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교육인증제도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8 no.3, 2015년, pp.59 - 68  

강소연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홍성조 (동국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최금진 (청주대학교 교직과) ,  박선희 (한남대학교 교직과) ,  조성희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Now, 15 years has passed adopting the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We ne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this system has changed on the ground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it cultivated the h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의 효과를 학생교육과 학생 역량에 초점을 두고, 교육현장에서 학생교육을 위해 교수들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실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졸업한 졸업생이 산업현장에서 자신의 역량수준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산업체 인사들은 인증 프로그램 졸업생과 비인증 프로그램 졸업생 역량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공학교육인증의 도입에 따른 실질적인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도가 공학교육에 순기능적 인영 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판의 목소리가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실제로 공학 교육 현장의 질적 향상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적 검토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에 대해 교수, 졸업생, 산업체가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공학인증제도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소연.홍성조.최금진 외 4인(2014). 공학교육인증제도 성과분석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 강일규.박동.강상희(2010). 글로별 인력교류 확대에 대비한 고등전문교육인증제 실태와 과제. 서울: 한국직원능력개발원. 

  3. 김광호(2008. 9). 고등교육의 질보장 체제. 경영학교육인증 심포지엄. 서울: 한양대학교. 

  4. 김영욱.김학진.손나리(2014). 인증이 자신의 전공과 동일분야 취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5. 기정훈.주재현.박재현(2011). 구조방정식을 통한 공학교육인증 제도의 성과 분석: 공학인증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1(3), 29-45. 

  6. 성지미.강승찬.민동규(2009). 공학인증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조사연구. 공학교육연구, 12(4). 102-114 

  7. 송성진. 김광현.김성수 외 16인(2011). 인증실효성 확보방안 연구. 한국공학교육인증원. 

  8. 신승윤(2008). 미국공학교육인증제도와 비교한 한국공학교육 인증제도의 개선방안. 공학교육, 15(2), 37-40. 

  9. 전효진.김학진.김영욱(2013). 공학교육인증 졸업생과 비인증 졸업생의 취업률 비교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사례. 공학교육연구, 16(1), 64-74. 

  10. 조성희.강소연(2012). 공학교육인증평가가 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5(4), 58-65. 

  11. 조옥경, 최금진(2013). 공학교육인증 평가체제의 메타평가 준거개발. 공학교육연구, 16(3), 28-41. 

  12. 주재현.기정훈.임형백(2010).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성 평가: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회보, 14(3), 55-78. 

  13.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9.) 공학교육인증 성과 분석 보고서. 한국공학교육증원. 

  14.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1). 공학교육인증 성과분석 결과요약 보고서. 한국공학교육인증원. 

  15. 함승연(2005).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 인증 준거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6. ABET(2009). Annual Report for Fiscal Year 2008-2013. Available from http://www.abet.org/Linked%20DocumentsUPDATE/Annual_Reports/2009%20ABET%20Annual%20Report.pdf [accessed 15 December 2010] 

  17. Brittingham B.(2009). "As a system of assring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is uniquely American, providing an important buffer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government." in P. M. O'Brien(eds.), Accreditation: Assuring and Enhancing Quality. New Direction for Higher Education, No. 145. San Francisco: Jossey-Bass. 

  18. Farbrother, B. J. (2001).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using ABET Engineering Criteria 2000: A Tool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Effective Program Administr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CE-Rom Edition-2 32. 

  19. Hill, D. C.(2013). Perceptions About the Influence of ABET Accreditation on OSH Education. Professional Safety 57(10), 53-61. 

  20. Prados, J. W. (2004). Can ABET Really Make a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0(3), 315-317. 

  21. Prados, J. W. (ed). (2013). A Proud Legacy of Quality Assurance in the Preparation of Technical Professions: ABET 75th Anniversary Retrospective. ABET. 

  22. Gray, P. J. & Patil, A. S.(2009). Engineering Education Quality Assurance: A global Assurance.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23. Prados, J. W., Peterson, G. D., & Lattuca, L. R. (2005). Quality Assurance of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Accreditation: The Impact of Engineering Criteria 2000 and Its Global Influ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4(1). 165-184 . 

  24. 한국공학교육인증원 http://www.abeek.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