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A를 이용한 식자재유통 및 급식기업의 효율성 분석
Analysis on Efficiency of Food Material Distributors and Food Service Companies by D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1 no.4, 2016년, pp.339 - 347  

민하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석운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최규완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Hospitality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terest on operational efficiency due to the rapid growth of food material distribution industry and food service industry, the study adopts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nd examines to measure the technolog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those companies engaging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자재유통 시장의 어려운 경쟁 환경과 빠른 변화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각 기업의 경영 효율성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한 전제라고 할 수 있다. DEA모형을 활용한 효율성 분석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국내 식자재유통 및 급식기업의 회계정보를 이용한 DEA 측정은 거의 전무한 시점에서 식자재유통 및 급식산업의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는 관련 기업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판단된다.
  • 우선, DEA모형에 따른 분석으로 외부감사대상법인에 해당하는 국내 식자재유통기업 및 급식기업의 2015년 말 재무재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효율성 분석, 순수기술효율성 분석, 규모 효율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여 각 기업의 경영 효율성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기업의 사업포트폴리오정도와 대기업 계열 여부에 따른 효율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과는 구분되는 국내 식재료 유통 기업 및 급식기업의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공시된 회계정보와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운영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또한, 식자재 유통과 급식시장에서 수직적 통합의 정도에 따른 효율성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식자재 유통기업 및 급식기업의 경영 효율성과 수직적 통합에 따른 효율성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표본기업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우선, 표본기업의 사업 유형에 따라 식자재유통사업과 급식사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기업, 식자재유통기업 그리고 급식사업만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과는 구분되는 국내 식재료 유통 기업 및 급식기업의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공시된 회계정보와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운영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또한, 식자재 유통과 급식시장에서 수직적 통합의 정도에 따른 효율성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의 표본 대상인 식자재 유통기업 및 급식기업이 규모면에서 투입-산출 활동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측정하고자 한다. 규모효율성은 기술효율성을 순수기술효율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며, 규모효율성이 1인 경우에는 기술효율성과 순수기술효율성은 같은 값을 가지게 된다.
  • 주주의 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산출 지표로 매출액을 사용하고자 한다. 매출액의 지속적인 증가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성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Kim 2014).

가설 설정

  • 우선, 2015년이라는 한정된 기간의 회계정보만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투입요소인 유형자산의 장기적 효과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식자재 유통기업과 급식기업의 투입-산출구조가 다소 상이할 수 있는 데도 불구하고 같은 생산 구조를 갖는다는 가정 하에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구로는 특정한 한해가 아닌 다년간 축적된 자료를 통해 국내 식자재유통 및 급식기업들의 경영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분석하면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해당 산업의 기업들이나 이해관계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CR모형은 규모의 효율성과 기술적 효율성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Park 2008). 따라서 이러한 CCR모형에서 가정하고 있는 불변규모수익을 완화하여 가변규모수익(Variable Return to Scale: VRS)이라는 가정한다(Banker et al. 198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재료 유통및 급식기업의 상대적인 효율성 및 생산성을 평가하는 것이 의미있는 이유는? 이러한 시점에서 식자재 유통시장 및 급식시장의 질적 수준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나 식재료 유통시장 및 급식기장이 하나의 업(業)을 이룬 역사가 짧아 개별 기업차원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는 생산적인 도구인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의 사용을 통해 생산성을 측정한 연구는 식자재 유통 및 급식분야에 많지 않은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다른 산업분야는 많은 연구를 통해 기업뿐만 아니라 조직의 운영 상 투입요소 대비 산출요소를 측정하여 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비교해왔다(Charnes et al. 1978; Charnes et al.
밸류체인이란? 밸류체인이 경쟁력을 갖출수록 제품 전체의 밸류는 개별의 합을 초과하고 마진의 합계가 이익이 된다. 즉, 사용한 자원보다 더 많은 가치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을 밸류체인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밸류체인은 경쟁우위란 규모 즉, 가급적 많은 밸류체인을 수직적으로 통합(vertical integration)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Choi 2013).
밸류체인에서 경쟁우위란 무엇을 전제로 하는가? 즉, 사용한 자원보다 더 많은 가치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을 밸류체인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밸류체인은 경쟁우위란 규모 즉, 가급적 많은 밸류체인을 수직적으로 통합(vertical integration)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Choi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JH. 2011. A study on management efficiency of restaurants at first class hotels: with special reference to restaurants in Seoul. Korea J. Tourism Leisure Res., 23(3):281-297 

  2. Bae JH, Shin HC. 2009. Evaluation of management efficiency of family restaurants using the DEA model. Korea J. Tourism Res., 33(5):147-163 

  3. Banker RD, Charnes A, Cooper W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 30(9):1078-1092 

  4. Boussofiane A, Dyson RG, Thanassoulis E. 1991.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 Operational Res., 52(1):1-5 

  5. Charnes A, Cooper WW,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 Operational Res., 2(6):429-444 

  6. Charnes A, Cooper WW, Golany B, Seiford L, Stutz J. 1985. Foundations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Pareto-Koopmans efficient empirical production functions. J. Econometrics, 30(1-2):91-107 

  7. Choi IS, Yu JP, Lee DH. 2013. A Study on relative efficiency of franchise Companies using DEA Model. Asian Pac. J. Small Bus., 35(2):213-244 

  8. Choi KW, Park YM, Shin SY, Kwak TK. 2007. Efficiency analysis of Contract-managed business and industry food service Operat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J. Community nutrition, 12(2):178-188 

  9. Choi SB. 2013. Media Management [미디어 경영], Communication Books, South Korea 

  10. Demerjian PR, Lev B, Lewis MF, McVay SE. 2012. Managerial ability and earnings quality. Account. Review, 88(2):463-498 

  11. Han GH, Park HG. 2012. Determinants & measurement of efficiency in 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NURI). J. Industrial Economics Bus., 25(1):711-725 

  12. Kim KH. 2012.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case of seoul. Doctoral degree thesis,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Korea, pp 70-71 

  13. Kim SH, Choi TS, Lee DW. 2007. Efficiency analysis theory & application. Seoul Economy & Business Seoul, South Korea, pp 2-51 

  14. Kim SJ, Yoon JH, Choi KW. 2006. Efficiency analysis for brand of franchise restaurant and franchisees: by appl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Korea J. Tourism Res., 30(5):197-217 

  15. Kim SY. 2014. Analysis on efficiency of food material distributors and feeding service companies using accounting information.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pp 41-42 

  16.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5. The fact-finding survey on the overseas expansion of food-service corporations in 2015. aT corporation Naju, South Korea, pp 70-85 

  17. Lee JD, Oh DH. 2012. The theory of Efficiency Analysis: Data Envelopment Analysis. Jiphil Media Seoul, South Korea 

  18. Lee KS, Choi KW. 2010. Cross redundancy and sensitivity in DEA models. J. Productivity Anal., 34(2):151-165 

  19. Lee KW, Yoon JH, Choi KW. 2010. A Study on The mnagement efficiency of Korean casinos using DEA. Korea J. Tourism Leisure Res., 22(5):361-380 

  20. Lee SY. 2009. An efficiency analysis of private universities using DEA. J. Educational Administration, 27(2): 381-403 

  21. Park MH. 2008. Analysis of efficiency & productivity. Korean Studies Information Paju, South Korea 

  22. Park JY, Choi KW, Kim TH. 2008. The influence of menu factors on DEA menu efficiency in contract-food service operations. East Asian Soc. Diet. Life, 18(2):242-252 

  23. Ruggiero, J. 2007. A comparison of DEA and the stochastic frontier model using panel data. International Transactions in Operational Res., 14(3):259-266 

  24. Seo YA, Na JK. 2006. Measuring efficiency of korean franchise restaurant business: data envelopment analysis. Korea J. Tourism Res., 30(1):295-315 

  25. Son JR. 2015. [Industry Report] Food & Beverage. KB Investment & Securities Co., Ltd, pp 4-19 

  26. Song GS. 2015. Analysis on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food material distribution companies with meta-frontier SBM model. Master's degree thesis, Inha University, Korea, pp 66-68 

  27. Yoon JH, Choi KW. 2007. Comparing relative efficiency of competing family restaurant Chains. Korea J. Tourism Res., 31(5):337-353 

  28. Yoon JH, Choi KW. 2008. An analysis of relative efficiency of hotel company based on accounting information. Korea J. Tourism Res., 32(5):233-249 

  29. 20 Years from opening distribution industry. deepening the competition and polarization 2016. Available from: http://www.nexteconomy.co.kr/news/, [accessed 2016.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