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 진행 중인 동료와 비교한 다이어트 경험 및 계획을 가진 여중생의 식습관, 체중조절행위, 심리적 섭식장애 위험 및 우울증상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Weight Control Behaviors, Eating Disorder Risk, and Depression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Various Stages of Dieting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3, 2015년, pp.178 - 187  

정애경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전공) ,  류현숙 (대진대학교 간호학과) ,  송경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홍미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dietary habits, weight control behaviors, eating disorder risk and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girls who were at various stages of dieting. Methods: Subjects were 391 girl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Kyeonggido, Korea. All the information was ga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자의 경우 중학생 시기는 일생 중에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가장 변화가 왕성한 시기로서, 다이어트를 진행 중인 경우 못지않게 현재 다이어트를 진행 중이지는 않지만 다이어트 경험이 있거나 앞으로 계획이 있는 집단에 대한 습관 및 심리적 상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이어트 경험만 있거나 계획만 있는 여중생의 생활습관, 식습관, 체중조절 관련 사항, 이상식이습관 및 우울 증상을 조사하여 다이어트 진행중이거나 다이어트에 무관심한 집단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우리나라 중학생 중 비만에 속하는 비율과 과체중에 속하는 비율은? 비만은 치료가 되어야 하는 질병으로서 치료가 어렵고 일단 체중감량이 되었더라도 유지가 어렵다. 2014년 현재 우리나라 중학생 중 비만에 속하는 비율은 남녀 각각 10.8%와 4.9%이고, 과체중에 속하는 비율은 각각 3.7%과 8.3%이다 [1].
현대 사회의 날씬한 몸매를 요구하는 미디어의 압력으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비만을 유발하는 환경요인과 날씬한 몸매를 요구하는 미디어의 압력이 공존하여, 비만율과 함께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심지어는 정상체중혹은 저체중에 해당하여 다이어트가 필요하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2]. 비만 치료가 어려운 것은 일단 감량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체중 재증가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비만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심지어는 정상체중혹은 저체중에 해당하여 다이어트가 필요하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2]. 비만 치료가 어려운 것은 일단 감량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체중 재증가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다이어트로 인한 체중 재증가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켜 공중보건에 점점 더 심각한 부담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Education.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2014 [internet]. 2014 [cited 2015 Apr 27].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2. Choi HM, Kim JH, Lee JH, Kim CI, Song KH, Chang KJ et al. Essentials of Nutrition. 3rd ed. Paju: Kyomunsa; 2011. p. 150-151. 

  3. Montani JP, Schutz Y, Dulloo AG. Dieting and weight cycling as risk factors for cardiometabolic diseases: who is really at risk?. Obes Rev 2015; 16(S1): 7-18. 

  4. Ingolfsdottir G, Asgeirsdottir BB, Gunnarsdottir T, Bjornsson AS. Changes in body image and dieting among 16-19-year-old Icelandic students from 2000 to 2010. Body Image 2014; 11(4): 364-369. 

  5.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Sports Medicine and Fitness. Promotion of healthy weight-control practices in young athletes. Pediatr 1996; 97(5): 752-753. 

  6. Garner DM. Eating attitude Test (EAT-26): Scoring and interpretation [internet]. River Centre Clinic; 1982 [cited 2015 Apr 28]. Available from: http://www.eat-26.com/. 

  7. Wikipedia. Disordered eating [internet]. Wikipedia; 2015 [cited 2015 Jun 4]. Available from: http://en.wikipedia.org/wiki/Disordered_eating/. 

  8. Park SJ, Choi HR, Choi JH, Kim KW, Hong JP.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xiety Mood 2010; 6(2): 119-124. 

  9. Seo JS, Lee JH, Yun JS, Cho SH, Choi YS. Nutritional assessment. 1st ed. Paju: Powerbook; 2008. p. 54-55. 

  10. Kim MS, Lee HM. Overestimation of own body weight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sociations with lifestyles,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depression. Nutr Res Pract 2010; 4(6): 499-506. 

  11. Higgs S, Woodward M. Television watching during lunch increases afternoon snack intake of young women. Appetite 2009; 52(1):39-43. 

  12. Anschutz DJ, Engels RCME, Becker ES, van Strien T. The bold and the beautiful. Influence of body size of telelvised media models on body dissatisfaction and actual food intake. Appetite 2008; 51(3): 530-537. 

  13. Kim JH, Jung IK. A study on body image perception and eating disorders by gender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Home Econ Assoc 2006; 45(1): 101-109. 

  14. Yim KS. Effects of obesity,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dietary habits on the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Gyunggi province,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 656-669. 

  15. Oh MY, Yu HH. Relation of body weight control and eat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un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6): 724-741. 

  16. Tang J, Yu Y, Du Y, Ma Y, Zhu H, Liu Z. Association between actual weight status, perceived weight and depressive, anxious symptoms in Chinese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0; 10(1): 594-601. 

  17. Al Sabbah H, Vereecken C, Abdeen Z, Kelly C, Ojala K, Nemeth A et al.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overweight, normal weight and underweight adolescents in Palestine: findings from the national study of Palestinian schoolchildren (HBSC-WBG2004). Int J Eat Disord 2010; 43(4): 326-336. 

  18. Jansen W, van de Looij-Jansen PM, de Wilde EJ, Brug J. Feeling fat rather than being fat may b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young Dutch adolescents. J Adolesc Health 2008; 42(2): 128-136. 

  19. Cho JH, Han SN, Kim JH, Lee HM. Body image distortion i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may lead to stress, depression, and undesirable dieting behavior. Nutr Res Pract 2012; 6(2): 175-181. 

  20. Kim DS, Kim HS, Cho Y, Cho SI. The effects of actual and perceived body weight on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depressed mood among adult women in Seoul,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 41(5): 323-330. 

  21. Neumark-Sztainer D, Bauer KW, Friend S, Hannan PJ, Story M, Berge JM. Family weight talk and dieting: How much do they matter for body dissatisfac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adolescent girls? J Adolesc Health 2010; 47(3): 270-276. 

  22. Pronk NP, Boyle RG. Self-weighing in weight gain prevention and weight loss trials. Ann Behav Med 2005; 30(3): 210-216. 

  23. Wing RR, Tate DF, Gorin AA, Raynor HA, Fava JL, Machan J. STOP regain: Are there negative effects of daily weighing? J Consult Clin Psychol 2007; 75(4): 652-656. 

  24. Neumark-Sztainer D, van den Berg P, Hannan PJ, Story M. Self-weighing in adolescents: helpful or harmful? longitudinal associations with body weight changes and disordered eating. J Adolescent Health 2006; 39(6): 811-8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