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산업체의 위기관리 조직 및 위기대응 절차
Organization of Crisis Response Teams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Crisis Response Activities in the Food Industr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1 no.3, 2015년, pp.191 - 202  

김종규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공중보건학전공) ,  김중순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Promotion of food safety/eradicating adulterated food has been listed as one of the four major issues recently identified for ac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Due to the related seriousness, the food industry has been encouraged to take steps to restore consumer confidence. In order to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푸드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식품 생산을 위한 원료 공급, 제조·가공, 소비, 수출입에 이르는 일련의 관계를 포괄하는 푸드시스템(food system)상 산업은 크게 농수산물(농수산업), 식품소재(소재식품산업), 가공식품(식품가공업), 음료품(음료가공업), 외식(외식업)으로 대별된다. 다만 식품가공업과 음료가공업을 합하여 식품가공(제조)업으로 칭하기도 하며, 외식업에는 주점 및 비알콜 음료점을 포함하기도 한다.
식품제조업 업체수의 추이는? 이와 더불어 업체 수는 많고 대체로 규모는 작은 소기업이다. 특히 식품제조업의 경우 통계에 반영되는 업체수는 2000년 3,431개에서 2010년 4,269개로24.4%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여전히 소기업(10~50인미만)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타 산업에 비해 푸드시스템이 가지는 특징은? 다만 식품가공업과 음료가공업을 합하여 식품가공(제조)업으로 칭하기도 하며, 외식업에는 주점 및 비알콜 음료점을 포함하기도 한다. 즉, 타 산업에 비하여 식품산업체는 매우 다양한 종별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이와 더불어 업체 수는 많고 대체로 규모는 작은 소기업이다. 특히 식품제조업의 경우 통계에 반영되는 업체수는 2000년 3,431개에서 2010년 4,269개로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aT). 2012 Food industry index of Korea. 2013. Naju: aT; 2013. 

  2. Lee YS, Han SH, Park YC, Roh SJ, Park KE, Cho SH. Analysis of future trends perspective in food industry.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Report-11-1541000-000435-10. Naju: aT; 2012. 

  3. Kim JG, Kim JS. KFDA Guidelines for supporting empowerment of crisis management in food industry. KFDA Report-12042KFDA820. 2012. Osong: KFDA Press; 2012. 

  4. Lee Y.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of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Seoul: Pakyoungsa Publishing Co.; 2010. 

  5.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KFIA). Food incident response manual in food industry. Seoul: KFIA; 2009. 

  6.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KCCI)-Business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manual. Seoul: KCCI; 2006. 

  7. Crisis Management Team. Available: http://www.managementstudyguide.com/crisis-management-team.htm. [accessed 10 February 2015]. 

  8. Kim YW. Understanding of crisis management. Seoul: CG books; 2002. p. 281. 

  9. Kim JG, Kim JS. Classification of food safety crisis and standard setting for crisis level in food industry. J Environ Health Sci. 2015; 41(2): 133-145. 

  10. Heinzen, B. "Crisis Management and Scenarios". 1995 www.barbaraheinzen.com/.../downloadfile.class.php. [accessed 10 February 2015].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Food incident response manual. Osong: KFDA Press;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