "How best to teach CPR to schoolchildren; a systematic review", Resusciation, Vol. 84, No. 4, pp. 415-421, 2013. 

  19. J. Y. Hwang, "First Aid and CPR", Hanmibook, 2012. 

  20. H. C. Lee et al., "Effect of first aid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ation on self-efficacy and social contribution of disadvantaged youty",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6, No. 3, pp. 37-51, 2014. 

  21. S. H. Shin, et al., "Development of a First-aid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A care of Mothers of infant, toddler and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9, No. 2, pp. 234-243, 2003. 

  22. S. Y. Kim,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79-289, 2015. 

  23.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merican Heart Association, Vol. 112, No. IV, 2005. 

  24. K. J. Song, et al.,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 73, No. 1, pp. 4-10, 2007. 

  25. N. Kuramoto, et al., (2008). Public perception of willingness to perform bystander CPR in Japan. Resuscitation, Vol. 79, pp. 475-48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