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안전의식,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First Aid Knowledg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417 - 426  

정은영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  임경숙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과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응급처치 지식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G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293명으로 2018년 3월 19일부터 3월 28일까지 자료수집 후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급처치 지식 정답률은 40.15%였으며, 안전의식과 응급처치지식의 하위영역의 관련성에서 응급상황 시 행동요령(r=-.131, p=.025), 호흡계와 순환계(r=.213, p<.001), 드레싱과 붕대(r=.156, p=.008)와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응급처치지식 수준 향상과 다양한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the degree of first aid knowledge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onsciousness and first aid knowledge. The subjects were 293 male students attending third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과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정도를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응급 처치 지식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과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응급처치 지식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의 안전의식,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고등학생의 재난안전교육과 안전의식 정도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의식은 무엇인가? 좀 더 세부적인 지역별 안전의식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며, 개인이 생각하는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하다는 의미를 좀 더 깊이 생각해볼 필요도 있다. 흔히 안전의식이란 주변의 위험 요인 존재에 대해 인식하고 안전을 걱정하게 되는 생각으로 자신과 주변인을 지키고 더 나아가 재산을 지키고자 하는 것으로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의식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사건사고가 자신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부주의나 현실의 바쁜 생활이 결국은 안전의식을 저해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15].
안전의식을 저해를 초래하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가? 흔히 안전의식이란 주변의 위험 요인 존재에 대해 인식하고 안전을 걱정하게 되는 생각으로 자신과 주변인을 지키고 더 나아가 재산을 지키고자 하는 것으로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의식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사건사고가 자신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부주의나 현실의 바쁜 생활이 결국은 안전의식을 저해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15]. 그러므로 안전기 준을 정확하게 명시하고 각종 시설이나 물질 등 안정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용하여 기술적 기준을 체계화한 것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 4의 2)이 중요하다고 본다.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고려해야 되는 연령층이 청소년인 이유는 무엇인가?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좀 더 고려되어야 하는 연령층은 청소년으로 보고되고 있다. 왜냐하면 첫째, 2016년 15세∼19세 청소년 사망 원인 중 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50%를 넘기 때문 이다[10]. 둘째,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선행 연구에 의하면 안전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이 가장 낮은 연령층을 고등학생으로 보고하였다[11]. 마지막으로 한국과 일본의 안전교육에 관한 비교연구에서도 한국과 일본에서의 교육 현황은 차이가 없지만 한국에서의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고등학생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할 뿐 아니라 체계적인 교육이 낮다고 보고하였다[4]. 특히 재난 사고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된 교육이 부족하여 2차적 피해가 크기 때문에 더 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실제적인 응급 처치와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H. Kim. (2016).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Sat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fter the Sewol Ferry Incident. Master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2. I. S. Park. (2017). The Effect of Disaster Awareness, Attitude, Preparedness on the Basic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3), 1626-1636. 

  3. Daum Encyclopedia, 2017. 

  4. S. I. Kim. (2016). A comparis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5. D. Matyas & M. Pelling. (2014). Positioning Resilience for 2015: The Role Resistance, Incremental Adjustment and Transformation in Disaster Risk Management Policy, Disasters, 39(1), 1-18. DOI: 10.1111/disa.12107 

  6. D. A. McEntire, C. Fuller, C. W. Johnston & R. Weber. (2002). A Comparison of Disaster Paradigms: The Search for a Holistic Policy Guid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2(3), 267-281. DOI: 10.1111/1540-6210.00178 

  7.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Disaster Yearbook, Retrieved January 18. 2018. Form http://www.safekorea.go.kr 

  8. Statistics Korea. (2016). Accident Status. Retrieved January 18, 2018.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27 

  9. Ministry of Eudcation. (2016).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Law No.14079. http://www.moe.go.kr 

  10. Statistics Korea. (2016). Death Rates for the 10 to 20 Leading Causes of Death by Ag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 

  11. Y. G. Kwon. (2015). Pilot Study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38(1), 30-43. 

  12. J. M. Lee. (2011). Enhance Public Safety Awareness Measures through Safety Education-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afety Training Center. 2011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Conference (pp.619-637). Seoul 

  13. H. Y. Yoon, N. Y. Lim & C. H. Lee. (2015). Investig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s and Safet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echnical Education, 15(3), 229-247. 

  14. W. K. Youn. (2009). A Survey of the Knowledg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for the First Aid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Master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5. J. H. Kim. (2015). Daegu Citizen Safety Awareness Survey. Daegu 

  16. Disaster Safety Policy Officer. (2015). 'Citizen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Policy Direction during Daejeon. http://www.daejeon.go.kr/drh/board/boardNormalView.d o?boardIdnormal_0189&menuSeq1632&pageIndex1& ntatcSeq1046255 

  17. D. C. Uhm, Y. G. Park & H. J. Oh. (2016).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40-249. DOI: http://dx.doi.org/10.5977/kasne.2016.22.j2.240 

  18. Y. J. Park & E. J. Lee. (2015). A Study on Ego 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67-79. 

  19. C. H. Woo, J. Y. Yoo & J. Y. Park. (2015).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1), 19-35. DOI: http://dx.doi.org/10.14251/ktcem.2015.11.11.19 

  20. S. T. Kim, Y. H. Lee & D. M. Shin. (2017). Convergence Awareness of Basic Emergency Treatment Byprivate Ambulance Driv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127-136.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8.127 

  21. S. P. Chung, T. Sakamoto, S. H. Lim, M. H. M. Ma, T. L. Wang, F. Lavapie, S. Krisanarungson, H. Nonogi & S. O. Hwang. (2016). The 2015 Resuscitation Council of Asia (RCA) Guidelines on Adult Basic Life Support for Lay Rescuers. Resuscitation, 105, 145-148.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6.05.025 

  22. S. Nakahara, J. Tomio, M. Ichikawa, F. Nakamura, M. Nishida, H. Takahashi et al. (2015). Association of ByStander Interventions with Neurologically Intact Survival among Patients with Bystander-Witnessed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in Japa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4(3), 247-254. DOI: https://doi.org/10.1001/jama.2015.8068 

  23. N. G. Lee, D. O. Kim & B. R. Choi. (2017).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Requirements of Physical Therapis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1(2), 103-113. DOI: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2.103 

  24. H. M. Jung, N. H. Kim, Y. H. Lee, M. S. Kim, & M. J. Kim. (2018).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77-386.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1.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