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학교육 평가인증제도의 역사와 의미: 의학교육 평가인증제 도입 배경 및 초창기 활동을 중심으로
The History and Implications of the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Implementation and Activities in Early Stage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2 no.1, 2020년, pp.1 - 8  

맹광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llowing the opening of eleven medical schools in Korea in the 1980s, the issues of standardization and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came to the forefront in the early 1990s. To address the medical community's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1990년대 초부터 이 제도의 도입을 적극 주장했던 당시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 그리고 1998년에 설립된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의 주요 활동과 그 배경등에 초점을 맞춰 검토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내용이 이 시기에 발표된 관련 다른 문헌들과 다소 중복되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당시의 기록들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해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역사기록과 발전방안 수립에 하나의 보조 문헌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발표된 의과대학 평가인증에 관한 주요 논문과 의학교육 관련 기관들에서 발간한 책자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학교육평가원의 역사, 특히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독립법인이 되던 해이면서 제1주기 의과대학 인정평가사업이 종료되던 2004년 이전의 우리나라 의학교육 평가인증제 도입을 위한 노력들을 정리해 보았다. 특히 1990년대 초부터 이 제도의 도입을 적극 주장했던 당시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 그리고 1998년에 설립된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의 주요 활동과 그 배경등에 초점을 맞춰 검토했다.
  • 이 논문은 우리나라 의학교육 평가인증 역사 20년 가운데 주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독립법인체가 된 2004년 이전의 역사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것은 1998년 의료계 단체들의 합의에 의해 설립되어 1999년 처음으로 자율적인 의과대학 평가활동을 시작했던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가 독립기구가 아닌 실무위원회 성격이었고, 따라서 이때를 전후한 시기의 의학교육 평가 인증제 도입을 위한 의료계의 초창기 노력이 종합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지 못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그것은 1998년 의료계 단체들의 합의에 의해 설립되어 1999년 처음으로 자율적인 의과대학 평가활동을 시작했던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가 독립기구가 아닌 실무위원회 성격이었고, 따라서 이때를 전후한 시기의 의학교육 평가 인증제 도입을 위한 의료계의 초창기 노력이 종합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지 못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시기에 발표된 주요 논문들과 의학교육 관련 단체들의 발전사 속에 기술되어 있는 우리나라 의학교육 평가인증제도 도입 노력의 배경과 활동을 종합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향후 이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역사 기술과 발전전략 수립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학 교육평가원이 주최한 의학교육 평가인증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는 어떤 발표가 있었는가? 2019년 11월 8일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실에서는 ‘한국의학 교육평가원’(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이 주최하는 의학교육 평가인증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그동안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사용해온 인증평가기준의 변천사와 졸업 후 수련교육 및 의사 평생 교육과정 평가인증 문제, 그리고 미래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발전 방안 등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1].
평가인증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어느 의과대학의 교육을 평가한다는 것은 그 대학의 교육과정과 시설, 인력 등 교육환경실태를 좋고 나쁨이나 많고 적음을 따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비해 평가인증은 “전문가 집단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기관에 대하여 상호 동의한 기준(standards)에 합치하거나 도달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그 기관의 프로그램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 하는 과정”을 말하며[4], 영어로는 evaluation for recognition 또는 evaluation for accreditation에 해당한다. 따라서 의과대학 평가인증이란 의과대학의 교육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이 전문인증기구에서 정하는 기준을 만족시킴으로써 사회가 원하는 의료인을 제대로 양성 해내고 있는지 여부를 증명해 주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의과대학 평가인증제도의 역사를 나누어 논할 때 기준은 언제인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보건복지부의 법인등록을 통해 정식으로 독립법인체가 된 것은 2004년의 일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의과대학 평가인증제도의 역사는 이를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논의하는 것이 맞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of KIMEE.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for the 20th Aanniversary of KIMEE; 2019 Nov 8; Seoul, Korea.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9. 

  2.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10th Anniversary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1999-2009).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09. 

  3.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Enlightenment and challenges: development history of KAMC (1971-2014). Seoul: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4. 

  4. Hamilton JD. Establishing standards and measurement methods for medical education. Acad Med. 1995;70(7 Suppl):S51-8. 

  5. Meng KH.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in Korea in 21st century. J Korean Med Assoc. 2000;43(1):29-34. 

  6. Lee JS, Lee MS.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medical education evaluation. Korean Med Educ Rev. 2000;2(1):1-15. 

  7. Shin DH, Choi SS, Kim YM, Lee KH, Kim KS; Working Committee for the Evaluation of Medical Colleges in Korea. Evaluation report of medical college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981. 

  8. Choi SS, Paik SH, Meng KH, Yoo SH, Kang KS. Comprehensive report of preliminary evaluation of Korean medical schools. Seoul: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1993. 

  9. Lee EB. Need for medical school assessment system. Korean J Med Educ. 1990;2(1):1-2. 

  10. Kim YI.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Korean J Med Educ. 1991;3(2):3-10. 

  11. Choi SS. The present and prospect of standardization. Korean J Med Educ. 1991;3(2):11-9. 

  12. Kim YM. The methods of drive and approach of standardization. Korean J Med Educ. 1991;3(2):20-25. 

  13.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Enlightenment and challenges: development history of KAMC (1971-2014). Seoul: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4. 

  14. Kirch DG. Looking back and moving forward: 75 years of the LCME [Internet].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17 [cited 2019 Dec 20]. Available from: https://www.aamc.org/news-insights/insights/looking-back-and-moving-forward-75-years-lcme. 

  15.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 manual for 1996 accreditation evaluation of health-related colleges.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1995. 

  16. Medical Education Development Committee, Korean Medical Associ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1996. 

  17.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1st cycle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06. 

  18.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Functions and structure of a medical school: standards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leading to the M.D. degree.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1995. 

  19. Australian Medical Council.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s by the Australian Medical Council. Melbourn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 1992. 

  20.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8 Policy research on developmental changes and future direction of accreditation standards.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2018. 

  21. Lee YH. Policy research on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22. Park ES. Why do we need legislation of medical school evaluation for accreditation? Healthc Policy Forum. 2011;9(2):67-70. 

  23. Meng KH.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hopes and challenges. Proceedings of the 2003 World Conference on Global Standards in Medical Education for Better Health Care; 2003 Mar 15-17; Copenhagen, Denmark. Copenhagen: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2003. 

  24. Meng KH. Student assessment and institutional evaluation of Korean medical schools. Proceedings of the 2nd Asia-Pacific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2004 Dec 7-10; Singapore.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04. 

  25.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The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in Korea.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06. 

  26. Yang EB. Analysis on the performance and tasks of accreditation system for medical colleges. J Korean Med Assoc. 2008;51(6):586-92. 

  27. Ahn DS.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Healthc Policy Forum. 2015;13(2):38-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